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of Style

검색결과 124건 처리시간 0.021초

창덕궁 선정전의 의례 공간적 건축 구조 (The Architectural Structure of Seonjeong-jeon in Changdeok Palace as a Ceremonial Hall)

  • 이종서
    • 건축역사연구
    • /
    • 제29권2호
    • /
    • pp.39-52
    • /
    • 2020
  • Seonjeong-jeon, the semi-great hall in Changdeok Palace, was constructed in a highly formal and conservative style and accommodated official ceremonies. However, the contemporary modification of the building has distorted or eliminated features including the two side doors on the front, the floor coverings, and the throne base (Jwa-tap) that consisted the most significant part of the throne. Seonjeong-jeon originally had three doors that stood between each pair of columns on the front side, respectively. The courtiers accessed the building through the side doors, while the central door was exclusively designated for the king. However, the renovation in 1999 ignored the political context of the architectural form of the building and changed the side doors into windows, damaging the traditional structure inherited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Although the building currently has traditional wooden floor structure (Woomul-maru), it was originally covered with square brick tiles (Bang-jeon) before the Japanese occupation, following the customs of early Joseon Dynasty. The throne was placed to the north of the central door and consisted of the throne base and a decorative roof (Dang-ga). A canvas (Jang-ja), which featured the royal symbolic painting of Sun, Moon, and Five Peaks, was also installed between the two columns that connected the base and the roof. Nevertheless, only the columns and the blank canvas remain nowadays after the removal of the base.

옥상녹화시스템의 기온조절효과와 태양광발전효율간의 상호연관성 규명을 위한 전산해석연구 (A Study on Computer Simulation to Investigate Correlations between Temperature Controlling Effect of Green Roof System and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 김태한;박성은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3권4호
    • /
    • pp.70-79
    • /
    • 2013
  • These day cities experience serious climatic changes due to environmental load caused by disturbance in the circulation systems of water resources and energy. As technological improvement to respond to various climatic changes and disasters are also requested in the field of construction, inter-disciplinary studies linked to the establishment of sustainable environmental control and energy systems is required in a consilient perspective. This study aims to infer correlations in the impact of environmental changes caused by rooftop greening system on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through computer simulation in an integrated perspective. By doing so, it seeks to provide basic study for developing a photovoltaic system integrated with building revegetation that is sustainable in environmental and resource aspects. A simulation showed that, in the case of sunshine hours in June, the green surface indicated temperature lowering effects of $9.19^{\circ}C$ on average compared to the non-green surface and temperature was $9.81^{\circ}C$ lower. Due to such greening effects, at the highest sunlight timepoint in June, Pmpp improved 119W and heat loss rate dropped 7.8%.

조선시대 민가 오량가(五樑架) 종단구성의 규모와 부재치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cale and Dimensions of member of Sectional structure for Five-Purlin Houses from Joseon Era)

  • 김재웅
    • 건축역사연구
    • /
    • 제28권1호
    • /
    • pp.7-16
    • /
    • 2019
  • As a part of the research on existing structures of private homes from Joseon Era. Focusing on one hundred twenty five-purlin houses,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featur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house structure from style, size, proportion and roof pitch, and measurements of key parts, and developed the following conclusions. Most are single-houses (89, 83%), and among them, there are 47 single front-terrace houses (39%), which is the highest number. The sizes of lower house structure do not differ greatly depending on the vertical structure, and single rear terrace house and double-house have relatively larger side sizes. The size of upper structure is larger in double-houses compared to other vertical structures, indicating a relatively higher roof. The cross-section measurement of major parts show that double-houses are larger than single-houses by 3cm in pillar, 3-4.5cm in crossbeam length, and 4.5cm in crossbeam width. However, Janghyeo width was consistent at 7.5 to 10.5cm, maintaining uniformity regardless of vertical structure of the houses. In addition, the cross-section measurements decreased from sixteenth to nineteenth century, with the size of pillar size decreasing the most. The result that the Janghyeo width is not related to the house structure house confirmed that the Janghyeo width was kept consistent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house structure.

배화학당 한옥기숙사의 복원적 고찰 및 한옥기숙사의 특징 (The Restoration of Paiwha Girls' High School Hanok Dormitory and it's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 현부일;심효지;김기주
    • 건축역사연구
    • /
    • 제33권1호
    • /
    • pp.7-18
    • /
    • 2024
  • Lots of educational and medical facilities were actively built along with foreign missionary activities under Korean Empire era. Paiwha Girls' High School is one of the educational facilities and at that time dormitory house was essential for recruiting girl students. Especially Paiwha's dormitory was traditional hanok style, but now an auditorium has built in its place. This study carried on to restore its hanok dormitory house based on the plan sketch which drawn Paiwha Girls' High School magazine. Through the analysis and investigation, we found some results as follows. Paiwha's Hanok Dormitory had composed of 23 dormitories rooms, management space, sanitary space, dining space, etc. In living rooms division, there are three types of rooms, and it's room was 4~5 pyung(坪) in size and using area per person was 1pyung. Besides all rooms were connected by a corridor. The structure was 5-ryang(樑) type without high column or with one high column. Looking at structure and the shape of the roof on the historic photos, it seems to be a lower roof slope than other traditional house because of reducing its weight. But its span between two columns was wider relatively.

한국 전통사찰에 있어서 부불전의 건축요소와 의장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rchitectural and Design Elements of Secondary Shirines in Traditional Buddhist Temples in Korea)

  • 조정식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102-112
    • /
    • 2010
  • 본 연구는 전통사찰에 자리잡고 있는 부불전의 건축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5개 사찰을 대상으로 건축요소와 의장요소를 고찰한 것이다. 연구의 대상이 된 한 부불전은 명부전, 영산전, 응진전, 약사전, 원통전, 미륵전이며, 이들에 대하여 건축의 규모, 지붕의 형태, 공포구성, 단청, 닫집의 유무 및 형태를 상호비교하여 부불전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명부전은 모든 사찰에 조성되어 있지만(25사례)규모나 건축요소(지붕, 공포)등에서 가장 획일적인 모습으로 나타났다. 영산전(14사례)과 응진전(15사례)도 대부분 3간 규모이며, 맞배지붕과 익공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관음전(12사례)은 팔작지붕의 사례가 8사례이며, 내부의 단청도 금단청을 사용한 사례가 9건, 그리고 닫집이 있는 경우도 6건에 이르는 등, 부불전 중에서 가장 화려한 건축요소가 구사되어 있다. 약사전은 사례수는 적지만(6건) 대부분이 공포를 사용하고 있으며, 소규모 건물임에도 불구하고 각 사찰의 약사전은 대부분이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을 정도로 건축적 가치가 높이 평가 받고 있다.

한국형 공기주입 이중피복 플라스틱온실의 설계기술 개발 (Development of Design Technology of Korean Style Air-Inflated Double-Layer Plastic Greenhouse)

  • 이현우;심상연;남효석;남상운;김영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85-191
    • /
    • 2009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기상환경에 적합한 한국형 공기주입 이중피복 플라스틱 온실을 설계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험용 공기주입 이중피복 플라스틱 온실을 제작하여 작동실험을 실시하고 온실내부의 환경변화를 분석하였다. 온실의 피복재를 설치할 때 시공기술이 부족하여 밀폐도가 많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이중피복 공기충의 정압을 적절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높은 밀폐도를 유지할 수 있는 피복재 설치기술과 관련 자재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관행의 이중피복온실보다 공기주입 이중피복온실이 단열효과가 더 우수하였으며, 특히 아치형 지붕형태의 공기주입 이중피복온실이 복숭아 형태의 관행온실에 비해 $2^{\circ}C$ 정도 높아 보온효과가 상당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공성이 우수하고 밀폐도를 높일 수 있는 피복방식은 온실위에 피복재를 덮은 상태에서 여유길이를 두지 않고 자연스럽게 고정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였다. 다른 조건들이 동일한 공기주입 이중피복 단동온실의 경우 복숭아형 지붕온실에 비해 아치형 지붕온실에서 광투과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연 동 온실의 경우에는 관행 이중피복온실에 비해 공기주입 이중피복온실이 광투과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주로 골조율과 이중피복재간의 간격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고, 이에 대한 자세한 원인은 앞으로 추가적인 실험을 통해 검증할 예정이다. 결로의 발생현상을 가시적으로 비교한 결과 관행온실에서 더 많은 결로가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정량적인 비교를 위해서는 장기간의 관측과 이론적인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더 자세한 실험을 통해 규명할 예정이다.

한칸형 전통 사각정자의 지붕부 연구 (A Study on the Roof Components of the Traditional Single-Room Square Type Pavilion)

  • 정다인;김충식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56-64
    • /
    • 2021
  • 정자는 전통 조경에서 중요한 경관적 장치이자 공간을 구성하는 대표적인 시설이다. 전통 조경공간에 대한 해석과 계승을 위해서는 전통 정자의 형상과 구조에 대한 연구도 동반되어야 한다. 하지만 전통 정자의 양식과 구조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정자의 형상을 결정짓는데 가장 비중이 큰 지붕부를 대상으로 구조적 특성의 규명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15개의 한칸형 전통 사각정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한 칸 정자의 지붕부의 유형을 구분짓는 주요 부재는 보, 종도리, 동자임을 확인하였다. 지붕 부재의 유무에 따라 정자는 보, 보+종도리보+동자, 종도리, 동자 등 5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지붕부의 형상 분류를 토대로 보에 작용하는 하중과 결구를 분석한 결과 한칸형 전통 사각정자에서 보가 수장과 하중의 균형을 이루는 역할을 하기 위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정자 지붕부의 형태와 부재의 역할과 기능에 대해 크기, 비율, 하중 등으로 면밀하게 해석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기와 수막새의 조형적 요소를 응용한 제품개발연구 (A Product Development Study that Applies theFormative Elements of Rooftile Sumaksai)

  • 남궁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322-330
    • /
    • 2022
  • 미디어의 발달로 현대는 세계적으로 각국의 문화와 정보교환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우리 문화유산인 전통소재를 이용한 제품개발은 우리의 고유문화를 세계로 알릴 수 있는 또 하나의 매개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기와를 조사 분석하고 연구결과 파악된 조형 요소를 응용하여 전통과 현대를 융합한 현대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제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기와의 종류 중 지붕의 앞면에 위치하여 다양한 문양이 새겨져 있어 장식성이 돋보이는 수막새를 연구대상으로 선택하고 조형 요소 추출을 위해 문양표현과 구조, 형태적 특징 등을 분석하여 개성이 넘치는 삶을 추구하는 현대인을 위한 아이템으로 조명과 플레이트에 접목하여 개발하였다. 제품개발에 있어서 수막새의 조형 요소를 최대한 살려 전통의 멋을 그대로 표현 해보고자 하였으며, 장식적인 역할을 하는 문양은 기와가 만들어졌던 시대마다 가장 많이 사용되었던 연화 문양을 제품에 맞게 단순화하여 적용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제품은 우리의 일상 속에서 사용하면서 사용자들이 우리 것에 대한 관심이 증대될 것이고, 이러한 전통소재의 연구를 통한 다양한 제품개발이 우리 문화를 세계 속으로 파급시키기위한 방법으로 활성화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Application Technology of Korean-style R&D in Verification for deploying the Neo-Korean Style Public Building - Focused on the positivistic case R&D Technologies in Neo-Korean Style Public building

  • Kim, Young-Hoon;Peck, Yoo-Jung;Park, Joon-Young
    • KIEAE Journal
    • /
    • 제17권1호
    • /
    • pp.5-13
    • /
    • 2017
  • Purpose: This study, by comprehensively the characteristics of new Hanok application techniques with the proposed site application technology in the course of the design changes that have been accumulated through Hanok technology development the second stage business, by analyzing the range of reflection, new Considering the direction reflects the efficiency of the new Hanok application techniques. Method: new Hanok application technology, it was been established through research and development of large 1 new Hanok technology it has been proposed through the "site-specific application techniques" and 2 builders and designers "space-time proposed technique" Analysis of the case, at the center of the design changes, the land the body of laws and regulations, the requirements of the public buildings, compared to the construction method and the like for the reduction of construction costs, new Hanok applied technology in the process of change by it There was analyzed whether acceleration on the range and step which is reflected in the design Result: The result of new Hanok applied technology was built through the demonstration build business case, process another major technology, foundation, woodwork, walls, roof, has been reflected in the ceiling construction, the inclusion of items in the proposed technique of construction , it was applied to the main steps in general, except for other construction work landscaping. Application techniques and construction proposal technology research team has presented, show the difference between the scope and method. With significance effort to improve the unreasonable traditional methods of these core processes that can be reflected in the field repeated the construction proposed technique as a result of the utility that can be applied for substantial construction.

백제 후기 능묘와 능원의 특성 (A Study on the Latter Baekje Dynasty Royal Tombs and Boundary of the Royal Tomb)

  • 김용성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7권2호
    • /
    • pp.68-84
    • /
    • 2014
  • 백제의 능묘는 금강유역으로 천도 후 송산리식의 횡혈식석실묘 ${\rightarrow}$ 남조식의 전실묘 ${\rightarrow}$ 능산리식의 횡혈식석실묘로 변천하였다. 이 변화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이 천장 구조의 변화이다. 천장은 궁륭천장(송산리식) ${\rightarrow}$ 터널천장(전실묘와 능산리식 과도기) ${\rightarrow}$ 집지붕천장(능산리식으로 제형, 삼각형, 평천장 세 아류의 형식)으로 변천했다. 이러한 변천과정에서 가장 특징적인 것은 능산리식 횡혈식석실로 이는 백제에서 창출된 특수한 형식이다. 백제의 능묘는 봉분을 중시하지 않아 현저하지 않았다. 이는 개별 능묘를 과시하여 표지하고자 하는 의도보다는 능원의 영역을 중시하는 가족공동체적인 성격이 강화된 것이고 남조의 영향으로 볼 수 있다. 백제의 능원은 백제가 남천한 후 왕가의 능원에서 단독의 독립능원으로 변천한다. 전자는 송산리와 능산리의 능원이고, 후자는 익산의 쌍릉이다. 전자는 완벽한 풍수지리와 함께 남조의 영향으로 볼 수 있고, 후자는 중국이 재통일된 수와 당초의 능원제 영향이다. 왕가의 능원에는 왕릉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그와 관련된 인물을 배장하였다. 그리고 능원에는 제의시설이 존재했다. 송산리 능원에는 제단이 설치되어 있었는데, 이는 시조묘적인 성격도 가지고 있었을 가능성이 크다. 능산리 능원에는 공동의 능묘에 대해 제의를 시행할 수 있는 노천의 제의 공간이 마련되었고, 이 제의를 담당하면서 선왕에 대한 명복을 빌기 위한 능사가 설치되었다. 이러한 배치나 구조는 신라의 서악동 능원과 아주 유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