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ural informatization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초

생산양식과 농촌사회의 변화 (Mode of Production and Change of Rural Society)

  • 임형백;조중구
    • 농촌계획
    • /
    • 제10권1호
    • /
    • pp.41-55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mode of production and change of rural society. While dominant theories of social change have stressed variation of contingencies and periodical contexts, this theoretical paper drives a new insight paralleling diverse theoretical arguments of each mode of production with rural and urban changes. Investigating the drifts of intellectual ideologies of the mode of production, we get through diverse paradigm shifts of the production accumulation and its trigger effects on rural chang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change of rural society by way of investigating such fluctuations of societal changes as ancient society, slavery society, feudal society, industrial society, post-industrial society, and information society. We find that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e had a key role in the changes, however, the effects of the technologies on social changes have been different between rural- and urban-society. While we take it for granted that flexible accumulation in post-industrial society and time-space compression and informatization in information society will reduce developmental gap between rural- and urban-society, we also found that there have been big differences of actual application of the technologies between theory and reality in each era of mode of production.

A Study on the Presence of the Information Management Division and its Effect on the Digital Divide among Different Regions of Korea

  • Park, Woo-seok;Rhee, Cheul
    • Agribusiness and Information Management
    • /
    • 제3권2호
    • /
    • pp.9-16
    • /
    • 2011
  • With the confirmation of the Free Trade Agreement (FTA) and as cheap foreign agricultural products are beginning to be freely distributed in Korea, the government has taken a greater interest in securing the competitiveness of domestic agriculture. Accordingly, the Korean government has presented plans to advance the interests of 'small but strong farmers' and secure their competitiveness in line with the agricultural conditions in Korea. The government also announced that it will focus on leading these efforts in rural areas. The main thrust of this plan to support 'small but strong farmers' focuses onutilizing advanced peripheral technologies such as IT and BT; however, there are only a few Information Management Division centers currentlyoperating across the nation, and these are mainly in the IT-related divisions of the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and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s. Therefore, in this study, we used the responses from a survey of farmers to identify regional differences in informatization levels and the digital divide among 'small but strong farmer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Information Management Division center.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small but strong farmers' in regions with an active Information Management Division center received more IT services and had a higher level of informatization. Thus, to increase the use of IT-related peripheral technology by these 'small but strong farmers', it is important to maintain or increase the number of Information Management Division centers.

  • PDF

농가의 정보화 기기 활용이 농산물 판매에 미치는 효과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 of Farmers' Use of Information Devices on the Sales of Agricultural Products)

  • 황성혁;김종인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9호
    • /
    • pp.133-142
    • /
    • 2023
  • 농촌인구 감소, 고령화 심화, 기후변화 등으로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는 한국농업의 생산여건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디지털 정보기술 활용이 중요해졌다. 이에 본 연구는 성향점수매칭법을 이용하여 농가의 정보화 기기 활용 선택에 미치는 요인과 정보화 기기 활용이 농산물 판매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령이 낮은 농가, 교육수준이 높은 농가, 선도농가들이 정보화 기기 활용 채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 경영규모, 영농형태 등 유사한 특성을 가진 농가라면 농업경영에 정보화 기기를 활용하는 농가가 더 높은 농산물 판매 수입을 올리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농가의 정보화 기기의 활용능력을 높이는 것은 농가소득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정보화 기기 보급 및 농업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농가들이 가질 수 있도록 정부의 농업·농촌 분야 정보화 지원 사업이 중요하다 할 수 있으며, 정보 기술에 근거한 과학적 영농 및 마케팅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정보 인프라 구축에도 적극적인 투자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충청북도의 지역정보화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텍스트마이닝 중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Analysis of Local Informatization in Chungcheongbuk-do: Focus on text mining)

  • 이정환;박수창;이의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67-77
    • /
    • 2021
  • 본 연구는 충청북도 정보화 계획수립 과정에서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텍스트마이닝의 토픽모델링, 연관분석, 감성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충청북도는 상대적으로 정보격차 해소를 위해 교육분야를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많은 활동을 하고 있으며, 비대면 서비스, 언택트 행정, 도시와 농촌 간 격차 해소를 위한 인프라 개선에 관심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울러 지역 전략 산업에서 바이오와 IT 결합에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으며, 타지역 IT서비스 혁신사례 도입, IT 기업과 협력을 통한 스마트시티 구축, 정치적 이슈와 연관되지 않는 위기관리가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충청북도 정보화 추진과정에서 지역의 변화 흐름과 이슈를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정보 격차 해소를 위한 초고속 인터넷 망 확대에 대한 경제성 분석 (Economic Analysis on Expanding the High-Speed Internet Network to Narrow the Digital Divide among Regional Areas)

  • 한인섭;김지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B권3호
    • /
    • pp.180-189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농어촌 지역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초고속정보통신 인프라 구축 확대에 대해 경제성을 분석하여 정부 및 민간 통신사업자에게 정보화사업 확대의 당위성과 추진 전략을 제안하는 데에 있다. 초고속 인터넷 망에 대한 접근성이 결여된 상태에서 도시와 농어촌 지역 간에 정보격차가 발생될 수밖에 없는 상황을 살펴보고, 농어촌 지역의 마을 형태별 FTTH 망 구성을 위해 가입자 댁내 인입 구간인 1.3Km~1.5Km 범위를 대상으로 경제성 분석을 하였다. 통신 인프라 망의 구축을 통하여 창출되는 유무형의 사회적 편익요소의 가치를 고려할 때 중앙정부에서 주도적으로 정보화 사업을 추진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효과적으로 정보격차를 해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한국경제지리학 반세기:연구성과와 과제 (Fifty years of economic geography in Korea:research trends and issues)

  • 박삼옥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60-197
    • /
    • 1996
  • 한국 경제지리학은 지난 반세기동안 연구의 범위나 양적인 면에서 상당한 변화를 겪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편의상 한국경제지리학을 농업지리학, 공업지리학, 상업,서비스,유통지리학,교통지리학으로 나누어 각각 연구성과와 과제를 검토하였다. 농업지리학은 1970년대 중반이전에 한국경제지리학의 발전을 주도하였으나 1970년대 중반이후 연구활동이 타분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활발하지 못하였다. 연구주제도 1970년대 중반 전후간에 큰차이가 없으나 다만 최근들엇 농업공간의 변화나 겸업 지역분화 등 농업활동과 농업지역의 동태성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 공업지리학은 1980년대 이후 연구가 가장 활발히 전개된 분야인데 최근에는 전통적으로 연구되어온 입지변화나 공업지역구조뿐만 아니라 기업조직의 변화 생산체계와 산업공간의 변화 첨단기술산업발전과 과학단지개발 산업구조조정과 지역경제, 해외직접투자, 산업지구와 산업공간연계 등 다양한 주제의 연구가 이루어졌다. 상업,서비스,유통지리학에서는 1980년대까지 정기시장, 상가구조, 상품별 유통에 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으나 1990년대에 들어서는 생산자서비스를 중심으로한 서비스산업과 고나련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졌다. 교통지리학에서는 그동안 지속적으로 통근, 화물운송체계, 교통망 등에 대한 연구가 중심을 이루고 있는데, 이중에서 통근에 대한 연구가 가장 활발히 이루어졌고 최근에는 통근연구의 주제도 다양해졌다. 본 연구에서 각 분야별로 앞으로의 연구과제를 지적하였는데 경제지리전반에서 볼때 지역경제 또는 국가경제의 경쟁적 우위의 변화와 경제구조재편 및 그에 따른 지역구조변화, 경제지리학에서의 환경문제, 첨단기술의 발달과 정보화에 따른 산업공간조직의 변화. 문화와 경제발전. 해외지역연구 등이 앞으로 중점적으로 다루어져야할 주요 연구과제이다.

  • PDF

지자체 3차원 공간정보시스템의 현황 및 활성화 방향에 관한 연구 (Current Status of the 3-D Spatial Information Systems for Local Government and Their Revitalization Plan)

  • 윤정미;김태우;서용철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2-32
    • /
    • 2011
  • 3차원 공간정보시스템은 도시공간의 표현, 분석, 시뮬레이션을 통해 2차원 공간정보시스템에 비해 효율적인 관리를 도모하는 시각적 우수성을 가진다. 지금까지 구축된 3차원 공간정보시스템은 중앙정부 주도하에 개발되어 지역적 특색이 고려되지 않은 단순 보여주기 식의 시뮬레이션에 편중되어 있었다. 3차원 공간정보시스템의 역할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구축되어 있는 각 지자체의 공간정보시스템의 현황을 재차 파악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자체가 도모해야 하는 중앙정부의 국가공간정보화 정책의 방향을 탐구하고, 지자체의 3차원 공간정보시스템의 현황을 파악한다. 3차원 공간정보에 대한 잠재적 수요를 가지는 업무를 중심으로 단위 지자체별 3차원 공간정보시스템의 업무분야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또한 충청남도 3차원 공간정보시스템의 수요조사를 바탕으로 3차원 공간정보의 현실적 지자체 업무활용이 가능한 부분을 검토함으로써 지자체 3차원 공간정보시스템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농어민의 모바일 인터넷 이용과 디지털 격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bile Internet Use and Digital Divide of Farmers and Fishers)

  • 김승환;성욱준
    • 정보화정책
    • /
    • 제27권3호
    • /
    • pp.19-38
    • /
    • 2020
  • 본 연구는 농어민의 모바일 인터넷 이용에 있어서 나타나는 디지털 격차의 탐구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농어민의 기술에 대한 태도, 물리적 접근성, 활용기술이 모바일 소셜미디어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농어민 간 인구·사회·경제적 요인에 따른 디지털 격차를 파악하였고, 특히 겸업·전업 농어민 간의 모바일 인터넷 이용에서의 격차와 그 원인을 분석했다. <2018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를 이용한 실증분석 결과, 태도, 물리적 접근성, 콘텐츠 관련 기술이 모바일 소셜미디어 이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연령과 거주 지역에 따라서 디지털 격차가 발생했다. 겸업·전업 농어민 간에도 모바일 소셜미디어 이용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났는데, 이러한 차이는 신기술의 대한 태도로 인해서 발생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농어민의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해서 농어민 정보화 교육, 낙후 농어촌 지원, 전업 농어민을 위한 기술 지원 등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활용한 스마트 기기의 사용이 사회관계 확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A Decision Tree Analysis-based Exploratory Study on the Effects of Using Smart Devices on the Expansion of Social Relationship)

  • 손웅비;장재민
    • 정보화정책
    • /
    • 제26권1호
    • /
    • pp.62-82
    • /
    • 2019
  • 본 연구는 모바일 기기가 사용자의 관계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영향을 준다고 하면, 그 관계는 부정적인지 혹은 긍정적인지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을 하고자 한다.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모바일 기기 사용을 중심으로 한 일상생활에 대한 탐색적인 고찰을 통해 서술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경기연구원에서 수행한 "모바일 환경 인식에 관한 연구"의 설문조사 원자료를 사용했다. 주요 질문은 모바일 기기 및 사회관계망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이용 및 기기 사용에 대한 의견에 대한 내용이었다. 경기도 전체의 31개 시 군 모두를 공간적 범위로 설정했으며, 최종 유효 표본은 1,004명 이었다. 다항로지스틱모형 및 의사결정나무를 통해 사람들과의 관계 범위 정도를 종속변수로 선정하여 특성을 탐색하였다. 설문에 대한 다항로지스틱 분석결과 인간관계의 범위의 일부 변화가 있는 응답자의 특성은 가족과의 대화, SNS 사용량, 군(郡) 지역 거주, 사용 내용은 뉴스에서 유의미한 변화(+)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 범위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변수는 SNS 사용량으로 나타났다. 사용량이 많아질수록 관계 범위 정도 역시 많은 변화를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