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DMB

검색결과 229건 처리시간 0.023초

모바일 동영상 서비스 사용다양성과 사용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on use diversity or usage of mobile video services)

  • 김민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2호
    • /
    • pp.389-396
    • /
    • 2016
  • 본 연구는 IPTV 가입여부, DMB 시청여부, 지상파 방송 콘텐츠 제공여부, 모바일 동영상 서비스의 6가지 속성별 만족도(콘텐츠 다양성, 화질, 재생품질, 부가서비스, 이용편리성, 데이터소모량)가 모바일 동영상 서비스 사용 다양성과 사용정도에 각각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IPTV 가입여부, DMB 시청여부, 지상파 방송 콘텐츠 제공여부는 모바일 동영상 서비스 사용다양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상파 방송 콘텐츠 제공여부, 재생품질 만족도는 모바일 동영상 서비스 사용정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모바일 동영상 서비스에서 지상파 방송 콘텐츠 제공여부가 핵심요소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스마트폰 기반의 DGPS 단말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DGPS device-based on Smart Phone)

  • 방성민;홍성수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798-803
    • /
    • 2015
  • DGPS는 기존 GPS의 위치측위 정밀도를 지상 기준국의 보정정보를 이용하여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이다. 현재 전국을 대상으로 DGPS 보정정보 송출이 가능하도록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으나, 고가의 DGPS 전용장비가 필요하다는 제약으로 제한된 분야에서만 활용되고 있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DGPS 단말의 개발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다양한 위치기반 서비스에 DGPS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위치기반 서비스의 새로운 서비스 모델의 구현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환경에서 DMB 방송망, 이동통신망을 통해서 수신된 DGPS 보정정보를 활용하여 고정밀 위치측위가 가능한 DGPS 단말 개발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한다.

실시간 COFDM시스템을 위한 효율적인 구조를 갖는 비터비 디코더 설계 (The viterbi decoder implementation with efficient structure for real-time 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 황종희;이승열;김동순;정덕진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2권2호
    • /
    • pp.61-74
    • /
    • 2005
  •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은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무선환경의 이동체에 전송하기 위해 제안된 방식이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DM시스템은 COFDM 변조방식을 사용하여 다중 경로 페이딩 현상을 극복하고, 동시에 강력한 채널오류 정정 능력을 필요로 한다. DMB 수신기를 위한 비터비 디코더(구속장 7, code rate 1/4)는 가변 부호화된 데이터의 복호화를 수행해야 하고, 방송시스템이므로 실시간으로 동작하기 위해서 효율적인 구조를 가져야 한다. 따라서 DMB 시스템을 위한 비터비 디코더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복호화 과정을 고속으로 수행할 수 있는 별도의 전용 하드웨어 모듈을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논문에서는 많은 연산량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는 결합된 Add-Compare-Select(ACS)와 Path Metric Normalization(PMN)구조를 새롭게 제안하고자 한다. PMN구조에서의 단점인 comparison tree에 의한 임계 경로(critical path)의 문제를 고정치(fixed value)에 의한 선택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고속 동작이 가능하게 하였고, ACS구조에서는 분할 기법(decomposition method)과 선계산(pre-computation)을 이용하여 덧셈기, 비교기, 표준화기의 복잡도를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펑처드 비터비 디코더는 일반적인 구조를 적용했을 때 보다 면적 $3.78\%$, 전력소모 $12.22\%$, 최대 게이트 지연 $23.80\%$의 감소율을 보였다.

무선망 환경에 따른 N스크린의 서비스품질과 시스템품질이 고객만족과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rvice Quality and System Quality on Customer's Satisfaction and Continued Usage Intention of N-Screen Service Regarding Mobile Network Condition)

  • 박창묵;김동우;이창형;김광호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223-233
    • /
    • 2013
  • 본 논문은 무선망 환경에서의 서비스품질과 시스템품질이 고객만족과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기존의 DMB와 IPTV 논문에서 다루어진 서비스품질(반응성, 공감성) 및 시스템품질(접속성, 사용용이성, 채널이동성)의 요인들을 차용하여 가설을 설정하고 연구모형을 완성하였으며, 실험연구 및 설문조사를 통해 이를 증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3G망보다 와이파이망 이용자들의 서비스품질과 시스템품질에 대한 기대치가 높게 나타났으며 전송속도와 같은 시스템품질 보다는 서비스품질에 대해 더 민감하게 반응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은 기존 DMB와 IPTV 논문에서 다루어진 요인들을 N스크린 영역에 적용하여 연구영역을 확장하고 이해도를 높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PEG 서비스 추진 동향 (A Study on Tranport Protocol Experts Group Service)

  • 전황수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2권6호
    • /
    • pp.170-181
    • /
    • 2007
  • TPEG는 디지털방송 매체를 통해 교통 및 여행정보를 전송하는 표준 프로토콜로 이동환경에서 운전자들에게 실시간으로 교통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킬러 애플리케이션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교통정보를 데이터화해 지상파 DMB, DAB 등의 매체를 통해 이용자의 위치와 주변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기술로 데이터의 부호화, 복호화 및 필터링 등 다양한 규격을 포함한다. TPEG는 DMB 등 휴대이동방송이 시작되면서 디지털 방송신호를 통해 개인 단말기에 멀티미디어 교통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최근 각광을 받고 있다. 본 고에서는 TPEG 서비스의 개요 및 개발현황, 사업자들의 TPEG 서비스 추진현황을 살펴보고, TPEG 서비스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S-DMB와 2.4/5 GHz WLAN 신호 수신을 위한 이중 광대역 다이폴형 안테나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Dual Wideband Dipole Type Antenna for the Reception of S-DMB and 2.4/5 GHz WLAN Signals)

  • 김성민;양운근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1021-1029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S-DMB(Satellit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와 2.4/5 GHz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신호 수신을 위한 이중 광대역 다이폴형 안테나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제안된 안테나는 기존 모노폴형 이중 대역 안테나를 기본으로 하여 평면형 광대역 다이폴 형태로서 $8{\times}33.8{\times}1.68mm^3$ 크기로 구현되었다. 안테나는 1.6 mm 두께의 FR4 기판위에 인쇄되어 있는 형태로 중심부에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다이폴 형태의 안테나와 높은 주파수에서 공진 특성을 가지는 두 개의 대칭 구조로 구성된 공진 소자로 되어 있다. 또한 전산 모의 실험으로 각 주파수 대역에서 안테나의 표면에 전류가 밀집되는 곳을 확인하였다. 전류가 밀집된 부분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서 각 주파수 대역에서 독립적으로 공진 주파수를 변화시킬 수 있었다. 그리고 입력 임피 던스 대역폭$(VSWR\leq2)$이 2 GHz 대역에서 362 MHz(14.23 %), 5 GHz 대 역 에서 1188 MHz(22.13 %)로 광대역 특성을 나타내었다. 측정된 안테나의 최대 이득은 2 GHz 대역에서 4.33 dBi이고 5 GHz 대역에서 5.48 dBi로서 이득 면에서 개선되었다. 제작된 안테나는 전 방향성의 양호한 방사 패턴 특성을 갖는다.

다중 선로가 로딩된 T-DMB 수신용 차량 글래스 안테나 설계 (Design of a Multi-Stripline Loaded On-Glass Antenna for T-DMB Applications)

  • 강우준;계영철;박슬기;오정훈;추호성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664-672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다중 선로를 로딩시킨 새로운 구조의 글래스 안테나를 설계하였다. 제안된 안테나는 광대역 주파수 특성을 얻기 위하여 중심 선로에 다중 선로를 로딩하였으며, 수직 편파 복사 이득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중 중심 선로 구조를 채택하였다. 세부적인 설계 변수는 Pareto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최적화하였으며, 이러한 설계 변수를 바탕으로 글래스 안테나를 실제 차량 유리에 인쇄한 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T-DMB 중심 주파수를 기준으로 49 %의 반전력 대역폭과 -3 dBi 이상의 전면 방향(bore- sight direction) 수직 편파 복사 이득, azimuth 방향에서 평균 -10 dBi 이상의 수직 편파 복사 이득을 보였다.

지상파 DMB용 Outer 인코더/리코더의 설계 및 구현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Outer Encoder/Decoder for Terrestrial DMB)

  • 원지연;이재흥;김건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1A권1호
    • /
    • pp.81-88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디지털 방송규격인 지상파 DM용 Outer 인코더/디코더를 설계하고 ALTERA의 FPGA를 이용하여 구현하고 검증하였다. 인코더 부분에서는 입력되는 MPEG-2 TS 패킷(188바이트)으로부터 비트 시리얼 알고리즘을 이용한 RS(Reed-Solomon) 인코더를 이용해 패리티 바이트(16바이트)를 생성하고 군집에러를 효과적으로 수정하기 위해 콘볼루션 인터리버를 구현해 데이터를 분산 출력 시켰다. 디코더 부분에서는 인코더에서 송신된 데이터에서 DMB에 적합한 동기 바이트 검출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하였으며, RS디코더는 수정된 유클리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회로구성을 간략화 하였다. 본 시스템은 하나의 패킷에서 최대 8바이트의 에러를 수정할 수 있고, C언어를 이용하여 알고리즘을 검증하고 VHDL로 작성하였으며, FPGA 칩 상에서 회로를 검증하였다.

T-DMB 동일 채널 중계기의 RF 불균형 보상 및 성능 개선 (Compensation of RF Impairment and Performance Improvement of Digital on Channel Repeater in the T-DMB)

  • 김기영;유상범;유흥균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453-461
    • /
    • 2011
  • 방송 대역의 한정된 주파수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지상파 방송의 난시청 지역 해소와 방송 품질 향상을 위해 중계기의 중요성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OFDM 시스템의 T-DMB 동일 채널 중계기는 전송된 신호의 일부가 궤환되어 다시 수신 안테나에 입력되는 궤환 간섭 신호가 발생하고, 위상 잡음(phase noise)으로 인한 ICI(Inter Carrier Interference)가 증가하여 등화기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상관도를 적용한 LMS(Least Mean Square)를 이용하여 궤환 간섭 신호를 제거한다. 또한, 전력 증폭기(high power amplifier)의 백-오프 특성과 위상 잡음에 의해 발생하는 ICI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적인 등화 알고리듬을 제시한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하여 back-off=9 dB 상태에서 위상 잡음 -20 dBc의 경우 위상 잡음을 보상하여 SNR=14 dB 이하에서 BER=$10^{-4}$의 성능을 만족할 수 있다.

Design of Hot-spot generator for inserting content-based interactive advertising on DMB broadcasting

  • Park, Tae-Jin;Park, Se-Hyun;Lim, Soon-Bum;Choy, Yoon-Chul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1765-1774
    • /
    • 2008
  • Due to recent increase of product placement(aka. PPL) in TV drama and entertainment program, the audience of these programs is exposed to the advertisement in the form of the props and backgrounds without discernment. Advancement in digital data broadcasting technology enabled advertisers to insert detailed information of the product or associated advertisement link into the content of the broadcast program as an interactive advertisement. With the interactive advertisement, the audience can focus on the content of the program and the advertiser can create an advertisement with a rich content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dvertisement and the audience. It is possible because the interactive advertisement is dynamic advertisement behavior only activated by the audience's intention. In this research, we develop a Hot-spot generator to insert interactive advertisement in the DMB broadcast program. We also suggest dynamic Hot-spot generation technique that allows the Hot-spot object to follow not only the shape of the advertising object in the program, but also the movement of the object as the program progress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