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of Runoff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36초

Rainwater Harvesting Potential in a New Residential Area in North Bujumbura, Burundi

  • Kheria, Mfuranzima;Kang, Daeseok;Sung, Kijune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447-456
    • /
    • 2016
  • Access to clean and affordable water is one of the fundamental human rights because water is essential to life and a foundation for socioeconomic development of any country in the world. Despite the efforts to secure water supply in Burundi,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by public utilities does not meet the demand of the population because population keeps increasing with fluctuation of weather conditions. This study selected north Bujumbura that is a sprawling new residential area in the western part of Burundi as a case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of rainwater harvesting in meeting water demand of the country. Based on a long-term average monthly precipitation in the region, the rainwater harvesting potential was assessed as a function of roof sizes, number of households, and runoff coefficients of roof materials. For the entire region of north Bujumbura, the current water supply capacity of the local water company combined with the rainwater harvesting potential resulted in the water surplus of $468,604.1m^3/yr$. Although three communes among them still showed water deficit in dry season, they still got help from rainwater to relieve their water shortage. This suggests that at the regional scale, proper storages and water quality control for harvestable rainwater could contribute to relieving the regional water shortage and allow the population growth.

분산식 빗물관리시설 적용에 따른 물수지 변화 분석 연구 - CAT을 이용한 수문모델링 결과를 토대로 - (Analysis of a Change in the Water-Balance after Application of Decentralized Rainwater Management Facilities - Based on the Results of the Hydrologic Modeling using the CAT -)

  • 이태구;한영해
    • KIEAE Journal
    • /
    • 제11권2호
    • /
    • pp.59-65
    • /
    • 2011
  • To analyze changes in the water-balance before and after using decentralized rainwater management facilities, this study carried out hydrologic modeling based on data including roof planting, rainwater use, infiltration and detention facilities applied to the sit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runoff quantity after facility installation was about 24% less than before. In particular, it showed that the surface runoff declined significantly. Second,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different decentralized rainwater management facilities revealed that the rooftop planting contributed to about a 3.5 times increase in actual evaporation than before. Third,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decentralized management facilities by different rainfall events showed that it turned to have about a 30% decreasing effect after facility installation for a monthly rainfall over 500mm or so and about 50% declining effect for a monthly rainfall about 200mm. As discussed above, the study confirmed that it is important to implement decentralized rainwater management facilities to improve inevitable changes in water-balance arising from development as it would be a significant alternative for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도시유역의 소강우 유출해석 (Runoff Analysis for Weak Rainfall Event in Urban Area Using High-ResolutionSatellite Imagery)

  • 김진영;안경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439-44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도시 비점오염물질의 퇴적과 배출특성의 파악, 우수저류/침투 시설의 계획과 효율평가, 건전한 도시의 물환경관리 등의 관점에서, 고해상도 인공위성과 GIS를 병용한 도시내 상세 토지이용분류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을 적용하여 도시유역을 네 종류의 지표면으로 분류하였으며, 기존의 실내조사방법이나 GIS만을 이용한 방법으로는 불투수면으로 파악되었던 전체 유역면적의 3%에 달하는 건물옥상이나 도로의 중앙분리대에 조성된 화단 등을 투수면으로 분류하였다. 강우유출모의의 정확도 향상에 있어서 토양피복별 분포 및 면적의 차이가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추출된 각 토양피복에 강우손실 파라미터를 설정하여, 총강우량 7.1~15.0 mm의 강우사상에 대한 강우유출해석을 실시하였다. 기존의 10m 격자의 세밀토지이용 정보에 의한 토양피복 분류결과를 이용한 강우유출 해석에서는 관측유량과의 오차가 31~71%이었던 것이, 제안된 토양피복 분류기법을 이용한 강우유출 해석에서는 그 오차가 4~29%로 향상되었으며, 특히 강우규모가 적을 때의 유출수문곡선의 첨두유량과 유량증감부 등의 유출특성에 대한 재현성에 있어서 향상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CN의 변화에 따른 안동시 물순환 선도도시 조성계획의 비점오염부하 저감효과 분석 (Analysis of Nonpoint source Reduction at Andong Area Considering Changes in CN)

  • 권헌각;정강영;김신;신석호;안정민;김경훈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42-349
    • /
    • 2016
  • 낙동강수계에 속하는 안동시는 안동댐, 임하댐을 포함하여 낙동강이 흐르는 도시로 경상북도 신 도청 이전과, 지속적 도시화로 인해 불투수 면적이 증가하고 있어 강우 시 유출량 증가 및 비점오염원 부하가 증가되고 있는 지역이다. 본 연구에서는 물순환 선도도시에 선정된 도시 중 안동시를 대상으로 개발에 따른 유출량과 비점오염부하량을 비교 평가하였다. 안동시 물순환 선도도시 계획(안)에 대해 시 공간적 변화를 고려한 CN값을 이용한 직접 유출량과 BOD, T-N 및 T-P 비점오염부하량을 평가한 결과, 옥상녹화 및 투수포장 교체, 물순환 공원 및 거리 조성, 도심지 불투수층 개선 사업 등 4가지 scenario 모두 적용되어 개발될 경우 연간 직접유출이 10.41%, BOD 비점오염부하량이 20.56%, T-N 9.55% 및 T-P 비점오염부하량이 14.29% 저감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가지의 개발 scenario 중 저감률이 가장 높은 것은 도시지역 불투수면 개선 사업으로 조사되었으며 개발 이전 대비 연간 직접유출이 6.25%, BOD 비점오염부하량이 11.84%, T-N 비점오염부하량이 4.46% 및 T-P 비점오염부하량이 10.20% 저감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RCP 시나리오에 따른 지역의 기후변화가 저영향개발 기법 효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gional Climate Change Projected by RCP Scenarios on the Efficiency of Low Impact Development Applications)

  • 전지홍;김태동;최동혁
    • 한국도시환경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09-417
    • /
    • 2018
  • 본 연구는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 기법을 적용할 때 지역의 기후변화가 LID 저감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함으로써 지역의 특성과 기후변화를 고려한 LID 기법 적용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강수량과 기준 증발산량이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는 기후변화 시나리오(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RCP)를 토대로 기후변화 요소와 LID 효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대상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단순히 잔디 표면을 낮추어(LID3) 침투와 저류 증대를 도모하는 실용적 기법으로도 식생체류지 설치(LID2)와 이에 옥상녹화를 추가 적용(LID1)하는 일반적인 LID 기법들과 마찬가지로 개발로 인한 수문변화를 개선할 수 있음을 밝혔다. 적용된 기법들은 온실가스 저감이 상당히 실현되는 경우(RCP 4.5) 유출 저감 효과가 높게 나타나 기후변화 대응 정책이 LID 효율에도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기후변화 요소 분석 결과 강수량 변화가 기준 증발산량 변화보다 수문 변화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Rainwater for Water Scarcity Management: An Experience of Woldia University (Ethiopia)

  • ANDAVAR, Venkatesh;ALI, Bayad Jamal;ALI, Sazan Ahmed
    • Asian Journal of Business Environment
    • /
    • 제10권4호
    • /
    • pp.29-34
    • /
    • 2020
  • Purpose: Town of Woldia, a semi-arid region in the Northern Wollo region of Ethiopia, faces water supply shortage in general, though the town possesses a running stream of clean water throughout the year. This study is aimed at analyzing the possibility of using rainwater for water scarcity and non-potable water needs of the Woldia University. A careful study and analysis have been made to assess the feasibility of using rainwater in place of the tap water supply. Research design and methodology: This study was done inside the main campus of Woldia University located in Woldia town. The runoff water from the roof of buildings was studied, by the time of rainfall in the town. Also, the budget needed for implementing a rainwater harvesting system was calculated. Results: The findings of the study clearly indicates that the requirements of the water to use for flushing, cleaning, and washing toilets in the administrative buildings and classrooms can be satisfied by using rainwater as an alternative to tap water.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finds it is benefitable for the Woldia University to install the rainwater harvesting system at the earliest to solve the water problems prevailing in the current situation.

옥상녹화 조성지역의 현황평가 및 이용객 만족도 연구 (The Evaluation of Present Condition and Visitors Satisfaction of Rooftop Greening)

  • 이동근;윤소원;오승환;장성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45-58
    • /
    • 200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the integrated evaluation of the present condition and satisfaction of visitors of rooftop greening area us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 The thirteen green roofs were selected to investigate environmental variables as like building structure, soil, water, atmosphere and climate environment and questionnaire survey for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of visitors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remove of the hazardous inflow of species, install rain water recycling facility, install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 where not to affect plants in green roof, install safety facilities in the case of making resting place, plant variable vegetation and so on. The result of questionnaire survey are that visitors want to make more comfortable resting space. The more bigger the resting space and privacy, the more satisfaction of visitor became high. In conclusion, green roofs implementation should be considered reduction of temperature and delay of runoff, insulation effect and ecological restoration as well as rooftop greening is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resting space nowadays.

청계천 유역의 유출 저감을 위한 투수성 포장재와 옥상녹화의 우선순위 지역 분석 (Analysis of prioritizing area for runoff reduction using permeable pavement and green roof)

  • 김일환;양정석;남재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449-449
    • /
    • 2015
  • 최근 비정상성을 띄는 강우 사상으로 인해 도심지에서는 유출량이 증가하여 많은 피해를 보이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투수성 포장재, 옥상 녹화, 침투 트렌치, 빗물 정원 등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를 유역에 속해 있는 전체 도심지에 적용하기에는 많은 자원이 소비된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의 청계천 유역을 대상으로 강우유출 모형인 SWMM을 이용하여 소유역 별로 투수성 포장재와 옥상 녹화 사업을 적용하여 유출저감 효과를 분석하였다. 적용된 강우는 강우강도에 따라 각 시설들이 갖는 한계점을 분석하기 위해 서울(108) 지점을 기준으로 재현기간 80년, 지속기간 24시간에 대해 초과확률 50%에 해당하는 Huff 3분위를 채택하였고, 투수성 포장재와 옥상녹화는 서로 적용 위치가 달라 두 가지 사업의 조합을 통해 각각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사업 우선순위를 위해 소유역별 사회, 환경적인 자료를 취합하여 우선순위화 하였다. 이를 통해 한정된 자원 내에서 최적의 개발 지역을 선정하여 최대한의 효과를 도모하고자 한다.

  • PDF

레인가든의 침투성능 및 유출저감효과 평가 (Evaluation of Rain Garden for Infiltration Capability and Runoff Reduction Efficiency)

  • 유철상;이진욱;조은샘;주국화;최한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01-11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함안군 군북면 소포리 일원에 있는 ${\bigcirc}{\bigcirc}$부대 이전사업지구에 설치된 레인가든의 특성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고, 레인가든의 침투 및 유출을 모의할 수 있는 1차원 모형을 제안하였다. 구축된 모형을 이용하여 설치 후 및 과거 10년간의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모의 평가를 수행하였다. 아울러 연최대치 호우사상에 대한 적용 평가를 통해 레인가든이 상쇄시킬 수 있는 불투수면적의 규모를 추정해 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변수위 실험 방법을 적용하여 추정한 레인가든의 투수계수는 0.0188 m/hr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과거 10년간의 강우자료에 대한 모의 실험에서 지붕 전체 면적을 사용하는 경우, 침투량의 비율이 약 90.38%로 나타났다. (2) 지난 10년간의 연최대치 호우사상에 대해 동일한 방법으로 침투모의를 수행한 결과, 본 연구에서 검토한 레인가든은 그 표면적의 30배 정도에 해당하는 불투수면적을 상쇄할 수 있는 침투성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우 유형에 따른 저영향개발 기법별 물수지 분석 (An Analysis of the water balance of Low Impact Development Techniques According to the Rainfall Types)

  • 유소현;이동근;김효민;조영철
    • 환경영향평가
    • /
    • 제24권2호
    • /
    • pp.163-174
    • /
    • 2015
  • 도시화로 인하여 자연적인 물순환이 파괴되었고 이는 도시 홍수 등의 문제를 야기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 이전의 상태로 물순환을 회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 기법이 대두되었다. 기존의 LID관련 연구는 주로 유출 저감 효과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강우 유형에 따른 LID 기법별 효과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수문 모의를 통하여 LID의 물수지 개선 효과를 강우 및 공간 유형별로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경기도 하남의 택지개발지구의 한 블록을 연구 대상지로 하여, 개별 LID시설의 모의가 가능한 STORM모형을 사용하였다. 강우 유형은 강우 강도에 따라서 두 가지로 구분하였으며 모의한 LID시설은 옥상녹화, 투수성 포장, 식생수로에 한하였다. 연구 결과 LID의 물수지 개선은 극한 강우 사상보다 낮은 강우강도의 강우에 더 효과적이며 기법별로는 낮은 강우강도일 때에는 투수포장, 높은 강우강도일 때에는 생태수로가 가장 낮은 유출률과 높은 침투율을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물순환을 고려한 공간 계획 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