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R Model

검색결과 267건 처리시간 0.034초

The Roles of Peroxiredoxin and Thioredoxin in Hydrogen Peroxide Sensing and in Signal Transduction

  • Netto, Luis E.S.;Antunes, Fernando
    • Molecules and Cells
    • /
    • 제39권1호
    • /
    • pp.65-71
    • /
    • 2016
  • A challenge in the redox field is the elucidation of the molecular mechanisms, by which $H_2O_2$ mediates signal transduction in cells. This is relevant since redox pathways are disturbed in some pathologies. The transcription factor OxyR is the $H_2O_2$ sensor in bacteria, whereas Cys-based peroxidases are involved in the perception of this oxidant in eukaryotic cells. Three possible mechanisms may be involved in $H_2O_2$ signaling that are not mutually exclusive. In the simplest pathway, $H_2O_2$ signals through direct oxidation of the signaling protein, such as a phosphatase or a transcription factor. Although signaling proteins are frequently observed in the oxidized state in biological systems, in most cases their direct oxidation by $H_2O_2$ is too slow ($10^1M^{-1}s^{-1}$ range) to outcompete Cys-based peroxidases and glutathione. In some particular cellular compartments (such as vicinity of NADPH oxidases), it is possible that a signaling protein faces extremely high $H_2O_2$ concentrations, making the direct oxidation feasible. Alternatively, high $H_2O_2$ levels can hyperoxidize peroxiredoxins leading to local building up of $H_2O_2$ that then could oxidize a signaling protein (floodgate hypothesis). In a second model, $H_2O_2$ oxidizes Cys-based peroxidases that then through thiol-disulfide reshuffling would transmit the oxidized equivalents to the signaling protein. The third model of signaling is centered on the reducing substrate of Cys-based peroxidases that in most cases is thioredoxin. Is this model, peroxiredoxins would signal by modulating the thioredoxin redox status. More kinetic data is required to allow the identification of the complex network of thiol switches.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Repressor of Temperate S. aureus Phage Φ11

  • Das, Malabika;Ganguly, Tridib;Chattoraj, Partho;Chanda, Palas Kumar;Bandhu, Amitava;Lee, Chia Yen;Sau, Subrata
    • BMB Reports
    • /
    • 제40권5호
    • /
    • pp.740-748
    • /
    • 2007
  • To gain insight into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repressor proteins of bacteriophages of gram-positive bacteria, repressor of temperate Staphylococcus aureus phage ${\phi}11$ was undertaken as a model system here and purified as an N-terminal histidine-tagged variant (His-CI) by affinity chromatography. A ~19 kDa protein copurified with intact His-CI (~ 30 kDa) at low level was resulted most possibly due to partial cleavage at its Ala-Gly site. At ~10 nM and higher concentrations, His-CI forms significant amount of dimers in solution. There are two repressor binding sites in ${\phi}11$ cI-cro intergenic region and binding to two sites occurs possibly by a cooperative manner. Two sites dissected by HincII digestion were designated operators $O_L$ and $O_R$, respectively. Equilibrium binding studies indicate that His-CI binds to $O_R$ with a little more strongly than $O_L$ and binding species is probably dimeric in nature. Interestingly His-CI binding affinity reduces drastically at elevated temperatures ($32-42^{\circ}C$). Both $O_L$ and $O_R$ harbor a nearly identical inverted repeat and studies show that ${\phi}11$ repressor binds to each repeat efficiently. Additional analyses indicate that ${\phi}11$ repressor, like $\lambda$ repressor, harbors an N-terminal domain and a C-terminal domain which are separated by a hinge region. Secondary structure of ${\phi}11$ CI even nearly resembles to that of $\lambda$ phage repressor though they differ at sequence level. The putative N-terminal HTH (helix-turn-helix) motif of ${\phi}11$ repressor belongs to the HTH -XRE-family of proteins and shows significant identity to the HTH motifs of some proteins of evolutionary distant organisms but not to HTH motifs of most S. aureus phage repressors.

소셜 미디어 과부하가 사용자의 비의도적 회피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Social Media Overload on Users' Unintentional Avoidance Behavior)

  • 차오신;오세환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32권3호
    • /
    • pp.165-181
    • /
    • 2023
  • Purpose Digital platforms, together with the innovative technologies of modern society, are accelerating the digital innovation of the entire economy and society. Although social media platforms are gradually integrated into daily life, due to social media overload, users limit their use of the platform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eventually choose to stop using it. In the context of social media platform,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effects of information overload, social overload and system function overload on users' unintentional avoidance behavior, mediated by fatique and dissatisfaction.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influence of social media overload characteristics on users' unintentional avoidance behavior of platform utilization using the S-O-R framework. Data from 236 Chinese social media users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and the hypotheses were validated by evaluating the research model using the SmartPLS 4.0 program using Partial Least Square (PLS) method. Findings According to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 based on the S-O-R model, first, it is confirmed that information overload and system feature overload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fatigue. Second, this study finds that information overload, social overload and fatigue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dissatisfaction. Thirdly, fatigue and dissatisfaction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unintentional avoidance. In addition, social overload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fatigue, while system feature overload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dissatisfaction.

(${\eta}^5-Cp^*$)(Ir-B3)(1,2-S,S($CH_2SiMe_3$)-o-carborane) ($C_{16}H_{35}B_{10}IrS_2Si$)의 합성 및 결정구조 (The Synthesis and Crystal Structure of (${\eta}^5-Cp^*$)(Ir-B3)(1,2-S,S($CH_2SiMe_3$)-o-carborane)($C_{16}H_{35}B_{10}IrS_2Si$))

  • 조성일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18권1_2호
    • /
    • pp.1-6
    • /
    • 2007
  • 유기금속 화합물 $C_{16}H_{35}B_{10}IrS_2Si$를 o-carborane으로 출발하여 $Cp^*Ir(S_2C_2B{10}H_{10})$을 합성하고, $Me_3SiCHN_2$를 가하여 합성하였다. X-선 회절법을 이용하여 $C_{16}H_{35}B_{10}IrS_2Si$ 화합물의 분자구조를 규명하였다. 이 화합물의 결정학적 자료는 monoclinic, space group $P2_1/n$, $a=10.1986(12)\;{\AA}$, $b=14.834(5)\;{\AA}$, $c=17.139\;{\AA}$, ${\beta}=92.24(2)^{\circ}$, Z=4, $V=2591.0(14)\;{\AA}^3$이다. 결정 구조는 직접법으로 해석하였으며, 완전행렬최소자승법을 정밀화 하였으며 5080개의 회절 반점에 대하여 최종 신뢰도 인자 R=0.053인 분자모형을 구하였다.

Atomic structure and crystallography of joints in SnO2 nanowire networks

  • Hrkac, Viktor;Wolff, Niklas;Duppel, Viola;Paulowicz, Ingo;Adelung, Rainer;Mishra, Yogendra Kumar;Kienle, Lorenz
    • Applied Microscopy
    • /
    • 제49권
    • /
    • pp.1.1-1.10
    • /
    • 2019
  • Joints of three-dimensional (3D) rutile-type (r) tin dioxide ($SnO_2$) nanowire networks, produced by the flame transport synthesis (FTS), are formed by coherent twin boundaries at $(101)^r$ serving for the interpenetration of the nanowires.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methods, i.e. high resolution and (precession) electron diffraction (PED), were utilized to collect information of the atomic interface structure along the edge-on zone axes $[010]^r$, $[111]^r$ and superposition directions $[001]^r$, $[101]^r$. A model of the twin boundary is generated by a supercell approach, serving as base for simulations of all given real and reciprocal space data as for the elaboration of three-dimensional, i.e. relrod and higher order Laue zones (HOLZ), contributions to the intensity distribution of PED patterns. Confirmed by the comparison of simulated and experimental findings, details of the structural distortion at the twin boundary can be demonstrated.

Prediction of Growth of Escherichia coli O157 : H7 in Lettuce Treated with Alkaline Electrolyzed Water at Different Temperatures

  • Ding, Tian;Jin, Yong-Guo;Rahman, S.M.E.;Kim, Jai-Moung;Choi, Kang-Hyun;Choi, Gye-Sun;Oh, Deog-Hwan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32-237
    • /
    • 2009
  • 본 연구는 오염된 양상치를 알카리전해수로 세척한 처리구와 비처리구에 오염된 E. coli O157 : H7균이 다양한 온도 (4, 10, 15, 20, 25, 30, $35^{\circ}C$)에 저장할 경우 이균의 specific growth rate (SCR) 과 lag time (LT) 생육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한 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E. coli O157 : H7의 specific growth rate (SGR) 과 lag time (LT)를 결정하기 위해 생육도를 Gompertz 식을 사용하여 fitting한 결과, $R^2$값이 0.994로 나타났다. 실험값으로부터 얻은 SGR과 LT는 저장온도에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4^{\circ}C$에서 $35^{\circ}C$까지 온도가 증가할수록 성장 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IEW 처리구 또는 비처리구의 양상치 에서 E. coli O157 : H7의 성장 kinetics에 대한 저장 온도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SRG에 대한 두개의 모델을 개발하였다. 유도된 2개의 모델 검증은 $R^2$, $R^2_{Adj}$ (adjusted determination coefficient) 및 MSE (mean square error)를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 $R^2$, $R^2_{Adj}$가 1 (>0.93)에 근접하였으며, 알카리 전해수 처리구 및 비처리구 양상치 모델의 MSE는 각각 0.031, 0.025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연구에서 개발된 모델의 생육변수는 실험 치에서 얻은 E. coli O157 : H7의 생육변수 결과와 매우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존 세분화에 따른 내부 소존 간의 O-D 통행량 추정 방법 (Estimating O-D Trips Between Sub-divided Smaller Zones Within a Traffic Analysis Zone)

  • 김정인;김익기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575-583
    • /
    • 2015
  • 한국교통연구원은 수도권 및 광역권의 기종점 자료를 읍면동 행정단위로 교통존을 세분화하여 배포하고 있으며, 지방부는 자료의 한계로 시군구 행정단위로 교통존을 구축하여 배포하고 있다. 도로 및 철도사업에서 사업 주변 지역에 정교한 통행 패턴을 분석하기 위해서 특정 교통존을 더욱 잘게 나누어 세분화된 교통존을 구축하는 과정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본 연구는 시군구 행정단위의 지방부 교통존에서 읍면동 행정단위로 세분화된 교통존의 O-D 통행량을 추정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수도권 및 광역권의 공간적인 내부 통행 분포 패턴을 토대로 교통존의 인구 밀도를 저, 중, 고밀도 그룹으로 분류하고 그룹별 직접수요모형과 중력모형의 계수 값을 정산하였다. 그리고 회귀분석을 수행하여 내부 통행 분포 패턴을 잘 설명하는 모형을 최종적으로 선별하고 정산된 모형을 지방부에 적용하여 내부 교통존을 세분화한 교통존 간 통행량을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power function을 저항함수로 정산한 중력모형의 수정된 $R^2$가 인구 저밀도 그룹에서는 0.7426, 중밀도 그룹에서는 0.6456, 고밀도 그룹에서는 0.7194로 산출되었으며 본 모형이 교통존 내부의 세부존 간의 통행 패턴을 우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인제군에 정산된 모형을 적용하여 세부존 간 통행량을 산출하는 예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세분화 교통존의 O-D 통행량 추정 방법론을 이용할 경우, 세분화된 교통존 간 통행량을 구축하여 통행 패턴을 좀 더 체계적이고 정교하게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복수 중력모형의 구축과 적용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lural Gravity Models and their Application Method)

  • 유영근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60-68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중력모형의 예측 정확도 향상을 위하여 복수의 중력모형을 구축하여 적용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방법은 결정계수($R^2$)를 이용하여 목표수준을 결정하고, 중력모형을 구축한다. 구축된 중력모형의 결정계수가 목표수준을 만족하면 모형 구축을 종료하고, 장래 통행분포 예측을 행한다. 만약 결정계수가 목표수준을 만족하지 못하면 목표수준에 만족할 때까지 구축된 모형에서 표준화 잔차가 큰 순서로 죤 페어(Zone pair)를 제거한다. 제거된 죤 페어들은 구축된 모형을 기준으로 보면 +영역과 -영역으로 나누어지는데 각 영역에서 중력모형을 구축하고 목표수준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제거해야 할 죤 페어가 존재하지 않으면 모형구축 작업이 중단되고, 장래 통행분포량 예측을 한다. 사례연구에서 개발된 방법을 42개 죤페어에 적용하여 보았는데, 기존방법, 즉 하나의 중력모형으로 구축하면 설명력($R^2$)이 51.3%였으나, 개발된 방법은 3개의 중력모형을 구축하고, 설명력($R^2$)이 90% 이상되었다. 또한, 장래 예측 정확도도 기존 방법보다 월등히 높은 것으로 검정 되었다.

O(log n)의 병렬 시간이 소요되는 Solid Grid 그래프를 위한 Depth-First Search 알고리즘 ((An O(log n) Parallel-Time Depth-First Search Algorithm for Solid Grid Graphs)

  • 허준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3권7호
    • /
    • pp.448-453
    • /
    • 2006
  • 본 논문은 평면 그래프를 위한 병렬 depth-first search (DFS) 알고리즘 [SIAM J. Comput., 19 (1990) 678-704]을 비 평면일 (non-planar) 수 있는 grid 그래프의 한 종류인 solid grid 그래프에 대해서도 수행 가능하도록 확장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 알고리즘은 Priority PRAM 모델에서 $O(n/sqrt{log\;n})$개의 프로세서로 수행했을 때 O(log n)의 병렬 시간이 소요된다. 우리의 지식으로, 이는 비 평면 그래프를 위한 첫 번째 결정적 NC (deterministic NC) 알고리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