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und bale silage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1초

Bale Location Effects on Nutritive Value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Annual Ryegrass Bale Stored in In-line Wrapping Silage

  • Han, K.J.;McCormick, M.E.;Derouen, S.M.;Blouin, D.C.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9호
    • /
    • pp.1276-1284
    • /
    • 2014
  • In southeastern regions of the US, herbage systems are primarily based on grazing or hay feeding with low nutritive value warm-season perennial grasses. Nutritious herbage such as annual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may be more suitable for preserving as baleage for winter feeding even with more intensive production inputs. Emerging in-line wrapped baleage storage systems featuring rapid wrapping and low polyethylene film requirements need to be tested for consistency of storing nutritive value of a range of annual ryegrass herbage. A ryegrass storage trial was conducted with 24-h wilted 'Marshall' annual ryegrass harvested at booting, heading and anthesis stages using three replicated in-line wrapped tubes containing ten round bales per tube. After a six-month storage period, nutritive value changes and fermentation end products differed significantly by harvest stage but not by bale location. Although wilted annual ryegrass exhibited a restricted fermentation across harvest stages characterized by high pH and low fermentation end product concentrations, butyric acid concentrations were less than 1 g/kg dry matter, and lactic acid was the major organic acid in the bales. Mold coverage and bale aroma did not differ substantially with harvest stage or bale location. Booting and heading stage-harvested ryegrass baleage were superior in nutritive value to anthesis stage-harvested herbage. Based on the investigated nutritive value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individual bale location within in-line tube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preservation quality of ryegrass round bale silages.

연천지역에 있어서 생볏짚 원형곤포사일리지의 부위별 사료성분 및 발효품질 (Chemical Composition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Storage Sections of the Round Bale Silage of Fresh Rice Straw at Yonchon of Gyeonggi-do)

  • 김상록;김곤식;우제훈;이준우;성경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53-260
    • /
    • 2004
  • 본 연구는 효율적인 RS 조제기술을 규명할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는 RS의 저장부위에 따른 발효품질 및 사료성분의 변화에 대하여 검토하였는데, 곤포한 1개월 후에 3개의 RS(bale No. 1, bale No. II 및 bale No. III로부터 부위별 (상층부, 중앙부 및 하층부)로 채취하였다. 건물 함량은 상층부에서 bale No. I, bale No. II 및 bale No. III이 각각 64.5, 87.6 및 $63.3\%$로 bale No. II가 가장 높았으며, 모두 수분 함량이 아주 낮은 haylage 수준이였다. CP 함량은 bale No. I, bale No. II 및 bale No. III간에 커다란 차이는 없었으며, 평균 CP 함량은 상층부, 중앙부 및 하층부가 각각 4.1, 4.3 및 $4.0\%$로 부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NDF 함량 bale No. I, bale No. II 및 bale No. III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평균 NDF 함량은 상층부, 중앙부 및 하층부가 각각 66.0, 69.5 및 $69.4\%$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TDN 함량은 bale No. I, bale No. II 및 bale No. III간에 커다란 차이는 없었으며, 평균 TDN 함량은 상층부, 중앙부 및 하층부가 각각 44.2, 44.3 및 $44.0\%$로 부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pH는 중앙부가 상층부나 하층부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모든 부위에서 전반적으로 높았다. 유산 함량을 비롯 acetate, propionate 및 butyrate 함량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RS의 사료성분 함량은 상층부, 중앙부 및 하층부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이것은 수확시기 지연으로 인해 생볏짚의 건물 함량이 $70\%$ 정도로 높아 부위에 따른 수분(수용성물질 함유) 이동이 없었던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벼 수확과 동시에 생볏짚을 이용하여 RS를 조제할 경우, 건물 함량이 $26{\sim}40\%$ 범위일 때 사료성분 면에서 우수한 것을 고려한다면, 사료성분이 양호한 RS를 조제하기 위해서는 초상(初霜)전 벼 수확과 동시에 곤포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사료된다.

트랙터 견인형 원형베일 세절.급여기 개발(I) - 세절 메카니즘 개발 및 성능시험 - (Development of a Tractor Attached Roughage Cut-feeder for Round Bale(I) - Development of a Cutting Mechanism and a Performance Test -)

  • 홍동혁;박경규;하유신;김혁주;권진경;김태욱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2권5호
    • /
    • pp.292-300
    • /
    • 2007
  • Not many types of roughage cutters have been introduced in Korea so far. However, those machines could not satisfy farmers to cut rice straw or barley wrap-silage properly. Stiffness and firmness of roughage bale were two obstructing factor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tractor attached cut-feeding machinery for the round baled roughage was developed for dairy and beef cattle farm in Korea. A series of tests were performed and acquir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everal imported roughage cutters, which have been already introduced in dairy farm in Korea. And, a prototype of forage cutter was selected, analyzed, designed and manufactured to develop a tractor attached roughage cut-feeder for round bale. Also, the prototype machine was tested, modified and improved through revising model. As a result, a tractor attached roughage cut-feeder for round bale was manufactured. In ord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model machinery. a series of test were performed by the prototype machinery both at the plant and field. The model machinery developed satisfied in both power requirement and cutting capacity. As a conclusion, one of the obstacles against feeding the round baled roughage in the korea cattle farm can be eliminated by developing the tractor attached round baled roughage cut-feeder.

Effects of Maturity at Harvest and Wilting Days on Quality of Round Baled Rye Silage

  • Kim, J.G.;Chung, E.S.;Seo, S.;Ham, J.S.;Kang, W.S.;Kim, D.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9호
    • /
    • pp.1233-1237
    • /
    • 2001
  • A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maturity at harvest and wilting days on the quality of round baled rye (Secale cereale L.) silage. This study was a $3{\times}3$ factorial arrangement in a split plot design with 3 replicates. The main plot was 3 harvesting dates at the stage of boot (20 Apr.), heading (29 Apr.) and flowering (14 May). The subplot was wilting day : 0 (unwilted), 0.5 and 1 day (0, 1, and 2 days at boot stage). Acid detergent fiber (ADF) and neutral detergent fiber (NDF) contents of rye silage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ose of rye before ensiling, but crude protein (CP) content and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were vice versa. Buffering capacity (BC) of rye harvested at flowering stage was decreased from 264 to 202 meq/kg at 1 day wilting, however, it was increased when harvested at boot or heading stage. The pH in wilted silage was the highest while that of flowering stage was the lowest. Water soluble carbohydrate (WSC) content of wilting rye was lower than that of unwilted, and the lowest at late harvesting stage. All plots had minimal WSC content for silage fermentation. Wilting treatment and delayed harvesting date caused an increase in dry matter (DM) content of round bale silage. The content of ammonia-N expressed as a portion of total N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DM content. High quality silage according to ammonia-N content could be obtained from mid-harvest with wilting. There were high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ch organic acid between harvesting dates and wilting periods. Acetic and butyric acid contents were increased with delayed harvesting and prolonged wilting period, the lactic acid content, however, was decreased.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harvest of rye from heading to flowering stage with wilting would be a recommendable method for making high quality rye silage using round bale system.

라운드 베일을 이용한 생볏짚 사일리지의 품질 향상에 관한 연구 (Studies on Improvement of Quality of Round Bale Sliage Using Fresh Rice Straw)

  • 강우성;김종근;정의수;함준상;김종덕;김경남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1-48
    • /
    • 1999
  • 본 시험은 원형베일러를 이용한 생볏짚 사일리지의 조제 가능성을 구명하고 적정 첨가제를 선발하기 위하여 1997년 10월부터 1998년 6월까지 축산기술연구소 초지사료과에서 실시하였다. 첨가제는 생볏짚을 원형베일로 만들기전 무처리, 개미산, 당밀, 당밀+요소 및 젖산균제 등 5처리를 두고 난괴법 3반복으로 수행하였으며 사일리지 품질과 가축 섭취량 등을 조사하였다. 조단백질 함량은 당밀+요소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소화율은 당밀 및 젖산균 처리구에서 증가하였다. 건물률에 있어서는 개미산 처리구가 가장 높았고 대조구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첨가제 처리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산도(pH)는 당밀 및 젖산균제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낮게 나타났다. 유기산 함량은 전체적으로 2%이하로 낮게 나타났으며, 젖산 함량은 당밀 및 젖산균제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P<0.05) 낙산 함량은 감소하였다. 암모니아태 질소의 함량은 당밀+요소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당밀 및 젖산균제 처리구에서 10% 이하로 낮게 나타났다. 7일간의 가축 급여시험에서는 젖산균제를 처리한 생볏짚 원형베일 사일리지에서 두당 섭취량이 무처리 원형베일 사일리지와 건조볏짚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생볏짚 원형베일 사일리지 생산비는 수거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생산비가 크게 낮아졌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생볏짚을 원형베일 사일리지로 조제시 당밀 또는 젖산균제를 첨가할 때 가장 우수한 사일리지를 조제할 수 있었고 젖산균제 처리시 가축 섭취량도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수확시 숙기, 예건 및 유산균첨가제 처리가 호밀 원형곤포 사일리지의 건물 손실률 및 형태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arvest Maturity, Wilting and Inoculant on the DM Losses and Morphological Changes of Round Baled Rye Silage)

  • 김종근;박형수;이상훈;김맹중;김종관;임영철;정의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83-289
    • /
    • 2015
  • 수확시 숙기와 조제방법이 호밀 라운드베일 사일리지의 건물 손실률과 형태변화에 대한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3가지 시험을 수행하였다. 호밀은 3번의 생육단계에 맞춰 수확하였으며 (수잉기, 출수기 및 개화기) i) 예건 (비예건, 단기예건, 장기예건)에 따른 변화, ii) 유산균첨가제 (무처리, 첨가제 A 및 첨가제 B) 처리에 따른 변화, iii) 비닐색 (백색, 흑색, 녹색)에 따른 변화를 관찰하였다. 수잉기 및 비예건 처리구에서 저장 2개월 후의 형태 변화가 심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출수기 이후의 수확 처리구에서는 변화정도가 심하지 않았다. 첨가제 처리는 사일리지의 형태변화와 건물 손실률을 감소시켰다. 건물 손실률은 수확이 지연되거나 첨가제 처리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수잉기 처리에서는 형태변화가 심하게 관찰이 되었는데 첨가제 처리구가 비 처리구보다 형태변화가 더 심하게 일어났다. 흑색비닐 처리는 다른 비닐색에 비해 형태변화가 심하게 일어났 으나 건물 손실률은 비닐색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상관관계에서는 수확시 숙기와 예건기간이 형태변화와 정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건물함량은 사일리지의 형태변화에 영향을 주는 가장 큰 요인으로 나타났다.

원형 곤포사일리지에 발생한 곰팡이의 분류 동정 (Taxonomy and Identification of Fungi Isolated from Round Bale Silage)

  • 노환국;여준모;김완영;이장형;서성;김민경;서건식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4권1호
    • /
    • pp.61-83
    • /
    • 2012
  • 곤포사일리지에 발생하는 곰팡이를 분류 동정하기 위하여 2009년부터 2011년까지 253개의 오염된 곤포사일리지를 채집하였다.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수단 그라스, 호밀, 옥수수, 보리와 귀리에서 분리한 총 253 목초 샘플을 분석했다. 채집된 곤포사일리지에서 총 270균주를 순수 분리하였고, 분리된 곰팡이의 형태와 rDNA sequence를 분석하여 분류 동정하였다. 분리한 곰팡이를 형태를 기준으로 분류 동정 한 결과 Rhizopus sp., Fusarium spp., Coprinus sp., Blastomyces sp., Aureobasidium sp., Polypaecilum sp., Botryoderma sp., Mucor sp., Scytalidium sp., Sphaeropsis sp., Aspergillus spp., Trichocladium sp., Humicola sp., Staphylotrichum sp., Periconia sp., Verticillium sp., Diplococcium sp., Penicillium spp., Trichoderma spp. 등 19종의 곰팡이가 분리 동정되었다. 한편, 사일리지에서 분리한 곰팡이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Acremonium strictum, Asperillus tubingensis, Bionectria ochroleuca Dipodascaceae sp., Fusarium proliferatum, Fusarium oxysporum, Fusrium solani, Gelasinospora reticulata, Gibberella monliliformis, Gibberella zeae, Nectria mauritiicola, Penicillium paneum, Pseudallecheria boydii, Schizaphyllum commune, Scoplariopsis brevicaulis, SimpliciIlium lamellicola로 분류 동정되었다. PenicIlliwn sp.와 Trichoderma sp.는 각각 74와 64균주가 분리되어 가장 많이 분리 동정되었고, Humicola sp., Aspergillus sp., Coprinus sp., Fusarium spp.도 10~30 균주가 분리 동정되었다. 곤포 사일리지에서의 대부분의 곰팡이는 한 종 이상의 곰팡이가 복합적으로 오염되었다.

사료용 볏짚 곤포사일리지의 곰팡이 및 Mycotoxin 오염 연구 (Studies on Fungal Contamination and Mycotoxins of Rice Straw Round Bale Silage)

  • 성하균;이종경;서성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51-462
    • /
    • 2011
  • 본 연구는 국내 생산 사료용 볏짚 곤포사일리지의 수확 후 저장기간 동안 생성된 곰팡이 오염도 및 곰팡이 종류를 조사하고 mycotoxin 노출 유해성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곰팡이 및 mycotoxin 오염을 조사하기 위하여 곰팡이 발생이 육안 식별이 안 되는 정상적인 것부터 오염이 심한 것까지 다양한 상태의 농가에서 급여하고 있는 33점의 볏짚 곤포사일리지 시료를 수거하여 조사하였다. 오염된 곰팡이는 흰색, 회색, 푸른색 및 검은 갈색 등 다양한 색의 콜로니가 오염된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곰팡이 오염도는 평균 $2.1{\times}10^6\;cfu\;g^{-1}$ 가장 높은 오염도는 $9.2{\times}10^8\;cfu\;g^{-1}$까지 발견되었으며, 외관상 곰팡이 오염 식별이 안 되는 정상적인 볏짚 곤포사일리지의 모든 시료에서도 곰팡이 오염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볏짚 곤포사일리지에서 발견된 곰팡이의 종류만도 28가지로 매우 다양하였고, 이들 중 유해 독소를 분비하는 8종의 곰팡이 즉, Aspergillus flavus, Aspergillus fumigatus, Fusarium culmorum, Fusarium verticillioides, Penicillium carneum, Penicillium paneum, Penicillium roqueforti, Penicillium viridicatum이 발견되었다. 특히, 가장 많이 분리된 곰팡이는 Penicillium sp.로 이중에서도 P. paneum이 시료의 42%에서, 다음으로 Aspergillus sp. (A. flavus, A. fumigatus)는 시료의 21%에서 발견되었다. 볏짚 곤포사일리지 시료의 42%가 mycotoxin에 오염되어 있었고, 2개 이상의 mycotoxin에 오염된 것은 12%, 그리고 3개 이상 mycotoxin에 오염된 것은 3%였다. Mycotoxin 중 aflatoxin ($B_1$, $B_1$, $G_1$, $G_2$)과 fumonisin ($B_1$, $B_2$)은 발견되지 않았지만, ochratoxin A (1.0~5.8 ug/kg), deoxynivalenol (DON, 156.0~776.7 ug/kg) 및 zearalenone (ZON, 38.0~750.0 ug/kg)이 오염되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볏짚 곤포사일리지가 곰팡이 및 mycotoxin의 유해성에 노출되어 있음을 시사하는 바 앞으로 폭넓은 연구와 함께 mycotoxin으로 인한 가축의 피해를 줄여주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였다.

국내 조사료용 볏짚의 수확 전 작물포 및 수확 후 저장에 따른 곰팡이독소 오염 실태 연구 (The Studies on Real Condition of Mycotoxin Contamination in the Fields before Harvest and by the Storage of Rice Straw using as Roughage in Korea)

  • 성하균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1-29
    • /
    • 2013
  • 본 연구는 국내 생산 볏짚의 곰팡이독소 오염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벼의 생육 단계별, 볏짚의 보관 형태별 및 곤포사일리지의 지역별 오염을 조사하였다. 수확하기 전 논에서 생장 중인 비에서 곰팡이독소 및 곰팡이 오염이 확인되었다. 벼의 생장 초기에는 deoxynivalenol($297{\mu}g/kg$) 이 발견되었고, 중기에는 ochratoxin A($1.8{\mu}g/kg$) 및 deoxynivalenol($264{\mu}g/kg$) 이 오염되어 있었다. 그리고 수확시기에는 deoxynivalenol($190{\mu}g/kg$) 및 zearalenone ($168{\mu}g/kg$) 이 오염되어 있었다. 그리고 곰팡이 오염은 생장 초기에는 $10^{3-4}$ cfu/g 그리고 생장 중기와 수확시기에는 $10^{4-5}$ cfu/g 이었다. 오염된 곰팡이로는 Fusarium sp., Fusarium proliferatum, Penicillium sp., Gibberella sp., Gibberella zeae, Mucor circinelloides, Aspergillus oryzae 등 다양한 종류가 발견되었다. 사료용 볏짚의 통 볏짚단, 사각 볏짚단 및 곤포사일지 등 저장 방법에 따른 오염원 mycotoxin을 조사하였을 때 zearalenone, deoxynivalenol 및 ochratoxins A가 검출되었다. 통 볏짚단의 곰팡이독소 오염도는 23% 이었고, 사각 볏짚단과 곤포사일지지는 각각 38%가 오염되어 있었다. 그리고 105점의 볏짚 곤포사일리지에서 곰팡이독소를 분석하였을 때 46%의 샘플에서 곰팡이독소가 발견되었고, 지역적으로는 경기, 강원, 충청, 영남 및 호남지역에서 각각 48, 33, 40, 50 및 57%의 샘플이 오염되어 있었다. 2가지의 곰팡이독소(zearalenone, deoxynivalenol)가 발견된 충청지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의 볏짚 곤포사일리지에서 3가지의 곰팡이독소(zearalenone, deoxynivalenol, ochratoxins A)가 발견되었다. Ochratoxins A의 오염 수준은 전체적으로 $2.6{\mu}g/kg$으로 충청지역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호남지역은 $3.0{\mu}g/kg$으로 다른 지역보다 높았다. Deoxynivalenol의 오염 수준은 전체적으로 $413{\mu}g/kg$으로 충청지역이 $800{\mu}g/kg$로 가장 높았고, 다른 지역은 $246{\mu}g/kg$에서 $433{\mu}g/kg$의 수준으로 발견되었다. 그리고 zearalenone은 전체적으로 $338{\mu}g/kg$으로 경기지역이 $168{\mu}g/kg$로 다른 지역보다 낮았고, 강원과 호남지역이 각각 $467{\mu}g/kg$$442{\mu}g/kg$으로 높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볏짚은 수확하기 전 벼의 생장 기간에도 곰팡이독소 및 곰팡이 오염에 노출되어 있으며, 볏짚의 보관 형태 및 지역에 상관없이 곰팡이독소의 오염이 발생할 수 있음을 명확히 시사한다. 따라서 안전하고 질 좋은 조사료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이들 곰팡이독소 관련 더 구체적 연구와 대책관련 탐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소형 사각 곤포기를 이용한 옥수수 사각 압축곤포 사일리지 조제에 관한 연구 (Study on Manufacture of Square Baled Corn Silage Using Square Silage Wrapping Compressor)

  • 최기춘;조남철;정민웅;김종근;신재순;이경동;임영철;김원호;오영균;김천만;김혁기;한동배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5-84
    • /
    • 2011
  • 본 시험은 수확시기가 옥수수 사각 압축곤포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9년부터 2010년까지 국립축산과학원에서 수행되었다. 옥수수 사일리지 전용 품종인 광평옥을 이용하여 숙기별 3회(유숙기, 황숙기 및 완숙기)에 걸쳐 수확을 하여 사일리지로 조제하였다. 숙기가 진행됨에 따라 옥수수 원형곤포 사일리지의 조단백질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P<0.05) ADF 및 NDF 함량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TDN 및 in vitro 건물소화율도 비슷하였다. 숙기별 수분함량, pH 및 사료가치는 사일리지 제조 방법 및 젖산균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유숙기에서 옥수수 사각 압축곤포 사일리지의 젖산 함량은 원형곤포 사일리지보다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나(P<0.05) 황숙기에서는 현저하게 감소하였다(P<0.05). 숙기별 사각 압축곤포 사일리지의 초산 함량은 원형곤포 사일리지보다 현저하게 감소하였다(P<0.05). 유숙기에서 옥수수 사각 압축곤포 사일리지의 Flieg's score는 원형곤포 사일리지보다 약간 증가하였으나 황숙기와 완숙기에는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다. 그리고 옥수수 사각 압축곤포 사일리지와 원형곤포 사일리지의 Flieg's score는 젖산균에 의해서 영향을 받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옥수수사각 압축곤포 사일리지는 새로운 사일리지 제조방법이 될 수 있고 또한 양질의 옥수수 사일리지 발효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