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ussell's model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5초

Wilson과 Devinney의 모델과 Russell과 Merrill의 모델에 의한 식쌍성의 반사 효과 (THE REFLECTION EFFECT ON THE ECLIPSING BINARY BY THE WILSON AND DEVINNEY'S MODEL AND RUSSELL AND RUSSELL AND MERRILL'S MODEL)

  • 최성희;강영운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9권1호
    • /
    • pp.30-40
    • /
    • 1992
  • 세 종류의 식쌍성에 대한 반사 효과를 Wilson과 Devinney의 모델과 Russell과 Merrill의 모델로 분석하였다. 반사 효과를 Wilson과 Devinney의 광도 곡선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론적인 광도 곡선에 여러가지 유형별로 나타내었다. 그후 반사효과가 나타난 이론적인 광도 곡선을 Russell과 Merrill의 방법으로 근접 효과를 보정하여 두 모델을 비교 분석하였다. 두 별의 온도 차이와 반사도의 차이가 작은 경우에만 반사 효과에 관한한 두 모델이 일치함을 보였다.

  • PDF

러셀 모델의 확장을 통한 감정차원 모델링 방법 연구 (A Novel Method for Modeling Emotional Dimensions using Expansion of Russell's Model)

  • 한의환;차형태
    • 감성과학
    • /
    • 제20권1호
    • /
    • pp.75-82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Russell (1980)의 감정차원 모델(Circumplex Model)을 확장하여 새로운 감정차원 모델링 방식을 제안한다. 기존의 감정차원 중 가장 대표적인 Russell의 모델은 각성(Arousal), 정서가(Valence)의 2개의 축을 이용하여 감정을 나타낸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에서는 Russell의 감정차원은 감정을 하나의 점으로만 표현하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라고 할 수 없으며 감성과학, HCI, Ergonomics 등의 공학 분야에서 사용하기 어렵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Russell의 감정차원 위에 감정들을 하나의 점으로 표현하지 않고, 데이터 분포를 가정하여 영역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제 설문을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타원의 방정식을 이용하여 영역을 수식화하였다. 또한, 마지막 장에서 실제 많은 연구에서 사용되는 ANEW와 IAPS 데이터를 패턴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모델에 적용해 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모델링 방법을 통해 기존의 연구자들에게 지적된 Russell 모델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이 모델을 공학 분야에서도 쉽게 적용할 수 있었다.

각성 축의 특성을 고려한 감정차원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motional Dimension that takes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ousal axis)

  • 한의환;차형태
    • 감성과학
    • /
    • 제17권3호
    • /
    • pp.57-64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Russell의 감정차원 모델("A Circumplex Model")의 차원 축 중 Arousal 축의 요소(active, inactive)간의 연관성을 파악하여 새로운 감정 표현 방식을 제안한다. Russell의 감정차원 모델은 arousal, valence의 2개의 축 위에 감정을 나타내는 단어(happy, joy, sad, 긴장 등)를 하나의 점으로 표현한다. 이런 Russell 모델은 감성과학, HCI, 심리학 등 여러 분야의 연구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감정 차원이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복합적 감정, 감정과 감성, arousal 축과 valence 축의 차이점 등)에서는 Russell의 감정차원 모델은 표현방법의 수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2개의 차원 축(arousal, valence) 중 arousal 축의 요소(active, inactive) 간의 연관성을 확인하고 실험을 통하여 사용자들이 본인의 각성(arousal) 정도를 어떠한 방식으로 표현하는지 확인하여 Russell의 감정차원 모델의 새로운 표현 방식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Russell 모델의 문제점을 보완하였으며, 기존 연구에 대한 근거가 될 수 있었다.

복합적 감정(mixed feelings)에 대한 감정차원 연구 (English Title - A Study of Emotional Dimension for Mixed Feelings)

  • 한의환;차형태
    • 감성과학
    • /
    • 제16권4호
    • /
    • pp.469-480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Russell의 감정차원 모델(A Circumplex model)상에서 데이터의 분산 값을 줄이고, 복합적감정(mixed feelings)을 표현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Russell의 감정차원 모델은 감정을 뜻하는 단어(기쁨, 슬픔, 행복, 신남 등)를 제시한 뒤, 자가진단방식(SAM)을 이용하여 단어들의 평균과 분산을 구하고, 각 단어들을 PAD차원(Pleasure, Arousal, Dominance)에 하나의 점으로 표시한다. 하지만 다른 연구자에 의하여 Russell모델의 문제점으로 각 단어들의 분산 값이 커서 데이터의 신뢰도나 정확성이 떨어지며, Russell의 모델의 구조에선 복합적 감정(mixed feelings)을 표현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들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설문 방식의 변화를 통해서 실험을 진행하여, 데이터의 분산 값을 줄일 수 있었다. 또한 복합적 감정을 유발 할 수 있는 실험을 통해 감정 상태의 긍정적/부정적인 부분의 관계를 확인해보고, Russell모델에서도 복합적 감정을 표현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기존의 연구에서 보다 신뢰도와 정확도가 높은 데이터를 얻을 수 있으며, Russell모델을 적용시키기 어려웠던 생체신호, 복합적 감정, 실감 방송 등의 여러 분야에 적용 시킬 수 있다.

비트겐슈타인과 환원 가능성 공리 (Wittgenstein on the Axiom of Reducibility)

  • 박정일
    • 논리연구
    • /
    • 제20권1호
    • /
    • pp.69-96
    • /
    • 2017
  • 비트겐슈타인은 "논리-철학 논고"에서 러셀의 유형 이론과 특히, 환원 가능성 공리를 명시적으로 비판한다. 그렇다면 러셀의 유형 이론에 대한 비트겐슈타인의 비판의 요점이란 무엇인가? 나는 이 물음에 대답하기 위한 예비적인 작업으로서, 비트겐슈타인이 러셀의 환원 가능성 공리를 어떻게 비판했는지를 살펴보려고 한다. 비트겐슈타인은 러셀의 환원 가능성 공리가 논리적 명제가 아니고, 그것이 참이라면 그저 "오직 운 좋은 우연에 의해서만" 참일 수 있으며, "환원 가능성 공리가 적용되지 않는 세계가 생각될 수 있다"고 선언한다. 그렇다면 그 근거는 무엇인가? 나는 1913년 노르웨이 편지에서의 비트겐슈타인의 생각을 해명함으로써, 그러한 생각이 환원 가능성 공리가 성립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는 램지와 바이스만의 모델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보이고자 한다.

  • PDF

하도(河圖)와 러셀 역설 (Hado and Russell's Paradox)

  • 김병수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583-590
    • /
    • 2007
  • The significance of Han medicine (韓醫學), the Korean traditional medicine, that has lasted throughout the past couple millenniums relies upon Han Philosophy distinguished by its uniqueness. In brief, the specificity of Han medicine is characterized by unity of spirit and body, part and whole. According to this theory, when curing a frozen shoulder, it is usually cured by acupuncturing the area around the part that aches, but also doing so on the area that is totally different from the aching part such as the opposite part of the body. In fact, this can be pursued only through aspects that enable one to realize the unity of part and whole, and a ground for this possibility bases upon the crux of Eastern Philosophy, I-ching(역), such as theory of Five Elements (음양오행) and Three Pillars(삼재). In Western set theory, the issues of Class(부류) and elements(요원), whole and part were independently discussed in the area of mereology, and the question of part and whole was encountered with aporia and paradox since Greek ancient philosophy. At the turn of this century, many philosophers endeavored to pursue academic inquiry to resolve this paradox, especially by Russell and Whitehead through ${\ll}$Principia Mathematica${\gg}$ at the beginning of this century. in the process, there came out a phrase 'Russell's Paradox'. Russell himself proposed a typological resolution as an answer to the inquiry. However, 'Russell's Paradox' still remains as an aporia even till present days. During medieval period, this inquiry was even considered as 'insolubia'. Throughout this paper, 1 attempt to provide an analytic aspect on 'Russell's Paradox' from an unique thinking method and perspective of Han medicine that embodies the concept of 'unity of part and whole'. To do so, 1 suggest a physiological model in the first place depicted by diagrams of Circle 원, Quadrangle 방, Triangle 각(CQT) that portray the logic of Hado or Hotu 하도 which is 'the pattern from the river Ho'. That is to suggest that CQT원방각 of Hado can De a logical foundation that explains the notions of spirit (정신,뇌), internal organs(장부), and meridian system which functions as a solution to the question of 'Russell's Paradox'. There are precedent academic works examining the issue from philosophical aspect such as Sangil Kim's ${\ulcorner}$Han medicine과 러셀역설 해의${\lrcorner}$ Han Medicine and Resolution of Russell's Paradox(2005), and this analysis will further attempt to critically examine such works from a perspective of Han medicine.

한국 드라마 수용에 있어서 국가별 감정 반응 분석: 드라마 <도깨비>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Emotional Response to Korean Drama among Countries: With Drama 'Goblin')

  • 이예원;우성주
    • 감성과학
    • /
    • 제20권4호
    • /
    • pp.31-40
    • /
    • 2017
  • 본 연구는 한류 콘텐츠 소비 시 나타나는 한국, 일본, 미국의 감정 반응을 통해 국가별 소비 성향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대해진 텍스트 리뷰를 이용한 감정 분석 연구가 주목받고 있고, 콘텐츠 수요에 환경적 특성이 주요한 영향을 주고 있음에도, 국가별 감정 반응 차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Russell(1980)이 제시한 감정 원형 모델을 사용하여 한국형 판타지 멜로드라마 <도깨비>에 대한 국가별 감정 단어의 변수 중요도 및 단어 간 연관을 비교하였다. 우선, 2017년 1월 26일부터 3월 26일까지 2달간의 텍스트 리뷰를 수집하였다. 둘째, 수집한 데이터로부터 Russell의 감정 모델에 해당하는 감정 단어를 선별하였다. 셋째, 선별한 데이터에 랜덤 포레스트를 적용하여 변수 중요도를 평가하였다. 넷째, Russell 축에 따른 주요 감정 단어 간 연관성을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테스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된 모델의 정확성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국가별 감정 단어의 변수 중요도에서 한국과 미국은 Happy, 일본은 Pleased가 가장 중요한 변수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단어 간 연관성에서 한국은 수동적 불쾌감, 미국과 일본은 수동적 쾌감이 강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한류 콘텐츠에 대한 국가별 감정 반응 차이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rmal conductivity of PLA-bamboo fiber composites

  • Takagi, Hitoshi;Kako, Shuhei;Kusano, Koji;Ousaka, Akiharu
    • Advanced Composite Materials
    • /
    • 제16권4호
    • /
    • pp.377-384
    • /
    • 2007
  • 'Green' composites were fabricated from poly lactic acid (PLA) and bamboo fibers by using a conventional hot pressing method. The insulating properties of the PLA-bamboo fiber 'green' composites were evaluated by determination of the thermal conductivity, which was measured using a hot-wire method. The thermal conductivity values were compared with theoretical estimations. It was demonstrated that thermal conductivity of PLA-bamboo fiber 'green' composites is smaller than that of conventional composites, such as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s (GFRPs) and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CFRPs). The thermal conductivity of PLA-bamboo fiber 'green' composites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ir density, and was in fair agreement with theoretical predictions based on Russell's model. The PLA-bamboo fiber composites have low thermal conductivity comparable with that of woods.

관객의 생체신호 분석을 통한 감성 변화 (Measurement of Emotional Transition Using Physiological Signals of Audiences)

  • 김완석;함준석;손충연;윤재선;임찬;고일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168-176
    • /
    • 2010
  • 영상을 주의 깊게 시청하는 관객은 보이는 영상의 성격에 따라 여러 심적 변화를 경험한다. 기쁨, 슬픔, 놀람 등 관객이 느낄 수 있는 다양한 감정 상태는 심리학에서 많이 활용되는 제임스 러셀(James Russell)이 정의한 감정 원형모형을 통해 정리된다. 관객이 느낄 수 있는 감정들 중에서도 특히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가 언급한 언캐니(uncanny)는 기존의 명료한 정서적 개념들의 틈새에 존재하는 첨예한 중간자로 대변된다. 언캐니 현상은 비윤리적으로 인식되는 영상을 시청하는 관객이 보편적으로 느끼는 불쾌한 부분이 쾌로 수용되는 상태, 즉 사회적 금기에 대해 긍정적인 상태이기 때문에 이는 사회윤리적인 해석과 더불어 명확한 수리적 분석이 후행될 때 비로소 첨예한 심리상태로서 분석 가치를 지닌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감정 원형모형과 언캐니 상태를 분석하고, 관객의 언캐니 상태에 관한 가설을 설립하여 ECG(Electronic Cardiogram)와 GSR(Galvanic Skin Response) 신호 측청과 같은 생체신호 실험을 수치화한 결과를 러셀의 감정 원형모형을 기반으로 분포, 거리, 시간 등을 분석하는 방향으로 진행된다.

금융 실현변동성을 위한 내재변동성과 인터넷 검색량을 활용한 딥러닝 (Deep learning forecasting for financial realized volatilities with aid of implied volatilities and internet search volumes)

  • 신지원;신동완
    • 응용통계연구
    • /
    • 제35권1호
    • /
    • pp.93-104
    • /
    • 2022
  • S&P 500과 RUSSELL 2000, DJIA, Nasdaq 100 4가지 미국 주가지수의 실현변동성(realized volatility, RV)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사람들의 관심 지표로 삼을 수 있는 인터넷 검색량(search volume, SV) 지수와 내재변동성(implied volatility, IV)를 이용하여 LSTM 딥러닝(deep learning) 방법으로 RV의 예측력을 높이고자하였다. SV을 이용한 LSTM 방법의 실현변동성 예측력이 기존의 기본적인 vector autoregressive (VAR) 모형, vector error correction (VEC)보다 우수하였다. 또한, 최근 제안된 RV와 IV의 공적분 관계를 이용한 vector error correction heterogeneous autoregressive (VECHAR) 모형보다도 전반적으로 예측력이 더 높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