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und robin test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7초

실리콘에 도핑된 붕소의 정량분석에 대한 공동분석연구 (RRT Study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Boron in Silicon)

  • 김경중;김현경;문대원;홍태은;정칠성;김이경;김재남;임철호;김정호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18-224
    • /
    • 2002
  • 반도체 박막의 분석에서 중요한 분석 대상의 하나인 미량 불순물의 정량분석을 위한 표준절차를 확립하고 그에 필요한 인증표준물질의 개발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국내공동분석을 실시하였다. 공동분석에 사용된 붕소가 균질하게 도핑된 박막 인증표준물질과 분석시편은 이온빔 스퍼터증착법에 의해 제작하였으며, 가장 정량적이고 감도가 높은 ICP-MS를 이용한 동위원소희석법으로 인증하였다. 이러한 인증표준물질과 SIMS에 의한 실리콘 내 의 붕소의 정량분석에 대해 이미 확립되어 있는 국제표준절차인 ISO/DIS-14237에 의거하여 국내 공동 분석을 시행하였는데, 이번의 공동분석에서 얻어진 붕소농도의 전체 평균값이 ICP-MS에 의한 인증치에 약 2% 정도의 오차를 보여주고 있어 분석의 정확성이 확인되었다.

지반응답해석기법의 차이에 의한 지반응답 분산도 평가 (Influence of Analysis Models on Variation of Ground Response during Earthquake)

  • 김성렬;최재순;김수일;박대영;박성용;김기풍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7년 가을학술발표회
    • /
    • pp.317-333
    • /
    • 2007
  • The Round-Robin Test (RRT) for ground response analysis was performed by Division of Geotechnical Earthquake Engineering of Korean Geotechnical Society. This research analyzed the influence of analysis methods on variation of ground response by using the results of this RRT. The analysis methods include equivalent linear analysis, non-linear analysis and effective stress analysis. A total of 5 teams among 12 teams applied two kinds of analysis methods. This research compared the results of these 5 teams and analyzed the variation of the results according to analysis methods. The compared results were shear stress-shear strain relation, transfer function, time history and the response spectrum of ground surface acceleration, peak ground acceleration, peak shear strain and maximum excess pore pressure ratio.

  • PDF

S형 열전대를 이용한 교정검사기관의 소급성 오차측정 (Measurement of Traceability Error for Calibration Service Center Using Type S Thermocouples)

  • 감기술;김용규;김선곤
    • 센서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3-50
    • /
    • 1995
  • 고온에서 교정용 표준기로 사용되는 S형 열전대를 사용하여, 국내의 9개 고온분야 교정검사기관의 고온측정 능력을 순회교정을 통하여 평가하여 고온의 소급성 오차를 측정하였다. 참여기관 중 3개교정검사기관만이 열전대의 교정불확도인 ${\pm}0.5^{\circ}C$이내에서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의 측정값과 일치하였으며, 나머지 6개 기관의 측정값은 규정된 불확도를 벗어났다. 각 측정값의 차이는 온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여 비교측정점 중 가장 높은 온도인 금점에서 가장 큰 차이가 $2^{\circ}C$로 교정 불확도를 크게 벗어났다. 이 연구에서 측정된 국내 고온분야 교정검사기관의 소급성 오차는 $2.0^{\circ}C$ 이내였다.

  • PDF

콘크리트 공극구조 분석을 위한 화상분석결과의 변동성 분석 (Variation of Image Analysis Results for Deter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ir-Void System on Hardened Concrete)

  • 전성일;안지환;이진범;권수안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157-168
    • /
    • 2011
  • 최근 국내 콘크리트포장의 동결융해 파손에 대한 사례들이 주기적으로 보고가 되고 있으며, 이에 공기량 기준과 더불어 간격계수에 대한 기준마련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간격계수를 산정하기 위한 실험방법은 국내에 규정되어 있지 않아 ASTM C 457기준을 따라야 하며, 특히 이 실험결과 분석 시 연구자의 주관적 판단에 기인하는 경우가 많아 이에 대한 철저한 보정작업이 수반되어야 한다. 콘크리트의 공극구조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화상분석프로그램은 색상의 구분을 통해 공극을 인식하는데, 분석 시 사용되어지는 pixel intensity values에 따라 분석결과는 크게 변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ixel intensity values의 적정범위를 산정하기 위해서, pixel intensity values 변화에 따라 측정된 공극수와 연구자들이 측정한 공극수를 비교하였으며, 이를 통해 pixel intensity values의 적정 범위를 결정하였다. 또한 결정된 pixel intensity values를 이용하여, 8가지 콘크리트 혼합물에 대한 콘크리트 공극구조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자들이 공극수를 직접 측정한 round robin test 결과, 사람에 따른 공극 인식정도가 약 10% 정도로 변동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pixel intensity values의 적정 범위가 약 80~90 정도로 나타났다. 8가지 콘크리트 혼합물에 대한 화상분석결과, 전반적으로 AE제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전체 공기량은 증가하고 간격계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일부 혼합물에서 공기량은 크게 변동하지 않은 가운데 간격계수가 AE제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추이를 나타내었다. 이는 추가된 AE제에 의해 발생된 미세한 크기의 연행공극이 전체 공기량에 미치는 영향보다 간격계수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기 때문이다. 또한 동일한 시편에서 절단면 위치에 따른 간격계수의 편차는 약 30~100${\mu}m$ 정도를 나타내었다. 이는 2차원 분석의 한계로 인해 발생된 편차인 것으로 사료되며, 시편절단면 위치에 따른 변동성 분석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초음파 비파괴검사의 신뢰도 평가 모델 (Models of Reliability Assessment of Ultrasonic Nondestructive Inspection)

  • 박익근;박은수;김현묵;박윤원;강석철;최영환;이진호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607-611
    • /
    • 2001
  • 초음파검사 시스템은 검사자, 검사장비, 검사절차서로 구성되어진다. 따라서 각각의 구성의 성능에 따라 초음파검사의 신뢰도가 좌우되며, 또한 검사환경이나 검사체의 재질, 결함의 유형에 따라서도 검사의 신뢰도는 영향을 받게된다. 이러한 다양한 인자들로 인해 비파괴검사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것이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로지스틱 모델과 몬테 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초음파검사의 신뢰도를 척도할 수 있는 검출확률을 평가하고자 한다. 신뢰도 평가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원진배관에 대한 순회시험의 데이터에 신뢰도 평가 모델을 적용하였다.

  • PDF

XPS와 SIMS에 의한 Co-Ni과 Au-Cu 합금표면 정량분석 연구 (Quantitative Surface Analysis of Co-Ni and Au-Cu alloys by XPS and SIMS)

  • 김경중;문대원;이광우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06-114
    • /
    • 1992
  • 여러 조성의 Co-Ni 합금과 Au-Cu 합금에 대하여 XPS와 SIMS 분석방법을 사용하 여 표면분석의 정량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XPS의 경우 Co-Ni 합금에 대하여는 수정 없이 고순도 시료만으로 1~2% 상대오차 범위 내에서 정량분석이 가능하였고, Au-Cu 합금의 경 우에는 고순도 시료만을 표준시료로 사용하여서는 정량 분석이 불가능하였고 실험적인 수정 인자를 사용한 경우 1~2% 상대오차로 정량분석이 가능하였다. Au-Cu 합금의 경우 여러 조성이 표준시료가 없는 경우 이론적인 수정인자를 사용하는 경우 10%의 상대오차로 정량 분석이 가능하였다. Co-Ni 합금을 SIMS 분석하였을 때 Co와 Ni의 이차이온 세기의 비가 넓은 농도 범위에서 각 성분의 농도의 비와 직선관계를 가져 SIMS에 의한 합금의 정량분석 이 가능하였다. 또한 VAMAS-SCA Japan Project의 XPS 공동분석의 예비 결과도 주어져 있다.

  • PDF

다수 레미콘사에서 납품된 콘크리트 품질 편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Quality Deviation of High-Strength Concrete from Multiple Ready Mixed Concrete Companies)

  • 박동천;석원균;전현수;김영선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577-583
    • /
    • 2022
  • 대형 현장의 경우 다수의 레미콘사에서 콘크리트를 납품받게 되는 경우가 많으나 동일 콘크리트 배합표를 사용하더라도 재료와 제조장비의 등의 차로 인해 품질에 편차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그러한 검토 실적은 미비한 실정에 본 연구에서는 부산 지역의 12개 레미콘사에서 납품 받은 콘크리트를 대상으로 굳기 전 콘크리트 물성 및 압축강도, 염소이온 확산계수를 측정하였다. 굳기 전 콘크리트 물성은 기준을 만족하였고 압축강도는 설계기준 압축강도 대비 128%를 나타내었다. 염소이온 확산계수의 경우도 큰 편차없이 설계기준 압축강도별 평균값을 도출할 수 있었다. 압축강도는 강도가 높을수록 편차가 컸으며 염소이온 확산계수는 강도가 낮을수록 편차가 큰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