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umor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8초

Domus Dedaly: Rumor, Ricardian England, and the Conception of Poetic Discourse in The House of Fame

  • Lim, Hyunyang
    • 영미문화
    • /
    • 제14권2호
    • /
    • pp.207-232
    • /
    • 2014
  • Scholars have considered Chaucer's House of Fame mostly as an ars poetica, in which the poet explores new poetic principles and subject matters, while making few attempts to understand the poem in its historical and social contexts. Investigating the nature of the "tidings" that Chaucer suggests as the new source of his poetic inspiration, this paper argues that the house of Rumor was modeled after late fourteenth century English society that experienced increased appetite for news. The political upheaval during the period from the English Rising in 1381 to the reign of Henry IV in the early fifteenth century produced an unprecedented amount of written and oral propaganda. The proliferation of seditious rumors as well as protests and promulgations during this period indicates how seriously medieval society was engaged with the circulation of news. Particularly, the case of John Shirle in 1381 and the legend about the survival of Richard II demonstrate the subversive power of medieval rumor that often served as a political discourse with which people expressed their oppositions to government. Conspicuous in the activities of both the government and late medieval political protestors was the extensive use of writing. The posting of bills in public places continued until the fifteenth century, when such activities became so common and dangerous that the government had to issue proclamations forbidding the circulation of such seditious writings. The number of extant royal proclamations, written protests, and pamphlets demonstrates that already in the late fourteenth and fifteenth centuries the notion of a discursive public space began to emerge. Whether written or orally transmitted, news and rumor circulated in late medieval England, creating a social space in which people shared their political opinions before the introduction of the early modern print culture. In The House of Fame Chaucer calls attention to the subversiveness of rumor, its potential as a public discourse, and the power of written communication in creating truth in order to appropriate these characteristics for his English poems.

사드 루머(THAAD rumor) 보도에 나타난 한국 언론의 정파성 네트워크 분석과 프레임 분석을 중심으로 (Korean Media Partisanship in the Report on THAAD Rumor Network and Frame Analysis)

  • 홍주현;손영준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84권
    • /
    • pp.152-188
    • /
    • 2017
  • 이 연구는 루머의 사회적 확산 과정에서 한국 언론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네트워크 분석과 프레임 분석을 통해 밝혔다. 언론의 이념적 성향과 뉴스생산 과정의 차이에 따라 언론 매체를 구분하고, 매체별 보도를 비교했다. 이념적 성향에 따른 보도량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보수 언론은 사드 루머를 불필요한 오해로 보고, 사드 유언비어가 사회적 갈등을 유발한다고 했다. 진보 언론은 황교안, 외부세력, 거짓말을 많이 언급했고 '괴담을 반대하는 외부세력이 있다'는 정부의 입장을 비판했다. 루머 프레임을 비교해 보면 보수언론은 루머의 확산 원인을 악의적 괴담이 확산되고 있다고 본 반면에, 진보 언론은 사드의 유해성을 입증하기보다는 정부와 보수 언론이 사드 괴담을 유포한 세력을 비판하는 것에 주목했다. 오프라인 매체와 비교해서 온라인 매체는 감정적 표현과 비논리적인 이야기 구성으로 선정적인 보도 경향이 강했다. 한국 언론은 사실 확인이나 과학적 검증보다는 각자의 정파적 성향에 따라 사드 루머 이슈를 보도했다. 보수 진보 매체는 사드 루머의 발생 원인과 반대 시위 주체, 전자파의 유해성 등에서 양극화된 프레임을 제시했다. 한국 언론의 정파적 보도는 우리 사회의 정치적 대치 관계를 더욱 심화시킬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한국 언론이 식견 있는 공중(informed public)을 확보하는 데 성공적이지 못하며 오히려 민주주의 질서 자체를 위협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 PDF

기업-소비자 동일시 수준에 따른 기업루머에 대한 반박효과의 차이 (A Study on Level of Company-Consumer Identification on Company Rumor Impact and Effectiveness of Refutation countered the effect of the difference)

  • 최태호;황지민;오대양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1권4호
    • /
    • pp.261-286
    • /
    • 2012
  • 본 연구는 오늘날 기업에 관한 부정적 소문인 루머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관리 방안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기업-소비자동일시 수준에 따른 루머의 신뢰 정도와 그에 따른 확산정도를 파악하고 루머의 신뢰와 확산을 막고자 하는 기업이 루머반박을 했을 경우, 동일시 수준에 따른 반박효과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시 수준에 따라 악성루머에 대한 신뢰도 반응 확산의도 차이, 재구매 의도 차이가 있는지 확인해 보았으며, 동일시 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동일시가 낮은 소비자가 루머에 대한 신뢰도가 높았고, 확산의도 또한 동일시가 낮은 소비자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에 반해, 재구매 의도는 동일시가 높은 소비자에게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기업-소비자 동일시 수준에 따라 루머에 대한 반응의 차이와 그 후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기업이 반박기사를 냈을 경우, 동일시 수준에 따라, 반박 기사에 대한 반응이 다를 것이라 보았다. 동일시가 높은 소비자는 동일시가 낮은 소비자 보다 반박기사에 대한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트위터를 통한 루머의 확산 과정 연구: 한미 FTA 관련 루머의 자극성에 따른 의견 확산 추이와 이용자의 상호작용성을 중심으로 (The Diffusion of Rumor Via Twitter : The Diffusion Trend and the User Interactivity in the Korea-U.S. FTA Case)

  • 홍주현;윤해진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66권
    • /
    • pp.59-86
    • /
    • 2014
  • 이 연구는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를 통해 루머가 급속하게 확산될 뿐만 아니라 정책 결정과정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현상에 주목하였다. 이에 거시적 관점에서 한미 FTA와 관련된 여론의 확산 추이를 살펴보고 미시적 관점에서 이용자 간에 상호작용성이 얼마나 활발하게 나타나는지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루머의 자극성을 루머의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보았다. 한미 FTA 관련 루머 중 트위터 검색 엔진을 통해 연관 검색어로 나타난 맹장수술 괴담, 약값 폭등, 건강보험 붕괴를 중심으로 루머의 자극성과 자극성에 따른 확산 추이, 상호작용성을 분석하였다. 루머의 자극성을 사실적 측면과 표현적 측면으로 구분해 분석한 결과, 사실적 측면의 자극성은 맹장 수술 괴담이, 표현적 측면의 자극성은 약값 폭등이 가장 컸다. 루머의 자극성에 따른 여론의 확산 유형을 분석한 결과, 맹장 수술 괴담의 경우 '폭발적 소멸형 파동'이, 약값 폭등의 경우 '잠재적 소멸형 파동'이, 건강 보험 붕괴의 경우 '반복적 파동'이 형성되었다. 루머의 자극성과 상호작용의 관계를 상관관계 분석한 결과, 맹장 수술 괴담의 경우 약한 정도의 상관관계가, 건강 보험의 경우 높은 정도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건강 보험 붕괴의 자극성이 맹장 수술 괴담의 자극성보다 낮았지만, 건강 보험의 경우 이용자들이 체감하는 이슈 관여도가 높아 논의가 더 활발하게 이루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이 연구를 통해 한미 FTA 체결과 관련하여 트위터가 부정적인 메시지가 확산되는 통로의 역할을 한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정부는 소셜네트워크사이트를 통한 루머의 확산 과정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PDF

Why Do People Spread Online Rumors? An Empirical Study

  • Jong-Hyun Kim;Gee-Woo Bock;Rajiv Sabherwal;Han-Min Kim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29권4호
    • /
    • pp.591-614
    • /
    • 2019
  • With the proliferation of social media, it has become easier for people to spread rumors online, which can aggravate the issues arising from online rumors. There are many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that are adversely affected by malicious online rumors. Despite their importance,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into why and how people spread rumors online, thus inhibiting the understanding of factors that affect the spreading of online rumors. With attention seeking to address this gap, this paper draws upon the dual process theory and the de-individuation theory to develop a theoretical model of factors affecting the spreading of an online rumor, and then empirically tests it using survey data from 211 individuals about a specific rumor.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perceived credibility of the rumor affects the individuals' attitudes toward spreading it, which consequently affects the rumor spreading behavior. Vividness, confirmation of prior beliefs, argument strength, and source credibility positively influence the perceived credibility of online rumors. Finally, anonymit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toward spreading online rumors and the spreading behavior.

루머의 사실성·파급력과 소셜 미디어를 통해 형성된 공중의 관계: 사드배치 관련 루머의 확산 네트워크 분석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uality, the Influence of rumors and types of public via social media: A network analysis of rumor diffusion on THAAD)

  • 홍주현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113-125
    • /
    • 2017
  • 루머가 일상화된 사회에서 이 연구는 루머의 속성에 따라 소셜 미디어에서 확산되는 루머의 양과 상호작용에 차이가 있는지 규명하고자 사례 분석과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했다. 먼저 사드배치와 관련된 루머를 사실성과 파급력을 기준으로 핵심적 진술, 주변적 진술, 핵심적 소문, 주변적 소문으로 구분했다. 노드의 양과 상호작용을 기준으로 소셜 미디어에서 확산된 의견을 분류하고 공중을 분산적 군중, 견고한 군중, 분산적 소수, 견고한 소수로 개념화했다. 분석 결과 이용자들은 핵심적 소문을 가장 활발하게 확산시켰으며, 주변적 소문, 핵심적 진술, 주변적 진술 순으로 확산됐다. 사실성보다는 파급력이 루머의 확산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자들은 사실과 같은 정보를 담고 있는 루머보다는 정보량은 적어도 파급력이 큰 것에 더 주목했다. 소문에 대해서는 견고한 군중이 형성되었고, 진술에 대해서는 소수가 형성되어 루머의 확산과정에 차이를 나타냈다.

네트워크에서 루머 중심성 기반 질의를 통한 루머의 근원 추정 (Estimating the Rumor Source by Rumor Centrality Based Query in Networks)

  • 최재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8권7호
    • /
    • pp.275-288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에서 충분히 많은 노드가 루머를 들었을 때 그 근원이 어디서부터 시작 되었는지를 추론하는 문제를 고려한다. 이것은 신기술의 확산, 인터넷에서의 컴퓨터 바이러스/스팸 감염, 인기 있는 주제의 tweeting 및 retweeting과 같은 많은 실제 환경에서 네트워크의 정보 확산이 빠르게 진행되고, 이 정보 중 일부는 다른 노드에게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이 문제는 선행연구에 의해 감염된 노드의 수가 충분히 많으면 정규 트리의 경우에도 탐지 확률이 31%를 초과 할 수 없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네트워크에 감염된 후보 노드에게 몇 가지 추가 질의를 하는 방법에 대해 조사하고 네트워크 관리자가 한정된 자산을 가지고 있을 때 각 노드에 대한 질의의 수를 어떻게 분배하는지에 대한 자산 할당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제안한 방법에 대하여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고 기존 선행 연구보다 우수한 성능을 확인하였다.

Deep Learning Based Rumor Detection for Arabic Micro-Text

  • Alharbi, Shada;Alyoubi, Khaled;Alotaibi, Fahd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11호
    • /
    • pp.73-80
    • /
    • 2021
  • Nowadays microblogs have become the most popular platforms to obtain and spread information. Twitter is one of the most used platforms to share everyday life event. However, rumors and misinformation on Arabic social media platforms has become pervasive which can create inestimable harm to society. Therefore, it is imperative to tackle and study this issue to distinguish the verified information from the unverified ones. There is an increasing interest in rumor detection on microblogs recently, however, it is mostly applied on English language while the work on Arabic language is still ongoing research topic and need more efforts.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mbine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and Long Short-Term Memory (LSTM) to detect rumors on Twitter dataset. Various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choose the best hyper-parameters tuning to achieve the best results. Moreover, different neural network models are used to evaluate performance and compare results. Experiments show that the CNN-LSTM model achieved the best accuracy 0.95 and an F1-score of 0.94 which outperform the state-of-the-art methods.

Does Disposition Effect Appear on Investor Decis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Era: Empirical Evidence from Indonesia

  • ASNAWI, Said Kelana;SIAGIAN, Dergibson;ALZAH, Salam Fadillah;HALIM, Indra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4호
    • /
    • pp.53-62
    • /
    • 2022
  • Disposition Effect (DE) is one of the many investment biases, wherein the investors sell the profitable stocks rather quickly and they tend to hold on the loss making stocks. Various factors related to the DE are the character of investors applying risk management which is also influenced by the social media, Salient Shock (COVID-19), and in the specific case of Indonesia, the phenomenon of rumor stocks wherein the price can rise as much as up to 8500%. The study aims to provide empirical evidence regarding the DE with specific explanatory factors, namely investor behavior and rumors. Data was obtained through a questionnaire sent to 248 Indonesian Stock Exchange Investors (IDX) during the period October-November 2021 by using Ordinary Least Square (OLS) method. The results show: Generation Z, women, and investors with a low education has a greater DE, risk-takers tend to have lower DE, and professionals have negative DE. Implementation of risk management will reduce DE. Social Media and the COVID-19 situation positively affect DE. Especially on stock rumors, there is evidence that investors who own rumor stocks will have a low DE. The results indicate the need for: (i) risk management, especially for Z Generation, women and low education Investors, (ii) to provide positive information so that information on social media can be responded to positively.

Effects of Dietary Fats and Fibers on Modulation of Biomarkers and Tumor Incidence in Rats during 1, 2-Dimethylhydrazine-Induced Colon Carcinogenesis

  • Park, Joo-Sun;Park, Hyun-Suh
    • Nutritional Sciences
    • /
    • 제4권2호
    • /
    • pp.73-78
    • /
    • 200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different dietary fats and fibers on colon tumor incidence and cell proliferation, the levels of eicosanoids and polyamines in colonic mucosa of DMH-treated rat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male Sprague Dawley rats using a 2 $\times$3 factorial design with two fats (corn oil and DHA-rich fish oil) and two fibers (cellulose and pectin) and a fiber-free control. The rats were find an experimental diet containing 15% (w/w) dietary fat and 6% (w/w) fiber for 25 weeks. Tumor incidence was Bower in rats fed fish oil as opposed to corn oil. The levels of arachidonic acid (AA) and eicosanoids ($PGE_2, and TXB_2$) in normal colonic mucosa were significantly lower in rats fed fish oil and there was a concomitant increase of docosahexaenoic acid (DHA). The levels of eicosanoids and AA in tumor tissu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normal colonic mucosa. The level of polyamines in normal colonic mucosa was not affected by dietary fats but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rumor tissues. Dietary fiber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rumor incidence and the levels of AA, eicosanoids and polyamines. Overall, fish oil rich in DHA reduced cell prolifiration and thus inhibited colon carcinogenesis through its effect on the distribution of AA and production of eicosanoids in normal colonic mucosa. However, its effect on colon carcinogenesis revealed a lack of consistency depending on the type of dietary fiber in die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