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le Based Access Control

검색결과 272건 처리시간 0.028초

웹 기반 응용을 위한 직물 기반 접근 제어 시스템 모델 설계 (Design of a System Model for the Role-Based Access Control for Web-Based Applications)

  • 이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63-69
    • /
    • 2004
  • 본 논문의 목적은 안전한 직무 기반 접근 제어 모델을 웹 기반 응용 시스템에 통합하기 위해 필요한 시스템 모델을 설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시스템 아키텍처 설계에 본보기로 활용할 수 있는 유저풀 방식의 시스템 아키텍처 모델을 제안하고, 이 시스템 아키텍처가 웹 기반 응용 시스템에서 실제로 어떻게 직무 기반 접근 제어를 수행하는지를 보여주는 시스템 동작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스템 모델을 기존의 시스템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기존 방식에 대한 개선 효과를 제시한다.

  • PDF

애드호크러시 조직의 특성을 고려한 역할기반 모델 (A RBAC Model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dhocracy Organization)

  • 심완보;박석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41-53
    • /
    • 2002
  • 접근제어는 사용자가 자원에 접근시 해당자원에 대한 접근권한이 있는지를 검토해 접근을 허가하거나 거부하는 것을 말한다. 대표적인 접근제어 방법으로는 임의적 접근제어, 강제적 접근제어, 역할기반 접근제어가 있으며 현재는 역할기반 접근제어 방법이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역할기반 접근제어 모델은 업무가 표준화 되어 있고 변화가 없는 안정적인 구조의 상하관계가 명백한 관료제의 조직 구조들을 지원하는 모델들이었다. 일부 Team Based Access Control Model 과 같은 팀 개념을 지원하는 접근제어 모델이 제안되긴 하였지만 기업의 태스크포스팀과 같은 유기적이며 임시적이고 업무가 표준화되어 있지 않고 환경변화가 많으며 상하관계가 분명치 않은 애드호크러시 조직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는 못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관료제 조직과 다른 애드호크러시 조직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기존의 접근제어 모델들이 애드호크러시 조직의 접근제어 모델로서 사용시 발생되는 문제들을 살펴보았고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된 역할기반 접근제어 모델을 제안하고 주요 평가기준에 따라서 분석하였다.

안전한 인터넷 사용을 위한 접근제어 메커니즘 설계 (A Design of Access Control Mechanism for the Secure Use of Internet)

  • 이호;정진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84-90
    • /
    • 2000
  • 본 논문은 인터넷 환경에서 접근제어 요구 사항의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접근제어 메커니즘의 설계 방안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자원의 기밀성, 무결성 및 가용성의 공통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접근제어 메커니즘을 제안하고, 신분-기반, 규칙-기반 및 직무-기반의 관점에서 각 관련된 정책과 규칙을 정의하였으며, 필요한 접근제어 오퍼레이션들을 구현하였다. 제안된 접근제어 메커니즘은 보안 레이블, 무결성 등급, 직무 및 소유권 등의 다단계 보안 정책을 기반으로 하여 자원에 대한 불법적인 접근을 방어 할 수 있다.

  • PDF

기업환경의 접근제어를 위한 확장된 GTRBAC 위임 모델 (Extended GTRBAC Delegation Model for Access Control Enforcement in Enterprise Environments)

  • 황유동;박동규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17-30
    • /
    • 2006
  • 인터넷과 웹이 활성화됨으로써 사용자는 문서, 디렉토리, 데이터베이스, 웹 페이지 등과 같은 자원들을 액세스하는 것이 훨씬 더 쉬워졌다. 그러나 이로 인하여 네트워크의 인증, 자원들을 액세스하기 위한 권한의 허가, 데이터의 정책과 보안 그리고 보안 시스템의 무결성과 같은 중대한 보안 문제들이 생기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기업 환경의 접근제어를 위하여 시간(기간과 주기)에 따른 제약으로 자원의 사용을 제한할 수 있는 GTRBAC(Generalized Temporal Role Based Access Control) 모델에 부역할(sub-role) 개념과 PBDM(Permission Based Delegation Model) 개념을 적용한 확장된 GTRBAC 위임(Ex-GTRBAC Delegation)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모델은 부역할을 사용하여 하위 역할에 할당된 권한을 상위 역할에 할당된 사용자가 모두 상속하여 실행할 수 없도록 하여 권한의 남용을 방지하여 최소권한의 원칙을 지킬 수 있도록 하고, 기업 환경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권한의 위임에 대해서 사용자 대 사용자 위임, 역할 대 역할 위임, 다단계 위임, 다중 위임과 같은 기능을 제공하여 기업 환경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고 정교한 접근제어 정책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 PDF

자바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역할기반 접근제어 패키지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ole-Based Access Control Package for Java Applications)

  • 오세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134-1141
    • /
    • 2006
  • 자바는 실행 플랫폼에 독립적이고 모바일 분야(J2ME)로부터 엔터프라이즈 환경(J2EE)에 이르는 다양하고도 일관된 솔루션을 제공하여 이기종 분산 애플리케이션 환경을 위해 적합한 개발 도구로 평가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필요로 하는 접근제어 모듈을 자바 패키지 형태로 구현하여 제공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의 개발 기간을 단축시키고 시스템 관리자들이 보다 편리하게 접근제어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구현된 모듈은 역할기반 접근제어(RBAC) 모델을 기초로 하고 자바 패키지 및 접근제어 관리도구를 포함한다.

  • PDF

확장된 역할기반 접근통제 모델 (Extended Role Based Access Control Model)

  • 김학범;홍기융;김동규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47-56
    • /
    • 1999
  • 역할기반 접근통제는 사용자의 역할에 기반을 둔 접근통제 방법으로 기존의 임의적 접근통제나 강제적 접근통제에 비하여 다양한 컴퓨터.네트워크 보안분야에 있어서 유연성과 적용성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Ravi S. Sandhu가 최초로 제안한 역할기반 접근통제 기본 모델인 RBAC$_{0}$ 모델에 주체 및 객체의 역할을 추가로 고려하여 확장된 역할기반 접근통제(ERBAC$_{0}$:Extended RBAC$_{0}$) 모델을 새롭게 제안하였다. 제안된 ERBAC$_{0}$ 모델은 기존의 RBAC$_{0}$ 모델에 비하여 주체 및 객체 수준에서의 역할기반 접근통제를 보다 정교하게 제공할 수 있다.

확장된 과업 역할기반 접근제어 모델의 구현 (Implementation of Extended Task Role-Based Access Control Model)

  • 임황빈;박동규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E
    • /
    • 제39권4호
    • /
    • pp.431-436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워크플로우 환경에서 정적 및 동적 의무 분리 요구 사항의 명세에 대한 과업 역할 기반 접근제어 모델과 상충하는 엔티티 관리 패러다임의 통합을 통하여 기업 환경에서 접근제어 시행을 위한 개선된 접근제어 모델을 구현한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확장된 과업 역할기반 접근제어 모델은 워크플로우 지향 과업에 대하여 상충하는 엔티티들을 다룰 수 있고 기업의 특성에 따라서 기업 세션의 분류를 통하여 기업 환경에서 과업에 정교한 의무 분리 정책을 지원할 수 있다.

RBAC을 기반으로 하는 향상된 권한 위임 모델 (An Advanced Permission-Based Delegation Model in RBAC)

  • 김태식;장태무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3C권6호
    • /
    • pp.725-732
    • /
    • 2006
  • 역할 기반 접근 제어(Role-Based Access Control)은 역할 계층 구조에서 역할 상속과 의무 분리 등을 제공하여 접근제어의 관리를 쉽게 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RBAC은 실 세계에서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권한의 위임을 효율적으로 처리하지 못 한다. 본 논문에서는 위임된 권한의 영속성을 보장하고 최소 권한의 보안 원칙과 의무분리 원칙에 위배되지 않는 향상된 권한 위임 모델(APBDM)을 제안한다. APBDM은 RBAC96을 바탕으로 하며, 사용자 대 사용자, 역할 대 역할의 위임을 제공한다. 위임자는 원하는 권한을 특정인에게 부여 할 수 있고, 위임자가 원하는 시점에서 권한이 회수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APBDM을 분석하고 이의 유효성을 입증하였다.

분산환경에서의 권한필터링을 위한 접근제어 모델 (An Access Control Model For The Authority Filtering in the Distributed Environment)

  • 민병석;조태경;심완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250-256
    • /
    • 2007
  • 역할기반접근제어(RBAC)는 사용자나 네트워크상의 자원을 관리하는데 있어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가장 적합한 접근제어 모델로 인정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역할기반 접근제어기법을 응용하여 기존의 RBAC에 Role의 상위 개념인 워크(work)개념을 도입한다. 워크개념을 이용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업무를 수행시 역할(Role)이 아닌 좀더 추상적이고 포괄적 개념인 워크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워크는 사용자가 선택된 업무에 따라 정해지지만 정해진 워크에 따라 자신에게 부여되어 있는 권한이라 할지라도 현재 처리하고 있는 업무에 관련성이 없는 권한은 시스템적으로 차단되도록 하고자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다단계 보안통제가 가능한 확장된 역할기반 접근통제 모델 (Extended Role Based Access Control Model with Multilevel Security Control)

  • 김학범;홍기융;김동규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886-1902
    • /
    • 2000
  • RBAC(Role Based Access Control) is an access control method based on the user's roles and it provides more flexibility and applicability on the various computer and network security fields than DAC(Discretionary Access Control) or MAC(Mandator Access Control). In this paper, e newly propose ERBAC\ulcorner(Extended RBAC\ulcorner) model by considering subject's and object's roles and security levels for roles additionally to RBAC\ulcorner model which is firstly proposed by Ravi S. Sandhu as a base model. The proposed ERBAC\ulcorner model provides finer grained access control with multilevel security on he base of subject and object level than RBAC\ulcorner mode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