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le Ambiguity

검색결과 199건 처리시간 0.026초

국외여행인솔자의 역할갈등, 모호성, 과부하와 서비스 제공 수준과의 영향관계 (Relationship among Role Conflict, Ambiguity, Overload and Service Delivery Level of Tour Conductor)

  • 지진호;김판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251-258
    • /
    • 2008
  • 여행서비스 품질, 종사원 만족, 그리고 여행자 만족 등의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여행서비스 제공에 있어 국외여행인솔자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솔자의 역할, 역할관련 스트레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수준 등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형편이다. 그래서 이번 연구에서는 역할 관련 스트레스인 역할 갈등, 모호성, 그리고 과부하와 서비스 제공수준에 대한 개념적 정의에 대한 논의를 수행하고, 이들 변수들에 대한 조사를 수행한다. 또한 서비스 제공수준의 영향 요소를 파악하고 역할 갈등 등의 스트레스 요인이 국외여행인솔자의 서비스 제공수준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파악한다. 분석 결과를 보게 되면, 역할 갈등, 역할 모호성, 그리고 역할 과부하 등의 요소들이 국외여행인솔자의 서비스 제공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서비스 접점과정에서 역할 갈등과 모호성은 응대성과 감정이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역할 과부하는 전문성과 외모연출과 영향관계를 갖는 것을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국외여행인솔자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서비스 제공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인솔자 개인의 노력뿐만 아니라 조직차원의 정책 등이 필수적인 요소이다.

임상간호사의 역할갈등과 모호성 및 피로가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메르스 사태 이후 (Effects of Role Conflict and Ambiguity, and Fatigue on Self-Resilience in Clinical Nurses: After the MERS outbreak)

  • 이도영;오승은;이혜진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77-88
    • /
    • 2018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role conflict and its ambiguity, and fatigue in clinical nurses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se on their self-resilience in order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improving their working environment after the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outbreak. Methods: After the collection of data from 258 clinical nurses in five general hospital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perform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0.0. Result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nurses' role conflict and ambiguity and fatigue; while a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nurses' role conflict and ambiguity and self-resilience.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fatigue and self-resilience.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the factor that affected clinical nurses' self-resilience the most was role conflict and its ambiguity, followed by marital status, fatigue, educational level, religion, and related tasks, which together accounted for 38% of self-resilience in clinical nurses. Conclusion: To improve weaknesses in nursing care after the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outbreak, the scope of nursing care was changed upon the expansion of integrated nursing and care-giving services. Therefore, in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of nursing, policies to improve nursing performance, as well as successful reaction capability, are suggested.

Mediating Effect of Job Burnou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Ambiguity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mong Nurses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Units

  • Hong-Suk Lee;Hye-Sook H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1호
    • /
    • pp.169-180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역할모호성, 직무소진과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역할모호성과 조직유효성의 관계에서 직무소진의 매개효과를 파악하는데 있다. 대상자는 10개 종합병원에 근무 중인 149명의 간호사이다. 데이터는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수집하고 IBM SPSS Statistics 25.0 program과 PROCESS macro Program의 model 4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조직유효성은 역할모호성, 직무소진과 유의한 부(-)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소진은 역할모호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직무소진을 관리하고 조직유효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글로벌 유통업 종사자의 스트레스 및 조직유효성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Determinants of Distributors' Stres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a Global Distribution Industry)

  • 이종건;권기일
    • 통상정보연구
    • /
    • 제14권4호
    • /
    • pp.361-383
    • /
    • 2012
  • 본 연구는 글로벌 유통업 종사자들의 스트레스 및 조직유효성을 결정하는 요인들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유통업 종사자들의 스트레스 및 조직유효성을 결정하는 요인으로서 역할모호성, 역할갈등, 역할과부하, 그리고 마음챙김을 제시하였다. 조직유효성은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로 구분하였다. 연구자료는 글로벌 유통업에 종사하는 202명의 유통업자로부터 수집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할갈등 및 역할과부하는 글로벌 유통업 종사자들의 스트레스를 높이는 반면, 역할모호성 및 마음챙김은 그들의 스트레스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역할모호성은 글로벌 유통업 종사자들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을 낮추고, 역할갈등 및 역할과부하는 그들의 이직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역할과부하는 글로벌 유통업 종사자들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마음챙김은 글로벌 유통업 종사자의 직무만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관광경찰 역할에 대한 역할모호성·역할갈등과 업무만족, 업무수행도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a Role Ambiguity·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Job Performance on Role of Tourism Police Officers)

  • 김상운;조승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32-139
    • /
    • 2015
  • 우리나라를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의 안전 및 치안을 위해 2013년 10월 16일 서울 관광경찰대가 출범하였다. 관광경찰의 주요역할은 관광지내 범죄예방 순찰 및 기초질서 유지, 외국인 관광객 대상 불법행위 단속 및 수사와 문화체육관광부 지방자치단체 등 관련 기관과 협조하여 음식점 숙박업소 택시 등 관광관련 영업의 부당요금 단속, 관광 관련 업계 및 종사자에 대한 행정지도 및 단속 등으로 규정되어 있다. 그런데 관광경찰의 역할을 살펴보면, 일반 경찰과 역할이 중첩되고, 문화체육관광부 지방자치단체 등 타 기관과의 업무협력을 요하는 부분이 많아 일반 경찰과 관광경찰 사이에는 역할모호성 및 역할갈등이 일어날 소지가 크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관광경찰의 역할에 대한 일반경찰과 관광경찰의 역할 모호성 역할갈등이 업무만족 및 업무수행도에 대한 인식차이와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관광경찰제도의 발전에 기여고자 한다.

미국 자립생활센터 실무자가 경험하는 소진과 직무스트레스 관계성 연구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and Role Stressors Experienced by Professions at Centers for Independent Living in the United States)

  • 신숙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366-378
    • /
    • 2015
  • 본 논문의 목적은 미국 자립생활센터 실무자들이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간의 관계를 밝히기 위함이다. 온라인조사와 설문지 조사를 통하여 설문에 최종 참여한 자립생활센터 실무자는 총 218명인데 이들이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 중 직무갈등(role conflict: RC)점수는 평균 22.48 (SD = 5.80)이며 직무모호성(role ambiguity: RA) 점수는 평균 22.20 (SD = 4.30), 직무과중(role overload: RO)점수는 평균 9.14 (SD = 2.55)로 나타나 다른 휴먼서비스 직군에 비해 평균이상의 직무스트레스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립생활센터 실무자들의 개인적 조직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정도를 ANOVA LSD 사후검정을 통해 분석한 결과, RC지수는 실무자의 나이, 직무내용, 교육정도, 휴먼서비스 근무경력, 주당 근무시간에 따라 점수 차이를 보였고, RA지수는 실무자의 휴먼서비스 근무경력과 주당 근무시간에 따라, RO지수는 휴먼서비스 근무경력에 따라 그룹 간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립생활센터 실무자들이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와 소진간의 관계성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한 결과, 세 가지 직무스트레스 모두 소진의 예측변수로 나타났다.

의료종사자의 역할갈등, 모호성, 직무만족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Role Conflict, Ambiguity, and Job Satisfaction of the Health Professionals to Their Customer Orientation)

  • 김창태;강수만;박철우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23-30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의료종사자의 역할갈등과 역할모호성, 직무만족이 고객지향성에 영향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부산광역시 D병원에 재직 중인 의료종사자 대상으로 설문을 받은 후 불성실한 설문지 4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250부의 설문지를 통계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하여 고객지향성에 대한 전반적인 평균값을 종속변수로 하고, 역할갈등, 역할모호성, 직무만족의 요인값을 독립변수로 해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귀식의 설명력은 18%로 나타났으며,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0.001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종사자의 고객지향성을 보다 면밀하게 분석하기 위하여 직무만족의 요인값을 독립변수로 해서 추가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전체 회귀식의 설명력이 8%이며,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0.001수준에서 유의미하며(F: 6.908, BETA: 0.281, t: 3.880), 둘째 차원인 공감성과의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전체 회귀식의 설명력이 12%이며,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0.001수준에서 유의미하며(F: 10.741, BETA: 0.272, t: 3.835), 셋째 차원인 유형성과의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전체 회귀식의 설명력이 12%이며,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0.001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F: 11.100, BETA: 0.228, t: 3.226,), 넷째 차원인 신뢰성과의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전체 회귀식의 설명력은 20%이며,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0.001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F: 20.554, BETA: 0.401, t: 5.949) 전반적으로 의료종사자의 역할 모호성이 고객지향적 응대성, 공감성, 유형성,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할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가톨릭 여성수도자를 중심으로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Role Stress on Psychological Burnout : Focuced on a Catholic Nuns)

  • 유미화;안주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851-860
    • /
    • 2022
  • 가톨릭 여성수도자들은 수도생활을 수행하면서 역할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이것이 심리적 소진으로 이어져 수도회 탈회와 성소자 감소라는 부정적 영향을 야기하고 있다. 본 연구는 여성수도자의 역할스트레스 중 어떤 하위요인이 심리적 소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지, 회복탄력성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효과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여성수도자 23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결과 첫째, 여성수도자의 수도생활 기간 및 내부 사도직과 외부 사도직 역할에 따라 역할스트레스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수도생활이 20년 이하인 경우 역할모호성과 역할과다를 느끼고 있었고, 역할갈등의 경우는 수도생활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여성수도자의 역할스트레스는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역할모호성, 역할갈등, 역할과다 모두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역할모호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역할과다 보다 역할에 대한 모호성이 더 큰 심리적 소진을 유발하고 있었다. 셋째, 역할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은 조절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는 여성수도자들의 역할모호성을 덜어주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심리적 소진을 줄이는 방안으로서 회복탄력성 증진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무엇보다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여성수도자들을 대상으로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중등학교 체육교사의 역할모호성과 역할갈등이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ole Ambiguity and Role Conflict for Physical Education Teachers on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 안귀련;추나영;조송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476-484
    • /
    • 2010
  • 본 연구는 체육교사가 지각하는 역할모호성과 역할갈등이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 소재의 중등학교 교사를 모집단으로 하였으며, 집락무선 표집을 이용하여 300명의 표본을 추출하였다. 자료수집은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82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및 타당도와 신뢰도, 그리고 가설검증을 위하여 SPSS 14.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학교 체육교사의 역할모호성은 직무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중등학교 체육교사의 역할갈등은 직무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중등학교 체육교사의 역할모호성은 직무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마지막으로 중등학교 체육교사의 역할갈등은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치위생사의 직무스트레스 대처전략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ing Factors of Work Stress Coping Strategies of Dental Hygienists)

  • 윤영숙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75-83
    • /
    • 2002
  • By extracting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work stress generated from dental hygiene, identifying their relationships,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academic progress on work stress. The test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or each hypothesis: 1. Among the work stress sensing factors, role ambiguity showed correlation to the active coping strategy and the passive coping strategy, whereas it did not have any correlation to the evasive reation. However, the physical resource environmental factor showed correlation to the active coping strategy, whereas it did not have any correlation to the other reation. 2. The passive coping strategy, among the work stress coping strategies, influences the role ambiguity, B type, work ambiguity, physical resource environmental factor by about 18.7%. 3. The active coping strategy, among the work stress coping strategies, influences the social support, role ambiguity, work place of health center factor by about 18.9%. 4. The evasive reaction, among the work stress coping strategies, was influenced by only the 36 years old over factor by approximately 4.2%. 5. It was found in all work stress sensing factors that the group with lower social support had a more degree of experiencing stress than the group with higher social support. In case of the behavior pattern, the type A experienced more stress than the type B only in role ambiguity. 6. It was found that the group with the higher social support tended to choose more active coping strategy than the lower social support. In case of behavior pattern, the type B coped more actively than type A in the passive coping strateg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