• 제목/요약/키워드: S-Sugars

검색결과 478건 처리시간 0.025초

체리(Prunus avium L.)의 항균 및 항산화 활성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Fruit of Prunus avium L)

  • 안선미;류희영;강동균;정인창;손호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71-376
    • /
    • 2009
  • 국내산 양앵두의 유용 생리활성 검토를 목적으로 양앵두 열수 추출물 및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을 조제하였다. 양 앵두 추출물의 약 40%는 당류 성분이었으며, 이의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분획물 및 물 잔류물의 분획효율은 각각 0.01%, 3.45%, 16.30% 및 80.24%로 나타나 양앵두 열수 추출물의 대부분이 부탄올 분획 및 물 잔류물로 이행되었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물 잔류물은 34%의 총당을 함유하였다. 조제된 열수 추출물과 분획물의 항세균 활성을 평가한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 분획에서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및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해 우수한 항세균 활성이 확인되었으며 (MIC, 0.5~1.0 mg/mL), Pseudomonas aeruginosa에는 항균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항Candida 활성은 헥산 분획에서만 확인되었으며, 항생제 내성균에 대해서도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MIC, 0.5~1.0 mg/mL). 항산화능 평가의 경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 우수한 DPPH 소거능($IC_{50}:195.5\;{\mu}g/mL$) 및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는, 양 앵두가 우수한 항균 활성과 항산화 활성을 가진 유용한 과일자원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갈대 뿌리와 갈대순 첨가에 따른 약주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kju at addition sprout and root of reed)

  • 김성태;김소망;정재희;김용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90-497
    • /
    • 2015
  • 갈대를 첨가한 약주의 발효기간 중 pH는 증자 후 덖음한 갈대순을 첨가한 약주의 pH가 가장 낮은 값을 보였고, 대조구와 증자 후 덖음 한 갈대 뿌리를 첨가한 약주는 같은 값을 보였다. 총산 함량은 발효 종료 시점인 12일째의 총산함량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환원당 함량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발효 기간 중 시료를 첨가한 시기인 발효 6일째의 환원당 함량 또한 시료구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갈대 약주의 ethanol 함량은 대조구가 15.31%로 갈대순을 첨가한 약주의 15.30%과 뿌리를 첨가한 시료구의 15.28%과 비교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약주에서 확인된 주요 유리당은 glucose였고, fructose와 sucrose는 갈대순과 뿌리를 첨가한 약주에서는 검출 되었으나 대조구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약주의 total polyphenol 함량은 갈대순 및 뿌리를 첨가한 약주가 4.26mg% 및 4.21 mg%로 대조구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DPPH free radical 소거능 또한 갈대순을 첨가한 약주와 뿌리를 첨가한 약주가 25% 및 23%로 대조구의 20%에 비해 높은 소거 활성을 보였다. 갈대를 첨가한 약주의 관능검사 결과 향, 색 및 맛 모두 갈대순 0.3% 첨가 약주가 가장 높은 기호도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종합 기호도 또한 갈대순 0.2%~0.4%를 첨가한 약주의 3개 시료구는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그 중 0.3% 첨가 약주가 7.2로 가장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홍화(紅花) 종실(種實)의 볶음 조건에 따른 성분(成分)의 변화(變化) (Effects of Roasting Conditions on Components of Safflower(Carthamus tinctorius L.) Seed)

  • 박준홍;김기재;김재철;김세종;박소득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94-200
    • /
    • 2000
  • 홍화종실의 볶음처리에 따른 성분의 변화를 조사하고 볶음처리 후 저장기간에 따른 산패의 정도를 측정한 결과 홍화씨의 볶음처리에 따른 수율의 변화에서 볶음온도 및 시간이 증가 할수록 수율이 감소하였다. 홍화의 볶음온도 및 시간에 따른 색도의 변화에서 볶음온도가 높고 볶음시간이 길수록 명도(L)값은 감소하고 적색도(a) 값과 황색도(b) 값은 증가하였으며 전체적인 색차인 ${\Delta}E$ 값은 증가하였다. 관능평가의 결과에서는 홍화종실의 적정 볶음조건은 $190^{\circ}C$ 20분 이었다. 홍화종실에서는 raffinose와 sucrose만이 분리 확인되었다. 이들 유리당은 볶음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그 함량은 급격히 감소하였다. 홍화종실의 산패 정도를 나타내는 과산화 물가 (POV, meq/kg)를 측정 해 본 결과 볶음처리직후에는 거의 과산화물이 생성되지 않았지만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과산화물값이 높아짐을 보였다. 특히 $150^{\circ}C$를 제외하고는 10개월 이상 저장하는 것은 부적절하였다.

  • PDF

CGA 제조기법을 응용한 PVA 하이드로젤의 담체 특성 (Media Characteristics of PVA-derivative Hydrogels Using a CGA Technique)

  • 윤미해;권성현;조대철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99-308
    • /
    • 2009
  • We manufactured PVA-derived hydrogels using a foam generation technique that has been widely used to prepare colloidal gas aphrons(CGA). These gels were differentiated to the conventional gels such as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applications, which have tiny pores and some crystalline structure. Rather these should be used in de-pollution devices or adhesion of cells or biomolecules. The crosslinkers used in this work were amino acid, organic acid, sugars and lipids(vitamins). The structures of the gels were observed in a scanned electron microscope. Amino acids gels showed remarkably higher swelling ratios probably because their typical functional groups help constructing a highly crosslinked network along with hydrogen bonds. Boric acid and starch would catalyze dehydration while structuring to result in much lower water content and accordingly high gel content, leading to less elastic, hard gels. Bulky materials such as ascorbic acid or starch produced, in general, large pores in the matrices and also nicotinamide, having large hydrophobic patches was likely to enlarge pore size of its gels as well since the hydrophobicity would expel water molecules, thus leading to reduced swelling. Hydrophilicity(or hydrophobicity), functional groups which are involved in the reaction or physical linkage, and bulkiness of crosslinkers were found to be more critical to gel's cross linking structure and its density than molecular weights that seemed to be closely related to pore sizes. Microscopic observation revealed that pores were more or less homogeneous and their average sizes were $20{\mu}m$ for methionine, $10-15{\mu}m$ for citric acid, $50-70{\mu}m$ for L-ascorbic acid, $30-40{\mu}m$ for nicotinamide, and $70-80{\mu}m$ for starch. Also a sensory test showed that amino acid and glucose gels were more elastic meanwhile acid and nicotinamide gels turned out to be brittle or non-elastic at their high concentrations. The elasticity of a gel was reasonably correlated with its water content or swelling ratio. In addition, the PVA gel including 20% ascorbic acid showed fair ability of cell adherence as 0.257mg/g-hydrogel and completely degraded phenanthrene(10 mM) in 240 h.

Comparison of Chemical Composition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omegranate Extracts from Different Growing Areas

  • Lee, Hyun-Jung;Cho, Hye-Jin;Lee, Hyun-Sun;Kwon, Ki-Han;Hong, Yang-Hee;Kim, Seon-Hee;Suh, Hyung-Joo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4권3호
    • /
    • pp.214-219
    • /
    • 2009
  • The pomegranate (Punica granatum L.) is a promising source of functional food, which contains several phytochemicals that perform important roles in reducing the risk of pathological diseases. Chemical compositions, such as the total sugar, uronic acid, polyphenols, and anthocyanin contents,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determined and compared among PEs from six different cultivation areas. Total anthocyanin contents (TAC) and total polyphenol contents (TPC) from various growing areas were detected in the following order, respectively: Spain (19.08 ${\mu}g$/mL)> Turkey (12.91 ${\mu}g$/mL)> Iran-A (6.67 ${\mu}g$/mL)> Taiwan (4.77 ${\mu}g$/mL)> Uzbekistan (1.88 ${\mu}g$/mL)> Iran-B (0.76 ${\mu}g$/mL) and Turkey (639.52 ${\mu}g$/mL)> Uzbekistan (502.19 ${\mu}g$/mL)> Spain (306.40 ${\mu}g$/mL)> Iran-B (249.20 ${\mu}g$/mL)> Taiwan (162.78 ${\mu}g$/mL)> Iran-A (143.93 ${\mu}g$/mL). PEs from six different cultivation areas were determined to vary in ellagic acid content from 8.90 ${\mu}g$/mL to 332.52 ${\mu}g$/mL. The amounts of total sugars in PE from Iran-A evidenced relatively high total sugar contents, but low uronic acid levels (11.92 mg/mL).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as follows: Turkey> Uzbekistan $\gg$ Spain> Iran-B> Iran-A> Taiwan. ABTS [2,20-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detected in the following order: Turkey$\geq$ Uzbekistan$\gg$ Spain> Iran-B> Iran-A> Taiwa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Es from Turkey with higher levels of TPC, TAC, ellagic acid, and higher radical scavenging activity may constitute a promising functional source for the prevention of several degenerative diseases.

감귤과즙을 이용한 산형음료 발효 및 발효음료의 항균효과 (Acidic Beverage Fermentation Using Citrus Juice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Fermented Beverage)

  • 정지숙;김성호;김미림;최경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8호
    • /
    • pp.1037-1043
    • /
    • 2008
  • 감귤과즙으로 새로운 산형음료 개발을 위해 tea fungus로부터 분리한 G. hansenii TF-2 균을 이용하였다. 과즙배지는 $11{\sim}17%(v/v)$의 과즙에 초기 당도를 $10^{\circ}Brix$로 하였다. G. hansenii TF-2에 의한 발효는 과즙배지에 활성화시킨 seed gel을 5%(w/v) 첨가하여 $29{\pm}1^{\circ}C$에서 15일 배양하면서 5일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발효 동안 발효액 표면에는 막을 생성하고 액에는 다양한 유기산을 생성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발효액은 7,0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 하여 사용하였다. $5{\sim}10$일 사이에 유기산 등의 기타 대사산물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발효가 진행되면서 malic acid, acetic acid, itric acid, succinic acid, fumaric acid 등의 다양한 유기산이 생성되었으며, 특히 발효 전반에 acetic acid가 관여하였다. 주요 산으로는 acetic acid이었다. 발효 15일째 측정에 의하면, acetic acid 함량은 $183.5{\sim}186.6\;ppm$이 검출되었다. 배양 동안 CB11의 유리당은 sucrose, glucose, fructose 그리고 sorbitol이 확인되었으며 각각 56.8%, 35.1%, 40.7%, 63.2%가 검출되었다. 음용 시 식품에 관련된 세균에 대해 CB11가 $71.9{\sim}94.0%$의 저해율을 나타내었으며 그람 양성균 보다는 그람 음성균에서 더 효과적이었다.

참나물의 이화학적 성분 (Physicochemical Compositions of Pimpinella brachycarpa)

  • 이재준;추명희;이명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27-331
    • /
    • 2007
  • 참나물의 식품영양학적인 측면의 우수성과 생리활성 이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일반성분과 영양성분을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은 건물(dry basis) 기준으로 조단백질 28.73%, 조지방 2.66%, 회분 19.14%와 탄수화물 40.50%로 나타났으며, 탄수화물을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다. Glucose, arabinose, galactose, fructose 총 4종의 유리당이 검출되었고, 이당류는 maltose 1종만이 검출되었다. 아미노산은 proline 함량이 가장 많이 검출되었고, 다음으로는 alanine, methionine, lysine 순으로 검출되었으며, 참나물의 구성 아미노산은 전체적으로 고루 함유되어 있었다. 지방산은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palmitic acid 순이었으며, 고도불포화지방산이 전체의 68.60%를 차지하고 있었다. 비타민 A와 E의 함량은 각각 9.23 mg%, 0.26 mg%이었다. 유기산은 총 3종이 검출되었으며, oxalic acid, succinic acid, malic acid 순으로 검출되었다. 무기질은 Ca>Mg>Na>Fe>K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참나물은 체내 신진대사와 생리활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유리당, 필수아미노산 및 필수지방산을 비롯한 비타민과 무기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참나물이 식품으로서의 이용화가치가 한 층 더 높아질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여주 피클 숙성 중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변화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Bitter Melon (Momordica charantia L.) Pickle during Ageing)

  • 이희율;박경숙;주옥수;황정은;안민주;정영심;홍수영;권오경;강상수;육흥주;김행란;박동식;조계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401-411
    • /
    • 2015
  • 여주는 항당뇨, 항암, 항염증, 항바이러스 및 항산화 활성의 다양한 생리적 효능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쓴맛으로 인해 여주를 이용한 식품 개발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주를 이용하여 피클을 제조하고 숙성 기간 중 품질 특성과 항산화 활성을 살펴보았다. 숙성 4주 후에 피클의 pH, 염도, 가형성 고형분 및 환원당은 감소하였고 산도는 증가하였다. 한편 총 균수, 젖산균수 및 효모균수는 1주까지 빠르게 증가하다가 이후에는 약간 감소하였다. 여주 피클 숙성 중 수용성 phenolics는 증가하였고 이에 상응하여 항산화 활성도 증가하였다. 또한 여주 피클의 조단백질, 칼륨 및 인 함량은 여주 원료보다는 낮았으나 조지방 및 소금 함량은 높았다. 여주 피클 숙성 중 쓴맛과 향의 개선을 위하여 옥수수수염 추출물을 첨가하였는데 0.25% 옥수수수염 추출물 여주 피클이 관능적으로 가장 우수하였다.

떫은감의 재배지역과 품종에 따른 영양성분 특성 (Characteristics of Nutritional Components in Astringent Persimmons according to Growing Region and Cultivar)

  • 변린린;유수연;박정진;양수진;정현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79-38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떫은감의 대표적인 품종인 대봉감과 반시의 일반성분 및 영양성분을 분석하고 비교하였으며, 대봉감과 반시의 재배지역별 영양성분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다양한 영양성분은 품종에 따라 다른 함량을 나타냈는데 대봉감 품종은 불용성 식이섬유, 베타카로틴, 과당, 자당, 만니톨, 칼륨, 사과산, 호박산, 총 페놀화합물이 반시 품종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반대로 반시 품종은 수분 함량, 조단백질 함량, 비타민 C, 칼슘, 망간, 주석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대봉감 품종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재배지역에 따라 많은 성분들이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다른 지역에 비해 비교적 높은 함량을 보이는 영양성분은 A지역은 베타카로틴, 솔비톨, 만니톨, 아연, 총 페놀화합물, B지역은 조지방 함량, 리코펜, 자당, 자일리톨, 사과산, C지역은 호박산, D지역은 수분 함량, 망간, 탄닌, E지역은 조단백질 함량, 나트륨, 망간, 칼슘, 주석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떫은감은 품종이나 재배지역에 따라 많은 영양성분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런 차이는 떫은감을 활용한 가공제품 생산 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으로 생각된다.

함초 씨앗의 화학적 특성과 아질산염 소거능 및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스 저해 효과 (Chemical Properties and Nitrite Scavenging and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ies from Salicornia herbaciea Seed)

  • 임금숙;김란;전경미;최현숙;조훈;고하영;최창남
    • KSBB Journal
    • /
    • 제28권6호
    • /
    • pp.372-379
    • /
    • 2013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emical properties and nitrite scavenging and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ies from Salicornia herbaciea seed. The lactic acid content of seed was about 2.0 fold higher than that of stem. Among various free sugars, the maximum fructose of seed, glucose of stem, and mannose contents of root were obtained, 176.3, 125.6, and 112.8 mg/100g, respectively. The maximum leucine content of seed among the essential amino acid was obtained, 853.7 mg/100g, which was about 3.0 or 6.0 folds higher than that of root or stem. In the case of glutamic acid of seed, it was 2,388.7 mg/100g, which was 5.6 or 9.8 folds higher han that of root or stem. The ratio of essential amino acid and total amino acid of seed was 30.14%. The ${\gamma}$-aminobutyric acid contents of seed, stem, and root were 43.87, 23.88, and 27.8 mg/100g, respectively. The catechin content of seed was an order of epigallocatechin (723.2 mg/100g) > epigallocatechingallate (654.3 mg/100g) > epicatechin (443.5 mg/100g) > gallocatechin (314.1 mg/100g). Especially, the non-gallated catechins content was about 2.0 folds higher than that of gallated catechins content. The 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seed increased from 38.7 to 65.9% when the hot-water extract content of seed at pH 1.2 increased from 1.0 to 5.0 mg/mL. However, it was decreased to 25.7% at pH 6. The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y of seed was increased from 13.2 to 44.6% when the extract content increased from 20 to 100 mg/mL. These results show that S. herbaciea seed has a good potential to be used as a source of material or additive in cosmetics, food, and drug compos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