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ubus coreanus Miq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34초

단기소득임산물 재배 소득분석 - 주요 수실류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Standard Income Regarding the Cultivation of Non-Timber Forest Products - Focused on major nuts and fruits -)

  • 강학모;장철수;최수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3호
    • /
    • pp.490-502
    • /
    • 2014
  • 본 연구는 은행, 머루, 다래, 복분자, 산딸기 등 주요 수실류에 대한 재배공정을 조사하여 소득을 분석함으로써 임산물 손실에 대한 보상 기준 및 임업경영진단 등을 위한 합리적인 정책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사결과, 품목별 재배형태는 크게 노지재배와 산지재배로 구분되었다. 품목별 단위면적당($3.3m^2$) 연간 평균소득은 은행 노지재배가 1,060원, 은행 산지재배가 618원, 머루 노지재배가 5,891원, 다래 산지재배가 8,113원, 복분자 노지재배가 14,701원, 산딸기 노지재배가 17,482원 수준으로 복분자와 산딸기의 연간 평균 소득이 타 품목에 비해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산딸기의 경우 생산이 식재 후 2년차부터 이루어진다는 점과 수확작업 시 많은 노동력을 자가노동에 의존하고 있어 고용노동 비용 지출이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대부분의 수실류 재배 시 시설비, 묘목 등 초기 투자비용이 경영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평균 30% 내외로 높은 것으로 분석되어 재배 활성화를 위해 정부의 적절한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복분자 에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Capacity of Ethanol Extracts and Fractions from Rubus coreanus Miq.)

  • 강현;이성규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8권4호
    • /
    • pp.264-270
    • /
    • 2021
  • 본 연구는 복분자 에탄올 추출물과 용매 분획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라디칼 소거능과 환원력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70% 에탄올 추출물 238.46 mg GAE/g 으로 나타났으며, ethyl acetate 분획물 413.59 mg GAE/g 으로 다른 분획물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p<0.05). 또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도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52.83 mg QE/g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p<0.05). DPPH 라디칼 소거능과 ABTS 라디칼 소거능의 경우 ethyl acetate 분획물의 RC50값이 각각 3.95와 6.25 ㎍/mL 으로 대조군인 ascorbic acid와 유사한 소거능을 나타내었다(p<0.05). FRAP에 의한 환원력 측정 결과에서도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p<0.05). 이상의 결과 복분자 70% 에탄올 추출물과 용매 분획물 중 ethyl acetate 분획물이 다량의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있으며, 항산화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복분자를 기능성 신소재 개발 원료로 활용하는데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초음파 병행 추출을 이용한 가시오갈피, 마황, 복분자 및 인진쑥의 항암활성 증진 (Improvement of Anticancer Activation of Ultrasonificated Extracts from Acanthopanax senticosus Harms, Ephedra sinica Stapf, Rubus coreanus Miq. and Artemisia capillaris Thunb)

  • 박진홍;이현수;문형철;김대호;성낙술;정해곤;방진기;이현용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73-278
    • /
    • 2004
  • 한국산 생약재인 가시오갈피 , 마황, 복분자, 인진쑥을 이용하여 추출과정 중 $40^{\circ}C,\;60^{\circ}C,\;100^{\circ}C$로 온도를 달리 하여 기존의 열수 추출방법과 초음파를 범행한 추출로 인해 면역 활성 증진이 다르게 나타나는 효과를 비교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여러 조건 중 복분자 $60^{\circ}C$, 40 kHz의 초음파 병행 추출물이 가장 좋은 항암활성 증진 효과를 나타내었다. 추출시 모든 열수 추출물들에 비해 초음파 병행 추출물의 추출 수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추출시 열수 추출에서 미쳐 빠져나오지 않았던 여러 활성 물질이 초음파 처리에 의해 공동화현상과 더불어 액체간의 상호 탈기 작용에 의해 추출 수율의 상승효과를 가져온 것으로 사료된다. Apoptosis 실험에서는 5일 동안 인간 폐암 세포인 A549의 세포를 이용하여 활성이 좋았던 마황과 복분자의 $60^{\circ}C$ 열수 추출물과 초음파 추출을 병행한 추출물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 apoptotic이 열수 추출물보다는 초음파 병행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 더 많이 관찰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와 마찬가지로 HL-60 세포분화능 실험에서도 열수 추출물보다는 초음파를 병행한 추출물들이 높은 세포 분화 활성도를 나타냈다. 또한 모든 조건 중에서 생약재들이 $60^{\circ}C$, 40 kHz 초음파 병행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세포 분화 활성도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앞으로 한국산 생약재의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더 많은 실험을 통하여 초음파의 병행 처리에 따른 효과와 이를 통한 기능성 소재 및 기능성 식품으로의 이용을 위해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Cytotoxic Triterpenoid from Rubus coreanus Miq

  • Lee, Dae-Young;Kim, Dong-Hyun;Bang, Myun-Ho;Song, Myoung-Chong;Kwak, Ho-Young;Yoo, Ki-Hyun;Chung, In-Sik;Kim, Kyong-Tai;Baek, Nam-I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4호
    • /
    • pp.275-280
    • /
    • 2007
  • Dried unripe fruits of Rubus coreanus Miq. were extracted with 80% aqueous MeOH and the concentrated extract was partitioned with EtOAc and $H_2O$. From the EtOAc fraction, four triterpenoids were isolated through repeated silica gel, ODS and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ies. From the result of physico-chemical data including NMR, MS aud IR, the chemical structures of the compounds were determined as tormentic acid (1), myrianthic acid (2), hovenic acid (3) and 2${\alpha}$,3${\beta}$,19${\beta}$,23-tetrahydroxylolean-12-en-28-oic acid (4). Compounds 3 and 4 were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is plant. All isolated compounds were evaluated for cytotoxic activity against human colon carcinoma cells using in vitro three-[4,5-dimethylthiazole-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compound 3 showed a higher cytotoxicity ($IC_{50}$ = 7.8 ${\mu}M$) than doxorubicin ($IC_{50}$= 50 ${\mu}M$).

Anti-Thrombosis Activity of Sinapic Acid Isolated from the Lees of Bokbunja Wine

  • Kim, Mi-Sun;Shin, Woo-Chang;Kang, Dong-Kyoon;Sohn, Ho-Y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6권1호
    • /
    • pp.61-65
    • /
    • 2016
  • From the lees of bokbunja wine (LBW) made from Rubus coreanus Miquel, we have identified six compounds (1: trans-4-hydroxycinnamic acid; 2: trans-4-hydroxy-3-methoxycinnamic acid; 3: 3,4-dihydroxycinnamic acid; 4: 4-hydroxy-3-methoxybenzoic acid; 5: 3,5-dimethoxy-4-hydroxybenzoic acid; and 6: 3,5-dimethoxy-4-hydroxycinnamic acid (sinapic acid)) through silica gel chromatography and UHPLC-MS. The compounds 1-6 showed strong anticoagulation and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y activities without hemolytic effect against human red blood cells. To dat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the in vitro anti-thrombosis activity of sinapic acid. Our results suggest that different cinnamic and benzoic acid derivatives are closely linked to the anti-thrombosis activity of LBW, and sinapic acid could be developed as a promising anti-thrombosis agent.

복분자 딸기 열매의 품종별 기능성 성분 및 항산화 활성 (Function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from the Fruits of Rubus coreanus according to Cultivars)

  • 박영기;최선하;김세현;장용석;한진규;정헌관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1호
    • /
    • pp.102-109
    • /
    • 2008
  • 품종별에 따른 복분자 딸기 열매의 항산화 활성 및 기능성 성분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우수한 품종으로 개발한 정금 1, 2, 3, 4, 5호(10년생)와 도입종 블랙베리(Rubus fructicosus)를 사용하였다. DPPH법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은 2 mg/㎖ 농도에서 46.58에서 78.55% 범위에 있었으며, 이 중 정금 1호의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였다. 총 페놀 함량과 비타민 C 함량 및 안토시아닌 중 베리류의 대표성분인 cyanidin 3-glucoside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정금 1호가 다른 품종에 비해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복분자주 발효과정 중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okbunja (Rubus coreanus Miq.) Wine during Fermentation)

  • 최한석;김명곤;박효숙;신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574-578
    • /
    • 2005
  • 복분자 발효주의 품질향상을 위하여 효모 종류 및 효소 등 처리방법을 달리하여 발효과정 중의 이화학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 Saccharomyces cerevisiae KCCM 12224(Sc-24), 복분자 분리효모(Bok-3), 약주분리(Yak-7), Saccharomyces cerevisiae(Sc-24)와 약주효모(Yak-7) 혼합균주의 주발효 후 알코올 함량은 각각 11.08%, 10.62%, 10.18%, 10.26%이었으며, pectinase 첨가시 알코올 함량을 0.1-1.5% 증가시킬 수 있었다. 발효주의 유기산은 oxalic, citric, malic, shikimic, formic acid 등이었으며, 발효과정 중 citric acid와 malic acid가 큰 폭으로 감소되었다. 복분자주 발효 중 적정산도는 발효액 중의 citric acid의 함량변화에 의존적이었다. 복분자주의 색도는 발효초기에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Sc-24, Yak-7 및 Bok-3+pectinase 처리구가 발효에 의한 색도의 변화가 비교적 낮았다. 이화학적 성분의 변화를 고려할 때 복분자주의 발효는 8-10일이 적당하였으며, Sc-24 및 Bok-3균주와 500ppm의 pectinase 첨가가 발효에 효과적이었다.

숙성에 따른 토종 복분자 딸기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Rubus coreanus Miq. Fruits at Different Ripening Stages)

  • 김지명;신말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41-347
    • /
    • 2011
  • 토종 복분자 딸기 열매를 이용하여 건강식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성숙시기에 따라 토종 복분자 딸기 열매의 구성성분,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활성을 조사하였다. 숙성시기에 따라 미숙과, 중숙과 및 완숙과를 전남 곡성군에서 수확하여 동결건조하여 분말을 제조하고 분쇄과정에서 씨를 분리하여 비교하였다. 완숙된 토종복분자 딸기의 열매분말은 밝은 적색을 띠었으나 북미산 복분자 딸기 열매 분말은 칙칙한 검붉은색이었으며 토종 복분자 열매 씨는 북미산에 비해 더 부드럽고 작았다. 숙성시기에 따라 조단백질, 조지질과 총 당 함량은 증가하였고 회분과 총 식이섬유 함량은 감소하였다.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와 rhamnose가 분석되었는데 fructose가 가장 많았다. 아미노산은 aspartic acid와 glutamic acid를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필수아미노산 중에는 leucine함량이 높았다. 무기질 중 위해금속은 검출되지 않았고 성숙에 따라 감소경향을 보이며 K와 Ca함량이 높았다. 유기산도 성숙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citric acid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총 페놀함량은 미숙과(12.84 mg/100 g)가 가장 높았고 중숙과와 완숙과(9.38, 9.66 mg/100 g)는 유사하였다. DPPH 자유라디칼 소거능으로 분석한 항산화활성은 86.21-81.22%로 미숙과가 높았고 성숙에 따라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