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asting

검색결과 551건 처리시간 0.033초

보리의 로스팅법에 따른 보리차의 향 특성 (Effects of barley roasting methods on the aroma characteristics of boricha)

  • 정우영;김수정;김병구;허병석;백형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464-473
    • /
    • 2018
  • 보리의 로스팅법이 보리차의 향기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생보리와 자숙보리를 세 종류의 로스팅법(에어, 드럼과 혼합)으로 로스팅하였다. 로스팅한 보리로 보리차를 제조하고 SAFE법을 이용하여 보리차의 휘발성 성분을 추출한 후 GCMS 및 GC-O로 분석하였다. 생보리를 로스팅한 보리차에서는 드럼 로스팅 하였을 때 휘발성 성분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에어 로스팅과 혼합 로스팅 순으로 휘발성 성분의 함량이 높았다. 자숙보리를 로스팅한 보리차의 경우에도 드럼 로스팅 하였을 때 휘발성 성분의 함량이 가장 높았지만 에어 로스팅 하였을 때와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모든 로스팅법에서 퓨란류와 피라진류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에어 로스팅 하였을 때는 페놀류의 함량이, 드럼 로스팅 하였을 때는 피롤류의 함량이 높았다. 보리차의 향 활성 화합물로 과이어콜, 2-아세틸피라진, 푸르푸릴알코올, 2-메톡시-4-바이페놀, 감마-뷰티로락톤, 푸르푸랄 및 3-에틸-2,5-다이메틸피라진 등이 동정되었다. 보리의 로스팅법은 보리차의 향 활성 화합물에 영향을 주었으며 생보리와 자숙보리 모두 드럼 로스팅하여 제조한 보리차의 향 활성 화합물의 강도가 가장 강했고, 혼합 로스팅하여 제조한 보리차의 향 활성 화합물의 강도는 약하였다. 특히, 에어 로스팅하여 제조한 보리차는 과이어콜과 2-메톡시-4-바이닐페놀 같은 페놀류 향 활성 화합물의 향 강도가 높았다. 에어 로스팅법은 로스팅 시간(약 5분)이 드럼 로스팅(35-55분) 보다 짧아 시간적인 측면에서 유리한 점이 있으나, 다른 로스팅법에 비해 탄 향을 나타내는 페놀류의 함량이 높아서 보리차의 향에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드럼 로스팅법은 캐러멜향 및 고소한 향 특성을 갖는 퓨란류의 함량이 높았기 때문에 보리차의 향미 특성에 바람직한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생보리보다 자숙보리를 로스팅하면 향의 강도가 더 강해짐을 알 수 있었다.

홍화(紅花) 종실(種實)의 볶음 조건에 따른 성분(成分)의 변화(變化) (Effects of Roasting Conditions on Components of Safflower(Carthamus tinctorius L.) Seed)

  • 박준홍;김기재;김재철;김세종;박소득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94-200
    • /
    • 2000
  • 홍화종실의 볶음처리에 따른 성분의 변화를 조사하고 볶음처리 후 저장기간에 따른 산패의 정도를 측정한 결과 홍화씨의 볶음처리에 따른 수율의 변화에서 볶음온도 및 시간이 증가 할수록 수율이 감소하였다. 홍화의 볶음온도 및 시간에 따른 색도의 변화에서 볶음온도가 높고 볶음시간이 길수록 명도(L)값은 감소하고 적색도(a) 값과 황색도(b) 값은 증가하였으며 전체적인 색차인 ${\Delta}E$ 값은 증가하였다. 관능평가의 결과에서는 홍화종실의 적정 볶음조건은 $190^{\circ}C$ 20분 이었다. 홍화종실에서는 raffinose와 sucrose만이 분리 확인되었다. 이들 유리당은 볶음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그 함량은 급격히 감소하였다. 홍화종실의 산패 정도를 나타내는 과산화 물가 (POV, meq/kg)를 측정 해 본 결과 볶음처리직후에는 거의 과산화물이 생성되지 않았지만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과산화물값이 높아짐을 보였다. 특히 $150^{\circ}C$를 제외하고는 10개월 이상 저장하는 것은 부적절하였다.

  • PDF

조리방법에 따른 쇠고기 안심스테이크의 이화학적 변화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eef Tenderloin Steak by Cooking Methods)

  • 김천제;채영철;이의수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14-322
    • /
    • 2001
  • 본 실험은 조리방법(Grilling, Pan-frying, Oven-roasting, Microwaving)에 따른 쇠고기 안심 스테이크의 이·화학적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일반성분, pH, 근원섬유 소편화지수, 색도, 가열감량, 물성(Rheology) 및 관능검사(Panel test)를 실시하였다. 조리방법에 따른 일반 성분은 microwaving 방법에서 다른 조리방법에 비하여 낮은 수분함량과 높은 지방함량을 나타냈다. pH는 조리후 다소 상승하였으나 조리방법에 따른 pH 차이는 없었으며, 육색의 변화에 있어서 L*과 b* -값은 microwaving과 pan-frying방법에서 grilling이나 oven-roasting 방법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조리방법에 따른 근원섬유 소편화도는 oven-roasting 방법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조리방법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가열감량은 microwaving 방법에 의한 조리육에서 가장 많았다. 조리육이 물성에 있어서 경도와 부서짐성은 다른 조리방법에 비하여 microwave oven을 이용한 조리방법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응집성은 microwaving 방법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다. 그러나 탄력성은 모든 조리방법들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에 있어서 grilling, pan-frying과 oven-roasting 방법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microwaving은 전 항목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얻었다.

  • PDF

Threonine과 Sucrose 용액에 침지 및 볶음에 의한 도라지차의 색상 발현 모니터링 (Monitoring for the Color Formation of a Doraji Tea by Soaking of Threonine and Sucrose Solution and Roasting)

  • 이기동;정용진;박난영;권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938-944
    • /
    • 1999
  • 도라지의 색상발현을 위하여 반응표면분석법으로 도라지의 threonine 침지농도 및 볶음조건에 따른 도라지차의 기계적 색도 및 관능적 색상 변화를 모니터링 하였다. 기계적 색도와 관능적 색상에 대한 회귀식의 $R^{2}$는 모두 0.87 이상으로 5% 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백색도가 가장 높은 침지 및 볶음조건은 threonine 농도 0.09%에서 침지한 후 건조하여 $142.37^{\circ}C$에서 21.94분 볶음처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색도가 가장 높은 침지 및 볶음조건은 threonine 농도 1.24%에서 침지한 후 건조하여 $154.01^{\circ}C$에서 28.59분 볶음처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장 낮은 침지 및 볶음조건은 threonine농도 1.67%에서 침지한 후 건조하여 $137.61^{\circ}C$에서 24.62분 볶음처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황색도가 가장 높은 침지 및 볶음조건은 threonine 농도 1.10%에서 침지한 후 건조하여 $154.72^{\circ}C$에서 27.12분 볶음처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적 특성으로서 도라지차의 색상에 대한 관능평점은 threonine 농도 1.25%, 볶음온도 $141.81^{\circ}C$및 볶음시간 34.14분에서 가장 높았다.

  • PDF

로스팅 온도에 따른 쥐눈이콩(Rhynchosia nulubilis)의 성분 분석 및 항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Rhynchosia nulubilis according to Roasting Temperature)

  • 이경희;김민정;김애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675-68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쥐눈이콩을 골질환 저감화를 위한 커피 대체 음료의 원료로 사용하기 위해 쥐눈이콩을 커피와 유사한 조건으로 로스팅 하였고, 로스팅으로 인한 영양소 함량 및 생리활성에 변화를 주는지 여부를 알아봄으로써 최적의 로스팅 조건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로스팅 온도범위와 시간은 선행 예비실험 결과를 참조하여 온도는 $90^{\circ}C$에서 $120^{\circ}C$ 범위로 한정하고 시간은 20분으로 고정시켰다. 온도별 로스팅 쥐눈이콩 시료의 일반성분 분석결과, 수분 함량만이 로스팅 온도가 높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을 뿐 다른 일반성분 함량은 로스팅 온도의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로스팅 쥐눈이콩 시료의 DPPH법, ABTS법에 의한 free radical 소거능은 로스팅 온도가 높아질수록 활성이 증가하였다.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역시 로스팅 온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였다. 로스팅 쥐눈이콩 시료의 DPPH법과 ABTS법을 통한 항산화 능력과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그리고 isoflavone 함량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항산화 활성과 밀접한 상관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이소플라본 함량은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과도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정리해보면 $110^{\circ}C$, $120^{\circ}C$에서 20분 동안 쥐눈이콩을 로스팅 할 경우 열처리가 생리활성 효과를 증진시킴을 알 수 있었다. 추후 후속연구로 본연구의 쥐눈이콩 최적 로스팅 조건을 이용해서 커피 대체 음료를 제조한다면 기존의 콩음료의 콩비린내를 감소시킴으로써 커피시장에서 소비자의 호응도가 높은 골질환 저감화 커피 대체 음료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들깨의 볶음 조건에 따른 들기름의 성분 및 관능적 특성 변화 (Changes in components and sensory attribute of the oil extracted from perilla seed roasted at different roasting conditions)

  • 김인환;정숙영;조재선;김영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2호
    • /
    • pp.118-122
    • /
    • 1996
  • 들깨의 볶음 조건에 따라 착유한 들기름의 성분 변화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때 들깨의 볶음 온도는 150, 170, 190, $210^{\circ}C$로 볶음 시간은 10, 20, 30분으로 하였다. 볶음 조건에 따라 볶은 들깨로부터 압착법으로 들기름을 착유시 볶음 온도가 높고 볶음 시간이 길어질수록 수율은 증가하였다. 볶음 조건에 따라 볶아 착유한 들기름중의 지방산 조성은 차이가 없었으며 linolenic acid가 약 60%로 가장 주된 지방산이었고 불포화 지방산이 전체 지방산의 88% 이상이었다. 들기름중의 인 함량은 들깨의 볶음 온도가 높아지고 볶음 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특히 $190^{\circ}C$에서 30분, $210^{\circ}C$에서 $20{\sim}30$분 볶아 착유한 경우에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한편, 들기름중의 tocopherol 함량은 들깨의 볶음 조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v-tocopherol이 총tocopherol 함량의 약 92%로 가장 주된 tocopherol이었다. 들기름의 관능검사 결과 들깨의 볶음 조건에 의해 들기름의 향미, 맛, 색깔, 종합적 기호도등이 1% 이내의 유의차를 보였으며 $190^{\circ}C$에서 20분 볶아 착유한 들기름이 기호도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볶음 및 참기름용 참깨 가공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Improvement of Roasting Condition of Sesame Seeds for Producing Seed Season and Oil)

  • 박장환;최경진;심강보;하태정;이명희;황정동;배석복;박금룡;백인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205-211
    • /
    • 2011
  • 가정용 소량의 볶음용 참깨 최적 볶음온도 및 시간은 팽창율, 색도, 착유량, 관능평가 등을 고려해 보았을 때 $220^{\circ}C$ 에 3분간 처리가 적당하였고, 참기름용 최적 볶음온도 및 시간은 $220^{\circ}C$에 5분간 처리가 가장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볶음처리 조건시험에서는 변온처리 효과는 고정온도 처리보다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정온도 처리가 볶음참깨 및 참기름 가공에 적합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가공용 대용량의 볶음참깨 볶음온도는 흰깨, 검은깨 모두 $240^{\circ}C$에 15분간 처리가 총평에서 가장 높은 평점을 받아 대용량으로 참깨를 볶아서 가공할 때는 소량으로 볶았을 때 보다 $20^{\circ}C$정도 더 높은 온도처리가 적절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대용량의 참기름 가공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대용량 참깨 복음온도는 흰깨는 $280^{\circ}C$에 10분간 처리가, 검정깨는 $260^{\circ}C$에 15분간 처리가 총평에서 가장 높은 평점을 얻었고, 검정깨 보다는 흰깨는 더 높은 온도로 처리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A Study of Compound Changes in Coffee Beans by Different Roasting Condition

  • Lee, Jae Chul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114-119
    • /
    • 2016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diverse compound in coffee beans under different roasting conditions. Four different kinds of chemical characteristics (phenolic contents, flavonoid contents, chlorogenic acid, and caffeine)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coffee roasting, this study categorized green bean, extract A ($191^{\circ}C$), B ($202^{\circ}C$), C ($220^{\circ}C$), and D ($233^{\circ}C$). As a result, total phenol compound showed low level of total phenol compound at lower temperatures. Extract A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total flavonoid ($111.33{\pm}10.14$), green bean showed $83.67{\pm}2.43$, Extract B $46.11{\pm}2.38$, C and D showed $31.44{\pm}0.12$, $19.22{\pm}0.46$ respectively. Green bean showed higher level of chlorogenic acid ($64.47{\pm}0.51$), Extract A ($39.66{\pm}0.47$), extract B ($12.45{\pm}0.99$), C, D ($3.59{\pm}0.31$, $0.63{\pm}0.12$) respectively. This study also not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t in terms of caffeine content. Extract A has higher level of caffeine content ($38.45{\pm}1.70$) significantly, green bean ($27.14{\pm}2.27$), extract B ($18.95{\pm}0.64$), extract C ($17.89{\pm}0.96$). As a conclusion, we revealed that roasting condition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composition of coffee compounds.

가공 방법을 달리한 무차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과 항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White Radish Tea by Different Preparation Methods)

  • 김민지;박종대;성정민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73-81
    • /
    • 201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white radish teas such as pH, color value, total polyphenol contents, total flavonoid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ducing power and sensory evaluation. They were processed by drying(AD), drying and roasting(ADR), steaming and drying(SAD), and steaming, drying, and roasting(SADR). As a result, the pH of ADR, and SADR tended to be significantly lowered and SADR was the lowest at $5.48{\pm}0.14$(p<0.001). Additionally, ADR and SADR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color and browning value, compared to AD and SA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ducing sugar content depending on processing methods.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total flavonoid content of the teas were significantly increase after roasting.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DR and SDAR than in AD or SAD by 1.1~1.5 times(p<0.05). Compared with ADR and SADR after roasting,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AD and SAD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roasted ADAD and SAD, respectively.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roasting process is a major process that affects the physicochemical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콩의 볶음 조건에 따른 청육장의 이화학적 특성 연구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ungyuk-jang on Different Roasting Conditions)

  • 유민정;최남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569-576
    • /
    • 2020
  • Chungyuk-jang is one of korean traditional soy food made by boiling with meat, seafood and soybean which is fermented after roasting.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Chungyuk-jang fermented with roasted soybean in different conditions, Chungyuk-jang was made from soybean roasted on the three condition, 140℃ for 21 min (CY140), 180℃ 9.5 min (CY180), 220℃ 6 min (CY220) which was decided by pre-test and compared to one made without roasting (CY0). The moisture of Chungyuk-jang was 79.98~81.87% and pH was 6.15~6.25. The lightness and yellowness of CY0 was higher than Chungyuk-jang made of roasted bean whereas redness and brown pigment was the highest on CY220. The contents of free sugar of CY140 was the highest among the treatment. The contents of amino-N of Chungyuk-jang (CY140, CY190, CY220) was higher significantly than CY0. The contents of total free amino acid and glutamic acid was highest on fermented soybean roasted for 140℃, 21 min (CY140) and followed by fermented soybean roasted on 180℃ 9.5 min (CY180), 220℃ 6 min (CY220) and CY0 (without roas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