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100 beta

검색결과 720건 처리시간 0.023초

쥐 뇌에서 발현되는 S-100 Beta유전자의 Polymorphism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증거 (Molecular Evidence for the Presence of Polymorphism in the Gene of S-100 Beta Protein Expressed in Rat Brain)

  • 신송우;권오식;유민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37-142
    • /
    • 1998
  • 쥐 뇌에서 발현되는 S-100 beta 유전자의 다형현상을 조사하였다.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위한 주형으로는 뇌에서 분리한 mRNA를 직접 역전사한 cDNA, 또는 rat brain cDNA library에서 분리한 phage DNA를 사용하였다. 증폭된 DNA 절편들은 크기가 기존에 보고되었던 것과 일치하였으나 DNA sequencing을 통한 세부적인 분석 결과 coding region 내에 염기변화 (CAT가 CAC로 변함)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이들은 모두 histidine을 결정하는 유전암호이기에 단백질의 1차구조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다형현상으로 결론지어졌다. 본 연구는 S-100 beta 단백질에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다형현상이 존재함을 시사하는 것으로서 S-100beta 효소 유전자의 전체적인 구조를 이해하기 위한 학문적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외상성 뇌손상 환자에 있어서 S100β의 혈중 농도와 뇌손상의 정도 및 예후의 관계 (Relation between Serum S100β and Severity and Prognosis in Traumatic Brain Injury)

  • 김오현;이강현;윤갑준;박경혜;장용수;김현;황성오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0권2호
    • /
    • pp.138-143
    • /
    • 2007
  • Purpose: $S100{\beta}$, a marker of traumatic brain injury (TBI), has been increasingly focused upon during recent years. $S100{\beta}$, is easily measured not only in cerebrospinal fluid (CSF) but also in serum. After TBI, serum S 10019, has been found to be increased at an early st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correlations between serum $S100{\beta}$, and neurologic outcome, and severity in traumatic brain injury. Methods: From August 2006 to October 2006, we made a protocol and studied prospectively 42 patients who visited the emergency room with TBI. Venous blood samples for $S100{\beta}$, protein were taken within six hours after TBI and vital signs, as well as the Glasgow Coma Scale (GCS), were recorded. The final diagnosis and the severity were evaluated using the Abbreviated Injury Score (AIS), and the prognosis of the patients was evaluated using the Glasgow Outcome Score (GOS). Results: Thirty-eight patients showed a favorable prognosis (discharge, recovery, transfer), and four showed an unfavorable prognosis. Serum $S100{\beta}$, was higher in patients with an unfavorable prognosis than in patients with a favorable prognosis,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existed between the two groups ($0.74{\pm}1.50\;{\mu}g/L$ vs $7.62{\pm}6.53\;{\mu}g/L$ P=0.002). A negative correlation existed between serum $S100{\beta}$, and the Revised Traumatic Score (R2=-0.34, P=0.03), and a positive correlation existed between serum $S100{\beta}$, and the Injury Severity Score (R2=0.33, P=0.03). Furthermore, the correlation between serum $S100{\beta}$, and the initial GCS and the GCS 24 hours after admission to the ER were negative (R2=-0.62, P<0.001; R2=-0.47, P=0.005). Regarding the GOS, the mean serum concentration of $S100{\beta}$, was $7.62\;{\ss}{\partial}/L$ (SD=${\pm}6.53$) in the expired patients, $1.15\;{\mu}g/L$ in the mildly disable patient, and $0.727\;{\mu}g/L$ (SD=${\pm}0.73$) in the recovered patients. These differenc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Conclusion: In traumatic brain injury, a higher level of serum concentration of $S100{\beta}$, has a poor prognosis for neurologic outcome.

S. platensis로부터 phycobiliprotein의 분리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Isolation of Phycobiliprotein from S. platensis)

  • 김점지;김윤경;이미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5권5호
    • /
    • pp.484-489
    • /
    • 2004
  • S. platensis로부터 phycobiliprotein을 $30-60{\%}$ 황산암모늄 분별침전법과 Sephadex G-100 gel filtration 및 DEAE-Sephacel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의 순서로 4.23의 정제도로 분리하였다. 분리된 phycobiliprotein은 최대흡수 파장이 620 nm인 c-phycocyanin이었다. 분리된 phycobiliprotein은 SDS-PAGE상에서 $({\alpha}$$({\beta}$의 두개의 소단위체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alpha}$$({\beta}$ 소단위체의 분자량은 각각 14.5 kDa과 16 kDa 부근이었다. 또한 gel filtration을 사용한 변성 전 분자량은 약 100 kDa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분리한 phycobiliprotein이 $({\alpha}{\beta})_{3}-trimer$로 이루어졌음을 보여준다.

  • PDF

S100ß, Matrix Metalloproteinase-9, D-dimer, and Heat Shock Protein 70 Are Serologic Biomarkers of Acute Cerebral Infarction in a Mouse Model of Transient MCA Occlusion

  • Choi, Jong-Il;Ha, Sung-Kon;Lim, Dong-Jun;Kim, Sang-Dae;Kim, Se-Hoo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1권5호
    • /
    • pp.548-558
    • /
    • 2018
  • Objective : Diagnosing acute cerebral infarction is crucial in determining prognosis of stroke patients. Although many serologic tests for prompt diagnosis are available, the clinical application of serologic tests is currently limited. We investigated whether $S100{\beta}$, matrix metalloproteinase-9 (MMP-9), D-dimer, and heat shock protein 70 (HSP70) can be used as biomarkers for acute cerebral infarction. Methods : Focal cerebral ischemia was induced using the modified intraluminal filament technique. Mice were randomly assigned to 30-minute occlusion (n=10), 60-minute occlusion (n=10), or sham (n=5) groups. Four hours later, neurological deficits were evaluated and blood samples were obtained. Infarction volumes were calculated and plasma $S100{\beta}$, MMP-9, D-dimer, and HSP70 levels were measured using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Results : The average infarction volume was $12.32{\pm}2.31mm^3$ and $46.9{\pm}7.43mm^3$ in the 30- and 60-minute groups, respectively. The mean neurological score in the two ischemic groups was $1.6{\pm}0.55$ and $3.2{\pm}0.70$, respectively. $S100{\beta}$, MMP-9, and HSP70 expression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4 hours of ischemia (p=0.001). Furthermore, $S100{\beta}$ and MMP-9 expressions correlated with infarction volumes (p<0.001) and neurological deficits (p<0.0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dimer expression between groups (p=0.843). The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AUC) showed high sensitivity and specificity for MMP-9, HSP70 (AUC=1), and $S100{\beta}$ (AUC=0.98). Conclusion : $S100{\beta}$, MMP-9, and HSP70 can complement current diagnostic tools to assess cerebral infarction, suggesting their use as potential biomarkers for acute cerebral infarction.

유산균 및 홍국균 발효 꽃송이버섯 추출물과 잔사의 식이섬유와 베타 글루칸의 함량 (Dietary Fiber and β-Glucan Contents of Sparassis crispa Fruit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brevis and Monascus pilosus)

  • 임창완;강경규;유영복;김병희;배송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2호
    • /
    • pp.1740-174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식이섬유와 ${\beta}$-glucan이 풍부한 꽃송이버섯을 발효한 후 추출하여 이들 성분의 함량을 보다 증가시킨 추출물과 잔사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열풍 건조한 꽃송이버섯 자실체의 분말을 유산균(L. brevis)과 홍국균(M. pilosus)으로 각각 발효한 후 열수와 수용성 에탄올(50, 70, 90%, v/v)로 추출하여 추출물과 잔사를 제조하고 이들의 수용성, 불용성 및 총 식이섬유와 ${\beta}$-glucan의 함량을 버섯원물의 추출물과 잔사의 각 성분의 함량과 비교하였다. 홍국균 발효 버섯의 총 식이섬유 함량은 74.4 g/100 g으로 버섯원물(64.4 g/100 g)과 유산균 발효 버섯(66.1 g/100 g)의 총 식이섬유 함량에 비해서 유의적으로(p<0.05) 높았다. 버섯원물, 유산균 발효 버섯, 홍국균 발효 버섯의 ${\beta}$-glucan 함량(21.9~24.4 g/100 g)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추출물의 경우, 홍국균 발효 버섯의 열수 추출물에서 총 식이섬유(21.6 g/100 g)와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19.3 g/100 g)이 가장 높았으며 버섯 원물의 열수 추출물의 총 식이섬유(16.4 g/100 g)와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14.6 g/100 g)보다도 유의적으로 (p<0.05) 높았다. 홍국균 발효 버섯을 열수 추출하고 남은 잔사의 총 식이섬유 함량은 90.5 g/100 g이었고 이들의 대부분이 불용성 식이섬유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beta}$-glucan 함량은 버섯 원물이나 홍국균 발효 버섯보다 높은 31.0 g/100 g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조한 홍국균 발효 꽃송이버섯의 열수 추출물과 잔사는 각각 액상과 분말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및 가공식품 소재로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체외에서 돼지 황체화 과립막세포의 스테로이드 호르몬 생산에 미치는 Relaxin과 Insulin의 영향 (Effects of Relaxin and Insulin on Porcine Granulosa-lutein Cell Steroidogenesis In Vitro)

  • 이명섭;;이창규;강성근;이병천;황우석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1-77
    • /
    • 2005
  • Relaxin과 insulin이 돼지 난포 과립막세포의 스테로이드 호르몬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위하여 체외에서 황체화된 과립막세포에서 prosesterone과 $17{\beta}-estradiol$의 생산을 조사하였다. 돼지난포 과립막세포를 혈청 존재하에 배양접시에 부착 후 48시간 동안 체외배양하고 무혈청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Relaxin과 insulin의 용량의존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양한 농도 (10, 100, 1,000 ng/ml)를 각각 무혈청 배지에 첨가하였다. 병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100 ng/ml relaxin과 100 ng/ml insulin을 단독 혹은 병합하여 처리하였는데 황체호르몬 (100 ng/ml)을 처리한 경우와 처리하지 않은 경우 모두를 조사, 분석하였다. 최종 배양이 끝난 배양액을 수집하여 RIA법으로 proses-terone과 $17{\beta}-estradiol$의 농도를 조사하였다. Relaxin과 insulin은 용량이 증가될수록 progesterone의 생산을 증가시켰으나 $17{\beta}-estradiol$의 생산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었다. 병합실험에서는 relaxin과 insulin 단독 또는 병합시 황체호르몬 존재 하에서 progesterone의 생산을 증가시켰으나 $17{\beta}-estradiol$의 생산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었다. 결론적으로 relaxin과 insulin은 돼지 황체화 과립막세포의 progesterone 분비를 증가시키지만 $17{\beta}-estradiol$의 생산에는 효과가 없었으며 병합에 의한 상승효과는 없었다. Progesterone 생산에 미치는 relaxin과 insulin의 효과는 황체호르몬의 존재에 의해 증대되었다.

지역 농특산물의 베타카로틴 함량 조사 (A Study on Contents of Beta-Carotene in Local Agricultural Products)

  • 엄현주;강혜정;윤향식;권누리;김영호;홍성택;박진주;이준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35-341
    • /
    • 2019
  • Beta-carotene is the most prominent member of the group of carotenoids, natural colorants that occur in the human diet. Beta-carotene is also an effective source of vitamin A in both conventional foods and vitamin supplements, and it's generally safe.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beta-carotene contents in agricultural products widely and specifically grown in Korea. The beta-carotene contents were ranging from 223 to $27,908{\mu}g/100g$ in leaves, and 0 to $7,588{\mu}g/100g$ in vegetables. In leaves and vegetables, the amount of beta-carotene was the highest in green tea powder ($27,908{\mu}g/100g$), followed by pepper ($7,588{\mu}g/100g$). In fruits, the beta-carotene content was found to range from $0{\mu}g/1,011g$ to maximum of $293.66{\mu}g/100g$(plumcot). However, there beta-carotene was not detected in strawberry. In the case of cereals and specialty crops, the beta-carotene contents were $326{\mu}g/100g$ for non-glutinous rice, $313{\mu}g/100g$ for glutinous rice, $57{\mu}g/100g$ for amaranth and $15{\mu}g/100g$ for pine nut, respectively. However, the beta-carotene content was not detected in other samples. This study revealed the presence of beta-carotene content in agricultural products specifically grown in Korea for nutritional information and food composition database.

대두 ${\beta}-conglycinin$ 유전자 발현의 전사 조절에 관한 연구 -(I) 대두 ${\beta}-conglycinin$ 유전자의 upstream 영역에 결합하는 대두 배 인자의 동정-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soybean ${\beta}-conglycinin$ gene expression. -(I) Identification of a soybean embryo factor interacting with upstream region of soybean ${\beta}-conglycinin$ gene-)

  • 이정연;정동효;김우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6호
    • /
    • pp.547-552
    • /
    • 1993
  • 대두 종자 저장 단백질의 일종인 ${\beta}-conglycinin$ ${\alpha}'$ subunit 유전자의 upstream 지역에 결합하여 전사 조절에 관여하리라 추정되는 대두 핵의 DNA 결합 단백질을 조사하기 위하여 대두 핵 추출물과 S-100을 조제하였다. 염기서열이 AACCCA-27 bp-AACCCA인 합성 DNA를 pUC19에 클로닝한 플라스미드 pSE3를 EcoRI과 HindIII로 절단하여 절편을 분리하고 $^{32}P$ 로 표지하여 이를 gel mobility shift assay 탐침으로 이용한 결과, 대두 핵의 DNA 결합 단백질의 일종인 SEF3(soybean embryo factor 3)의 역가가 핵 추출물과 S-100에서 검출되었다. 각각 CATGCAT, AACACA 염기 서열을 가지는 DNA를 탐침으로 이용하여 SEF3 이외의 DNA 결합 단백질의 역가를 조사한 결과 대두 핵 추출물과 S-100에서 각기의 염기 서열에 결합하는 수 종의 DNA 결합 단백질이 확인되었으나 두 시료에서 공통된 양상을 보여주는 DNA 결합 단백질의 역가는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대두 S-100의 경우에는 개화 후 32일 부근에 SEF3 역가가 검출되는 데에 비하여, 핵 추출물에는 20일 전후에 SEF3 역가가 나타나서 32일 부근에 역가가 현저히 증가하였다.

  • PDF

렌즈에서 UV 차단효과의 평가방법 및 적용 (The Estimation Method and Application of UV-cut effect in Lens)

  • 김용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07-110
    • /
    • 2001
  • 렌즈에서 UV-A선의 차단효율을 평가하기 위해 320~400nm 영역에서 광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기준 CR-39와 sample을 320~400nm 영역에서 광 투과율을 적분하여 면적을 구하였으며, 이들의 면적 대비로 UV-A 차단효율 factor ${\alpha}$, ${\beta}$를 설정하였다. CR-39 렌즈의 질대 차단효율 ${\alpha}$ CR=0.59 값을 얻었다. UV-A 차단효과를 평가할 렌즈의 절대차단효율 ${\alpha}$ 값이면 상대차단효율 ${\beta}$ 값은 $1.69{\alpha}$ 값을 얻었다. 절대적 및 상대적 UV 제거 지수는 각각 $a=(1-{\alpha}){\times}100%$, $b=(1-{\beta}){\times}100%$을 이용하여 얻었다.

  • PDF

Catalase와 $\beta$-Mercaptoethanol이 돼지 태아섬유아세포 Clonal Lines의 배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talase and $\beta$-Mercaptoethanol on the Culture of Clonal Lines form Porcine Fetal Fibroblast Cells)

  • 권대진;박선영;박춘근;양부근;김정익;정희태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01-208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clonal cell lines을 효율적으로 확립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배양액 내에 catalase와 $\beta$ME 첨가가 clonal cell line 확립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임신 50일령의 암퇘지에서 얻은 태아섬유아세포를 2회 passage한 후 동결 보관하였다가 실험에 이용하였다. 단일세포를 catalase나 $\beta$ME가 첨가된 배양액이 들어 있는 96-well dish로 옮겨 배양하였다. 단층이 형성된 세포는 4-well dish로 옮겨주어 배양하였으며, 이후 2회 이상 passage가 가능한 세포를 clonal line이 확립된 세포로 판정하였다. 실험 1에서 clonal line 확립효율에 미치는 catalase와 $\beta$ME의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세포를 100ng/$m\ell$) catalase와 100nM $\beta$ME가 첨가된 DMEM액 내에서 배양하여 clonal line 확립효율을 검토하였다. $\beta$ME 첨가 시 clonal line 확립효율이 8.3%로 대조구의 3.2%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그러나 catalase 첨가 시(3.6%)에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 실험 2에서 catalase 농도(0, 10, 100, 1,000ng/$m\ell$)에 따른 clonal line 확립효율을 검토하였다. 대조구에 비하여 모든 처리구에서 clonal line 확립 효율에 대한 첨가효과가 없었다(0-2.6%). 실험 3에서 $\beta$ME 농도(0, 10, 100, 1,000 nM)에 따른 clonal line 확립효율을 검토하였다. 100 nM의 $\beta$ME 첨가 시 clonal line 확립 효율이 9.4%로 대조구 및 타 처리구(0-l.6%)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본 연구 결과 배양액 내 catalase 첨가는 확립효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100nM의 $\beta$ME 첨가로 clonal cell line의 확립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