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ad Information

검색결과 2,712건 처리시간 0.028초

GSIS를 이용한 도로종합정보관리 시스템 구축 (Building of Roa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GSIS)

  • 정승현;임승현;조기성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69-176
    • /
    • 1998
  • 최근 급속한 사회발전과 지역간의 인적ㆍ물적 교류의 증가로 교통량이 급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기존 도로에 대한 유지 및 관리의 중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반국도를 대상으로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도로의 유지, 관리업무를 위한 시범적인 도로종합정보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목적이 있다. 지형공간정보체계를 이용하여 기존 도로에 대한 도면 및 대장과 조서상의 각종 정보를 수치화 및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서, 도면의 자동화는 물론 도로 제반 시설물의 검색, 갱신 및 통계분석 기능을 통해 도로의 유지보수 및 관리 업무시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지상 이동체 기반의 다중 센서 통합 데이터를 활용한 도로의 3차원 기하정보 추출에 관한 연구 (Extracting Three-Dimensional Geometric Information of Roads from Integrated Multi-sensor Data using Ground Vehicle Borne System)

  • 김문기;성정곤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68-79
    • /
    • 2008
  •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에서는 도로의 안전성 분석을 위해서 도로의 각종 정보를 이동하는 차량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취득하고, 이를 토대로 도로의 결함구간을 분석할 수 있는 도로 안전성 조사 분석 차량(RoSSAV, Road Safety Survey and Analysis Vehicle)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로의 안전성에 의심이 되는 지역에 대해서 3차원 도로 모델링을 통한 도로 선형 결함 알고리즘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위해서는 신속하고 정확한 데이터가 수집되어야 한다. 차량에 회전식 레이저 스캐너,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INS(Inertial Navigation System), CCD(Charge-Coupled Device) 카메라 그리고 DMI(Distance Measuring Instrument) 등 여러 센서를 장착하여 데이터를 취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들 데이터를 통합하여 3차원 도로 기하(도로 중심선, 도로 경계선), 도로 시설물과 사면을 추출하였다.

  • PDF

하프변환과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도로정보 표지판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the Road Traffic Information Board using Hough Transform and Genetic Algorithm)

  • 정진용;정채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95-104
    • /
    • 1999
  • 자동차가 증가함에 따라 교통 안전화를 목적으로 한, 자동차 전반에 관한 연구들이 주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무인화 주행을 위한 시각 시스템은 미리 알려져 있지 않은, 일반적인 도로에서 주행하기 위해서는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도로정보로부터 도로정보의 모델을 생성하여 주행에 필요한 도로정보를 추출한다. 본 논문에서는 자동 항법 시스템 중에서 자동 조종에 필요한 도로정보 표지판의 추출 방법을 하프변환과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 PDF

도로분야 IFC 확장을 위한 도로시설의 구성요소 도출 (Extraction of Road Structure Elements for Developing IFC(Industry Foundation Classes) Model for Road)

  • 문현석;최원식;강인석;나혜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195-1203
    • /
    • 2014
  • 최근 표준으로 등록된 IFC(Industry Foundation Classes)4는 건축시설의 형상요소 표현에 한정될 뿐 도로, 교량 및 터널 등의 토목시설에 대한 형상표준을 정의하고 있지 않아 여전히 토목 형상모델의 교환을 위한 상호운용성에 제약이 있다. 특히 도로시설은 중심선형에 따라 모델링되는 선형적 특성을 가지며, 프로젝트 별로 형상이 서로 상이하여 표준화된 도로정보모델을 구축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로의 형상정보모델 개발을 위해 3차원 설계 프로세스 관점에서 도로를 구성하는 구조요소 및 속성을 도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도로설계를 위해 활용되는 도로설계편람, 지침, 시방서 및 기하설계 기준 등의 정보를 분석하여 도로 구조물의 형상 요소와 속성을 추출한다. 도출된 형상은 엔티티(Entity) 항목으로 정의하고 가상 도로모델을 통해 정의된 도로 형상모델의 위계구조를 검토한다. 도출된 도로의 세부 구조 요소 및 속성은 인프라 분야의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3차원 형상정보로 활용되며, 도로의 구체적인 형상, 타입 및 속성을 세분화하여 도로분야의 IFC로 확장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구조적 또는 정보공학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개선 절차 (The Procedure for Improving Structural Methodology or Information engineering Methodology)

  • 정병권;윤석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9D권6호
    • /
    • pp.1083-1090
    • /
    • 2002
  • 소프트웨어개발방법론은 급변하는 정보기술변화에 따라가지 못한다. 대부분의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는 구조적 또는 정보공학 방법론을 사용한다. 기존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이 프로젝트에 적용할 기술이 반영이 안되어 있다면, 프로젝트는 비효율적으로 수행되어진다. 본 논문은 새로운 정보기술을 기존의 구조적 또는 정보공학 방법론에 용이하게 반영하여 개선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본 모델은 소프트웨어 생명주기를 단계들로 나누고 각 단계는 관점 영역으로 나누어 분할된 작은 영역에 새로 적용할 정보기술을 반영하는 분할과 정복 기법을 활용한다. 적용사례는 설계단계를 중심으로 KCC 정보통신(주)에서 사용한 클라이언트 서버 방법론 CS@RoadMap에 웹 기반 소프트웨어 개발절차를 반영하였다. CS@RoadMap방법론에 웹 기술을 반영한 Web@RoadMap방법론을 공공 프로젝트에 적용하였다.

도로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 객체의 현재 위치 관리를 위한 효율적인 색인 기법 (Effective indexing of moving objects for current position management in Road Networks)

  • 김태규;신숭선;정원일;배해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33-43
    • /
    • 2011
  • 최근 위치 확인 기술과 이동 통신의 발전에 따라 이동 객체의 위치에 기반한 서비스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동 객체의 위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다양한 색인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유클리드 공간의 색인은 이동의 제약이 없기 때문에 이동의 제약이 강한 실세계에 적용하기 어렵다. 도로 네트워크 공간의 색인의 경우에는 인접도로의 연결 정보 알기 위해 추가적인 비용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연구들은 건물, 병원과 같은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객체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도로 네트워크 공간에서 이동 객체의 현재 위치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색인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색인 구조는 도로망을 격자로 분할하여 도로 연결 정보를 색인 구조에포함하였고 고정 객체를 위해 별도의 색인을 유지한다. 그리고 실험을 통하여 기존의 기법보다 제안 색인의 성능이 우수함을 보인다.

효율적인 도로정보 제공을 위한 도로표지판 개선방안 제시 (A Suggestion for Improved Road Signs Providing Efficient Road Information)

  • 권성대;김윤미;김재곤;하태준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131-141
    • /
    • 2016
  • PURPOSES : While road networks are becoming increasingly complex, traffic signs are being indiscriminately installed and operated, which makes drivers who depend on traffic signs to reach their destination confused and unable to understand road information efficiently. In order to promptly and exactly guide road users to their destinations, traffic signs should be able to satisfy the functions of connectivity, visibility, and location suitability. However, the results of a site survey shows that most of the traffic signs currently installed in the Jeollanam-do Province do not satisfy these functions. METHODS : This study analyzed the problems of traffic signs after an actual site survey and focused on a total on 9,353 traffic signs and 70 road routes in Jeollanam-do Province. RESULTS : This study analyzed the problems of traffic signs based on their required functions (connectivity, visibility, suitability) and suggested improvements by establishing a guide system that considered the problems found in the study. CONCLUSIONS : The guide system can be utilized as a basic material that provides efficient road information for futur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traffic signs in Jeollanam-do Province.

도로시설물 관리를 위한 Photo Database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Database for photograph of Road Facilities)

  • 엄우학;정동훈;김정현;김병국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1권1호
    • /
    • pp.33-40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도로 및 도로시설물의 신설과 보완에 관련된 정보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 CCD(Charge-Coupled Device) 카메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s), INS(Inertial Navigation Systems)와 같은 3개의 위치관측센서를 통합한 차량을 이용하여 시범지역을 측량하고 이를 통해 획득된 자료를 구조적으로 Photo Database에 저장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저장된 Database를 이용한 도로시설물관리시스템의 프로토타입(Prototype)은 해당지점에 대한 실제사진을 이용해서 사용자의 대상물에 대한 인식성을 높이고 속성정보와의 연계를 통해서 해당 시설물에 대한 정성적인 정보추출과 관리가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 PDF

An Essay on Construction of Gyeonggiyetgil Electronic Culture Atlas- The Necessity of Construction and the Basic Concept of Information Provision

  • Byun, Ji-Sun
    •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 /
    • 제9권2호
    • /
    • pp.155-160
    • /
    • 2022
  • This study is on the necessity of constructing an Electronic Culture Atlas of Gyeonggiyetgil the concept of information provision. Gyeonggiyetgil is a road restored by Gyeonggi-province with the goal of completion in 2022. The purpose of the road is not just the purpose of movement. In the case of Gyeonggiyetgil, it was built in the Joseon Dynasty and is a road that can be traveled on foot. Travelers walking on this road can experience the history, stories, cultural properties, and natural scenery of the road. Therefor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Gyeonggiyetgil exists.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mention the necessity of constructing an Electronic Culture Atlas for Gyeonggiyetgil and discuss in detail how existing information can be collected and provided.

Automatic Extraction of Route Information from Road Sign Imagery

  • Youn, Junhee;Chong, Kyusoo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595-603
    • /
    • 2015
  • With the advances of the big-data process technology, acquiring the real-time information from the massive image data taken by a mobile device inside a vehicle will be possible in the near future. Among the information that can be found around the vehicle, the route information is needed for safe driving. In this study, the automatic extraction of route information from the road sign imagery was dealt with. The scope of the route information in this study included the route number, route type, and their relationship with the driving direction. For the recognition of the route number, the modified Tesseract OC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engine was used after extracting the rectangular-road-sign area with the Freeman chain code tracing algorithm. The route types (expressway, highway, rural highway, and municipal road) are recognized using the proposed algorithms, which are acquired from colour space analysis. Those road signs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route number as well as the roads that may be encountered along the way. In this study, such information was called “OTW (on the way)” or “TTW (to the way)” which between the two should be indicated is determined using direction information. Finally, the route number is matched with the direction information. Experiments are carried out with the road sign imagery taken inside a car. As a result, route numbers, route number type, OTW or TTW are successfully recognized, however some errors occurred in the process of matching TTW number with the di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