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leaning efficacy of different final irrigation regimens in canal and isthmus of mandibular molars, an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related variables on cleaning efficacy of the irrigation systems. Materials and Methods: Mesial root canals from 60 mandibular molars were prepared and divided into 4 experimental groups according to the final irrigation technique: Group C, syringe irrigation; Group U, ultrasonics activation; Group SC, VPro StreamClean irrigation; Group EV, EndoVac irrigation. Cross-sections at 1, 3 and 5 mm levels from the apex were examined to calculate remaining debris area in the canal and isthmus spaces. Statistical analysis was completed by using Kruskal-Wallis test and Mann-Whitney U test for comparison among groups, and multivariate linear analysis to identify the significant variables (regular replenishment of irrigant, vapor lock management, and ultrasonic activation of irrigant) affecting the cleaning efficacy of the experimental groups. Results: Group SC and EV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anal cleanliness values than group C and U at 1 mm level (p < 0.05), and higher isthmus cleanliness values than group U at 3 mm and all levels of group C (p < 0.05).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all variables had independent positive correlation at 1 mm level of canal and at all levels of isthmu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s. Conclusions: Both VPro StreamClean and EndoVac system showed favorable result as final irrigation regimens for cleaning debris in the complicated root canal system having curved canal and/or isthmus. The debridement of the isthmi significantly depends on the variables rather than the canals.
유치나 영구치를 막론하고 근관내의 세균 감염으로 인한 치수 괴사 및 이에 따른 치근단 병소의 유발은 임상의로 하여금 근관치료나 발치와 같은 도전적인 치료에 직면하게 한다. 특히 유치에 근관치료를 필요로 하는 경우, 소아 환자의 행동조절이 한계가 있고, 치아의 해부학적 차이, 또는 계승치의 존재로 인해 근관치료가 아닌 발치와 같은 차선의 치료로 접근할 수 있다. 영구치나 유치를 막론하고 치수내 잔존 세균과 유기조직 잔사를 기계적 방법과 함께 적절한 근관세척액을 사용하여 가능한 많이 제거함으로써 치근단 주위조직의 치유를 유도하여야 한다. 차아염소산 나트륨은 우수한 항균효과와 조직용해성, 독소의 무력화 또는 도말층을 제거할 수 있는 성질 등으로 이상적인 근관세척제의 조건에 거의 합당한 약제이다. 그러므로 러버댐 및 추가적인 차폐 조치를 한 다음, 저농도의 차아염소산 나트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bjectives: To evaluate the accuracy of the Root ZX in teeth with simulated root perforation in the presence of gel or liquid type endodontic irrigants, such as saline, 5.25% sodium hypochlorite (NaOCl), 2% chlorhexidine liquid, 2% chlorhexidine gel, and RC-Prep, and also to determine the electrical conductivities of these endodontic irrigants. Materials and Methods: A root perforation was simulated on twenty freshly extracted teeth by means of a small perforation made on the proximal surface of the root at 4 mm from the anatomic apex. Root ZX was used to locate root perforation and measure the electronic working lengths. The results obtained were compared with the actual working length (AWL) and the actual location of perforations (AP), allowing tolerances of 0.5 or 1.0 mm. Measurements within these limits were considered as acceptable. Chi-square test or the Fisher's exact test was used to evaluate significance. Electrical conductivities of each irrigant were also measured with an electrical conductivity tester. Results: The accuracies of the Root ZX in perforated teeth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liquid types (saline, NaOCl) and gel types (chlorhexidine gel, RC-Prep). The accuracies of electronic working lengths in perforated teeth were higher in gel types than in liquid types. The accuracy in locating root perforation was higher in liquid types than gel types. 5.25% NaOCl had the highest electrical conductivity, whereas 2% chlorhexidine gel and RC-Prep gel had the lowest electrical conductivities among the five irrigants. Conclusions: Different canal irrigants with different electrical conductivities may affect the accuracy of the Root ZX in perforated teeth.
Whether you use a hand file or an engine-driven file, you cannot remove bacteria completely from the root canal by mechanical work alone. If the root canal is well cleaned, endodontic irrigants will well penetrate into these areas that will not be mechanically accessible. It will decompose and remove the biofilm and also remove the smear layer to reach the dentinal tubule. Clinicians who are not yet using NaOCl as their primary irrigant, should be aware that there are no other irrigants that offer all the benefits of NaOCl and are inexpensive. Clinicians may be reluctant to use it because of concern about NaOCl accident, but this possibility is extremely low if used with caution.
본 연구에서는 근관 내의 주사침 말단의 위치, 근관 세척액의 주입 속도, 주사침 말단의 형상이 근관 세척 시 발생하는 치근단 압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5개의 사람 하악 소구치에 근관 와동 형성 후 #35(0.06 taper) 니켈-티타늄 회전식 기구로 근관을 형성하였다. 주사침 말단의 형상에 따라 구분되는 notched, side-vented, flat 3가지 종류의 주사침을 근단 협착부로부터 치관 방향으로 1, 3, 5 mm 거리가 되는 지점(주사침 말단의 위치)에 위치시켰다. 각 군에 대하여 세척액 주입 속도는 0.05, 0.1, 0.2, 0.3 ml/s로 변화시키면서 치근단 압력을 측정하였다. 나머지 조건이 동일한 경우 주사침 말단의 위치가 감소할수록, 세척액 주입 속도가 증가할수록 치근단 압력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주사침 말단의 위치와 세척액 주입 속도가 동일한 조건 하에서 side-vented 주사침이 가장 낮은 치근단 압력을 보였고, notched, flat 주사침 순서로 치근단 압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주사침 말단의 위치가 1 mm인 군 또는 세척액 주입 속도가 0.1 ml/s 이상인 군에서는 나머지 조건에 관계없이 모든 경우에서 중심정맥압(5.88mmHg)보다 높은 치근단 압력을 나타냈다. Flat 주사침은 세척액 주입 속도와 주사침 말단의 위치에 따른 치근단 압력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임상에서 사용이 추천되지 않으며, 안전하고 효율적인 근관 세척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근단 협착부로부터 치관 방향으로 3 mm 떨어진 지점에 주사침 말단을 위치시키고 0.05 ml/s 이하의 세척액 주입 속도로 근관 세척액을 적용해야 할 것이다.
Recently the development of rotary instrument makes it possible that in root canal treatment operator saves much more time, maintans original curved canal shape and easily prepares continuous tapered root canal.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was to examine the smoothness of the internal surface of prepared root canal and the effectiveness of debridement in prepared root canal by SEM for the comparison of hand and Ni-Ti rotary instrument. 25 extracted human teeth were access opened and # 10 K-type file was introduced into canal until it was appeared at the apical foramen. The working length was established by subtracting 0.5mm from this measurement. Group 1. The root canal preparation was done to # 30 with working length and then step-back until # 45 with K-Flexofile (Maillefer, Swiss). Group 2. Root canal preparation was done by Naviflex Ni-Ti file (Brasseler, USA) as the same technique with group 1. Group 3. Canal was prepared by Profile .04 (Maillefer, Swiss) taper until #30. Group 4. With use of Quantec (Tycom, USA) root canal was prepared from file number 1 to 8. In group 1 and 2, the root canal irrigant was NaOCl and the other groups, NaOCl and RC-prep (Premine Dental Products, USA) was used. The prepared teeth were notched with high-speed bur as bucco-lingual direction and fractured with chisel and mallet, then examined with SEM. Group 1 showed smooth internal surface. There were scratches mainly to the axial direction. Group 2 showed similar characteristics to those in group 1. Group 3 showed more smoother and linear cutting surface with bised scratches. Group 4 has the almost same characteristics group 3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file design. Ni-Ti rotary root canal instrument prepare the dentinal wall more smoother than hand instrument. The effectiveness of debridement was not fully affected by file design. The isthmus area and accessory canals of the root canal system were not prepared in any group. According to the result, hand and rotary type instrumentation techniques were effective in removal of major amount of tissue from root canal but it was not complete. In the direction of cutting movement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them.
This study aimed to describe the outcomes of the GentleWave system (GW) (Sonendo) on root canal treatment. Published articles were collected from scientific databases (MEDLINE/PubMed platform, Web of Science, Scopus, Science Direct and Embase). A total of 24 studies were collected from August/2014 to July/2021, 20 in vitro and 4 clinical. GW System was not associated with extrusion of the irrigant, promoted faster organic dissolution than conventional syringe irrigation (CSI), passive ultrasonic irrigation (PUI) continuous ultrasonic irrigation (CUI) and EndoVac, reduced more bacterial DNA and biofilm than PUI and CUI, promoted higher penetration of sodium hypochlorite into dentinal tubules than PUI and CUI in vitro, and removed more intracanal medication than CSI and PUI. GW was able to remove pulp tissue and calcifications. Moreover, its ability to remove hard-tissue debris and smear layer was better than that of CSI, and its ability to remove root canal obturation residues was lower or similar to that of PUI, and similar to that of CSI and EndoVac. Regarding root canal obturation of minimally instrumented molar canals, GW was associated with high-quality obturation. Clinically, the success rate of endodontic treatment using GW was 97.3%, and the short-term postoperative pain in the GW group was not different from CSI. Further research, mainly clinical, is needed to establish whether GW has any advantages over other available irrigation methods.
Yoon-Joo Lee;Kyung-Mo Cho;Se-Hee Park;Yoon Lee;Jin-Woo Kim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제49권2호
/
pp.20.1-20.13
/
2024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nanoleakage of root canal obturations using calcium silicate-based sealer according to different drying methods. Materials and Methods: Fifty-two extracted mandibular premolars with a single root canal and straight root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fter canal preparation with a nickel-titanium rotary file system, the specimens were randomly divided into 4 groups according to canal drying methods (1: complete drying, 2: blot drying/distilled water, 3: blot drying/NaOCl, 4: aspiration only). The root canals were obturated using a single-cone filling technique with a calcium silicate-based sealer. Nanoleakage was evaluated using a nanoflow device after 24 hours, 1 week, and 1 month. Data were collected twice per second at the nanoscale and measured in nanoliters per secon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Kruskal-Wallis and Mann-Whitney U-tests (p < 0.05). Results: The mean flow rate measured after 24 hours showed the highest value among the time periods in all groups. However, the difference in the flow rate between 1 week and 1 month was not significant. The mean flow rate of the complete drying group was the highest at all time points. After 1 month, the mean flow rate in the blot drying group and the aspiration group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onclusions: Withi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the canal drying metho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eakage and sealing ability in root canal obturations using a calcium silicate-based sealer. Thus, a proper drying procedure is critical in endodontic treatment.
Chia, Margaret Soo Yee;Parolia, Abhishek;Lim, Benjamin Syek Hur;Jayaraman, Jayakumar;de Moraes Porto, Isabel Cristina Celerino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제45권3호
/
pp.28.1-28.13
/
2020
Objectives: To evaluate the outcome of in vitro studies comparing the effectiveness of QMix irrigant in removing the smear layer in the root canal system compared with other irrigants. Materials and Methods: The research question was developed by using Population,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 and Study design framework. Literature search was performed using 3 electronic databases PubMed, Scopus, and EBSCOhost until October 2019. Two reviewers were independently involved in the selection of the articles and data extraction process. Risk of bias of the studies was independently appraised using revised Cochrane Risk of Bias tool (RoB 2.0) based on 5 domains. Results: Thirteen studies fulfilled the selection criteria. The overall risk of bias was moderate. QMix was found to have better smear layer removal ability than mixture of tetracycline isonomer, an acid and a detergent (MTAD), sodium hypochlorite (NaOCl), and phytic acid. The efficacy was less effective than 7% maleic acid and 10% citric acid. No conclusive results could be drawn between QMix and 17%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due to conflicting results. QMix was more effective when used for 3 minutes than 1 minute. Conclusions: QMix has better smear layer removal ability compared to MTAD, NaOCl, Tubulicid Plus, and Phytic acid. In order to remove the smear layer more effectively with QMix, it is recommended to use it for a longer duration.
Chum, Jia Da;Lim, Darryl Jun Zhi;Sheriff, Sultan Omer;Pulikkotil, Shaju Jacob;Suresh, Anand;Davamani, Fabian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제44권1호
/
pp.8.1-8.7
/
2019
Objectives: Irrigants are imperative in endodontic therapy for the elimination of pathogens from the infected root canal. The present study compared the antimicrobial efficacy of octenidine dihydrochloride (OCT) with chlorhexidine (CHX) and sodium hypochlorite (NaOCl) against Staphylococcus epidermidis (S. epidermidis) for root canal disinfection. Materials and Methods: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was obtained using serial dilution method. The agar diffusion method was then used to determine the zones of inhibition for each irrigant. Lastly, forty 6-mm dentin blocks were prepared from human mandibular premolars and inoculated with S. epidermidis. Samples were randomly divided into 4 groups of 10 blocks and irrigated for 3 minutes with saline (control), 2% CHX, 3% NaOCl, or 0.1% OCT. Dentin samples were then collected immediately for microbial analysis, including an analysis of colony-forming units (CFUs). Results: The MICs of each tested irrigant were 0.05% for CHX, 0.25% for NaOCl, and 0.0125% for OCT. All tested irrigants showed concentration-dependent increase in zones of inhibition, and 3% NaOCl showed the largest zone of inhibition amongst all tested irrigants (p < 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CFU measurements of 2% CHX, 3% NaOCl, and 0.1% OCT showing complete elimination of S. epidermidis in all samples.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OCT was comparable to or even more effective than CHX and NaOCl, demonstrating antimicrobial activity at low concentrations against S. epidermidis.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