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bot Perception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29초

A Study on Risk Response against Ship Fire using Robot

  • Park, Dea-Woo;Park, Young-Suk;Nam, Jae-Min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9권2호
    • /
    • pp.230-234
    • /
    • 2011
  • It is endeavoring for sea safety and fire[1] at sea prevention solidifying control of standard technology and safety supervision aspect in IMO[2] but sea accident and ship fire are happening continuously. Because using Robot in artistic talent of ship in this treatise, studied that correspond to Risk and manage. Attach fire perception sensor for Robot's Risk confrontation, and because using infrared rays sensor, TOUCH SWITCH, sound perception sensor, gas perception sensor, light perception sensor that is threaded in Robot and is achieved, controlled Robot, and establish Low-High value the speed of sound output use and DC MOTOR and COM SEN of when indicate Risk confrontation to Robot and establish Robot's Risk confrontation administration action.

선박 화재시의 Robot을 이용한 Risk 대응 관리 연구 (A Study of Robotic Risk Confrontation Administration on the Ship Fire)

  • 박대우;박영숙;남재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76-279
    • /
    • 2009
  • 최근 선박의 안전과 작업환경 개선을 위해 선박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IMO에서 표준기술 및 안전관리측면의 규제를 강화하여 해상안전과 해상 화재 방지를 위하여 노력을 하고 있으나 해양사고와 선박화재는 계속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선박의 화재에서 Robot을 이용하여 Risk에 대응하고 관리하는 연구를 하였다. Robot의 Risk대응을 위한 화재 감지 센서를 부착하고, Robot에서 장착되어 수행되는 적외선 센서, TOUCH SWITCH, 소리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빛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Robot을 컨트롤 하였으며, Robot에게 Risk 대응을 지시 할 때의 소리출력 사용과 DC MOTOR의 속도와 COM SEN에 Low~High 값을 설정하여 Robot의 Risk 대응관리 동작을 설정하였다.

  • PDF

초음파센서 기반 자율주행 로봇의 장애물 회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bstacle Avoidance Technology of Autonomous Treveling Robot Based on Ultrasonic Sensor)

  • 황원준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30-36
    • /
    • 2015
  • This paper presents the theoretical development of a complete navigation problem of a nonholonomic mobile robot by using ultrasonic sensors. To solve this problem, a new method to computer a fuzzy perception of the environment is presented, dealing with the uncertainties and imprecision from the sensory system and taking into account nonholonomic constranits of the robot. Fuzzy perception, fuzzy controller are applied, both in the design of each reactive behavior and solving the problem of behavior combination, to implement a fuzzy behavior-based control architectur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obstacle avoidance robot controller in order to determine the exact dynamic system modeling system that uncertainty is difficult for nomadic controlled robot direction angle by ultrasonic sensors throughout controlled performance tests. In additionally, this study is an in different ways than the self-driving simulator in the development of ultrasonci sensors and unmanned remote control techniques used by the self-driving robot controlled driving through an unmanned remote controlled unmanned realize the performance of factory antomation.

초음파센서 기반 이동로봇의 새로운 네비게이션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a New Navigation Technology for Mobile Robot Based on Sonar Sensors)

  • 노연판쿠에트;한성현
    • 한국생산제조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664-674
    • /
    • 2009
  • This paper presents the theoretical development of a complete navigation problem of a non-holonomic mobile robot by using sonar sensors. To solve this problem, a new method to compute a fuzzy perception of the environment is presented, dealing with the uncertainties and imprecision from the sensory system and taking into account nonholonomic constraints of the robot. Fuzzy perception, fuzzy controller are applied, both in the design of each reactive behavior and solving the problem of behavior combination, to implement a fuzzy behavior-based control architecture. Different experiments in populated environments have proved to be very successful. Our method is able to guide the mobile robot named KUM-Robo safety and efficiently during long experimental time.

  • PDF

Hands-on robots을 활용한 발명교육프로그램 효과 분석 (Analysis of effect of Invention Education program using the Hands-on robots)

  • 김성애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15-61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Hands-on robots을 활용한 발명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초, 중등 학생들의 발명 및 로봇에 대한 인식 변화를 통해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이 교육 전에 인식한 로봇과 교육 후에 인식한 로봇에 차이가 많았으며 저학년일수록 그 변화가 두드러졌다. 또한, 발명에 대한 인식도 교육을 받기 전에는 로봇이 포함되지 않았던 것에 비해 교육을 받은 후 학생들이 인식한 발명은 로봇이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 로봇에 대한 태도 및 발명에 대한 태도에도 변화가 있었으며 이는 저학년일수록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초, 중등 학생들에게 발명과 로봇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주는데 Hands-on robots를 활용한 발명교육프로그램이 효과적이라고 분석할 수 있다.

  • PDF

초음파센서의 지향성 및 경면반사현상을 고려한 환경인식 (Environmental Perception Considering Beam Opening Angle and Specular Reflection of Ultrasonic Sensors)

  • 하윤수;김덕곤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0권8호
    • /
    • pp.919-926
    • /
    • 2006
  • To move in unknown or uncertain environment, a mobile robot must collect informations from various sensors and use it to construct a representation of the external world. Ultrasonic sensor can provide range data for this purpose in a simple cost-effective way. However conventional ultrasonic sensor system for a mobile robot are not sufficient for environment recognition because of their large beam opening angle, specular reflection. This paper describe on environmental perception algorithm which can solve these problems in case using ultrasonic sensor. The algorithm consist of two parts. One is to solve beam opening angle problem by fusion from multiple ultrasonic sensors. The other is to cope with specular reflection problem in wall line extract, which is based on Hough Transform. Experiment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algorithm are carried out, and the results are provided at last part in this paper.

로봇은 살아 있을까? : 우리 반 교사보조로봇에 대한 유아의 인식 (Is Robot Alive? : Young Children's Perception of a Teacher Assistant Robot in a Classroom)

  • 현은자;손수련
    • 아동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1-14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young children's perceptions of a teacher assistant robot, IrobiQ. in a kindergarten classroo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3 6-year-olds attending to G kindergarten located in E city, Korea, where the teacher assistant robot had been in operation since Oct. 2008. Each child responded to questions assessing the child's perceptions of IrobiQ's identity regarding four domains : it's biological, intellectual, emotional and social identity. Some questions asked the child to affirm or deny some characteristics pertaining to the robot and the other questions asked the reasons for the answer given. The results indicated that while majority of children considered an IrobiQ not as a biological entity, but as a machine, they thought it could have an emotion and be their playmate.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re two folds : firstly, they force us to reconsider the traditional ontological categories regarding intelligent service robots to understand human-robot interaction and secondly, they open up an ecological perspective on the design of teacher assistant robots for use with young childre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인간과 로봇의 도덕성 판단, 마음지각과 불멸지각의 관계 (Moral Judgment, Mind Perception and Immortality Perception of Humans and Robots)

  • 신홍임
    • 감성과학
    • /
    • 제26권3호
    • /
    • pp.29-40
    • /
    • 2023
  • 많은 사람들이 불멸에 관심이 있지만, 죽은 이의 불멸은 사회과학에서 지금까지 거의 다루어지지 않은 주제다. 본 연구에서는 죽은 이들의 도덕성 판단과 마음지각에 따라 불멸지각이 달라지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 1에서는 도덕적으로 악한 사람, 선한 사람 및 도덕성과 연관되지 않은 인물에 대한 글을 제시하고, 도덕성 판단, 마음지각 및 불멸지각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덕적으로 선한 인물에 대한 불멸의 지각정도가 악한 인물 또는 중립적인 인물에 대한 불멸의 지각정도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인물의 도덕성 판단과 마음지각은 불멸을 지각하는 정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도덕적으로 선한 로봇, 악한 로봇 및 도덕성과 연관되지 않은, 기능적 로봇에 대한 글을 제시하고, 로봇에 대한 마음지각 및 불멸지각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로봇의 도덕성판단과 마음지각이 높을수록 로봇의 불멸을 지각하는 정도가 증가하였다. 이 결과는 도덕성 판단과 마음지각이 인간-로봇의 상호작용에서 어려움을 극복하는 변인으로 기여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동로봇을 위한 초음파센서를 이용한 소형장해물 감지 (Perception of small-obstacle using ultrasonic sensors for a mobile robot)

  • 김갑순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24
    • /
    • 2004
  • This paper describes a perception of small-obstacle using ultrasonic sensors in a mobile robot. The research on the avoidance of the large-obstacles such as a wall, a large box, etc. using ultrasonic sensors has been generally progressed up to now. But the mobile robot could meet a small-obstacle such as a small plastic bottle of about 1 l in quantity, a small box of 7${\times}$7${\times}$7 cm3 in volume, and so on in its designated path, and could be disturbed by them in the locomotion of the mobile robot. So, it is necessary to research on the avoidance of a small-obstacle. In this paper, the small-obstacle perceiving system was designed and fabricated by arranging four ultrasonic sensors on the plastic plate to avoid a small-obstacle. The small-obstacle perceiving system was installed on the above part of the mobile robot with the slope of 40.7$^{\circ}$ to a horizontal line. The static characteristic test and the dynamic characteristic test were performed to know the information of the used ultrasonic sensors. As a result, the mobile robot with the small-obstacle perceiving system could avoid a small-obstacle, and could move in indoor environment safely.

  • PDF

언어 사용력(Speech Register)원리를 활용한 유아의 교육용 로봇 인식 (Applying the Speech Register Principle to young children`s Perception of the Intelligent Service Robot)

  • 현은자;이하원;연혜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532-540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에서 로봇을 경험한 만 5세 유아들의 로봇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의 이론적 배경은 언어 사용력(Speech Register) 이론이었으며 로봇, 친구, 인형을 대상으로 말투(Speech Tone) 비교를 하였다. 2-3년간 로봇을 경험한 3군데 유치원의 만 5세 유아 50명을 대상으로 인간에게 어울리는 자연스러운 말투와 단조로운 말투로 그림책을 읽어준 후 어떤 말투가 사람에게 어울리는 말투인지 유아들에게 질문하여 확인하였다. 그리고 인간에게 어울리는 말투가 로봇, 친구, 인형 중 어떤 대상에게 적합한지 선택하게 하였고 그 이유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람에게 어울리는 말투는 86%의 유아가 인형보다 로봇에게, 74% 유아는 로봇보다 친구에게 그리고 68%유아는 인형보다 친구에게 어울린다고 인식하였다. 즉, 유아들은 로봇을 인공물보다는 인간에게 가까운 존재로서 중간자적 혼성물(hybrid beings)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인식 기제는 인간 고유성(human uniqueness)인 인지적 특성이 반영된 결과였다. 그러므로 생물과 무생물의 이분법적 존재론적 인식 분류는 혼성물을 포함한 분류방식으로 대치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