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ver topographic maps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4초

낙동강 삼각주 말단의 지형 변화 (Landform Changes of Terminal Area of the Nagdong River Delta, Korea)

  • 오건환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7-78
    • /
    • 1999
  • 낙동강 삼각주 말단은 하중도와 사주 그리고 간석지의 퇴적미지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 미지형들은 해안선에 평행하게 바다쪽으로 향해 하중도군, 제1사주군, 제3사주군, 그리고 제4사주군의 순으로 배열되는 특징을 나타낸다. 하중도군은 을숙도-명호도-신호도로서 1916년 이전에 형성되었고, 제1사주군인 맹금머리등-대마등-진우도는 맹금머리등을 제외하면, 하중도군과 함께 1916년 이전에 출현된 사주들이다. 제2사주군인 백합등-장자도와 제3사주군인 나무싯등-새등은 각각 1970년과 1984년 이전에 형성되었으며 제4사주군인 다대등-도요등은 최근인 1990년 이후에 등장된 사주로서 현재 합성되어 있다. 이러한 사실은 삼각주 말단이 1987년 낙동강 하구둑 건설이후 빠르게 전진 발달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하구둑과 신호공단 및 명지주거지의 조성을 위한 하구 부근의 준설과 인공적인 수로의 변경에 따른 토사의 일시적 재퇴적현상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이며, 그 결과 연구지역의 미지형 변화는 삼각주 말단에서 일어나고 있는 낙동강의 유수와 파랑 그리고 연란류 및 조류의 에너지가 하구둑 건설 이전에 작용했던 것처럼 균형을 이룰 때까지 계속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Unveiling the mysteries of flood risk: A machine learning approach to understanding flood-influencing factors for accurate mapping

  • Roya Narimani;Shabbir Ahmed Osmani;Seunghyun Hwang;Changhyun Jun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164-164
    • /
    • 2023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ortance of flood-influencing factors on the accuracy of flood risk mapping using the integration of remote sensing-based and machine learning techniques. Here, the Extreme Gradient Boosting (XGBoost) and Random Forest (RF) algorithms integrated with GIS-based techniques were considered to develop and generate flood risk maps. For the study area of NAPA County in the United States, rainfall data from the 12 stations, Sentinel-1 SAR, and Sentinel-2 optical images were applied to extract 13 flood-influencing factors including altitude, aspect, slope, topographic wetness index,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stream power index, sediment transport index, land use/land cover, terrain roughness index, distance from the river, soil, rainfall, and geology. These 13 raster maps were used as input data for the XGBoost and RF algorithms for modeling flood-prone areas using ArcGIS, Python, and R. As results, it indicates that XGBoost showed better performance than RF in modeling flood-prone areas with an ROC of 97.45%, Kappa of 93.65%, and accuracy score of 96.83% compared to RF's 82.21%, 70.54%, and 88%, respectively. In conclusion, XGBoost is more efficient than RF for flood risk mapping and can be potentially utilized for flood mitigation strategies. It should be noted that all flood influencing factors had a positive effect, but altitude, slope, and rainfall were the most influential features in modeling flood risk maps using XGBoost.

  • PDF

GIS-based Landslide Susceptibility Mapping of Bhotang, Nepal using Frequency Ratio and Statistical Index Methods

  • Acharya, Tri Dev;Yang, In Tae;Lee, Dong Ha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357-364
    • /
    • 2017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landslide susceptibility map of Bhotang village development committee, Nepal using FR (Frequency Ration) and SI (Statistical Index) methods. For the purpose, firstly, a landslide inventory map was constructed based on mainly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s available in Google Earth Pro, and rest fieldwork as verification. Secondly, ten conditioning factors of landslide occurrence, namely: altitude, slope, aspect, mean topographic wetness index, landcover,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dominant soil, distance to river, distance to lineaments and rainfall, were derived and used for the development of landslide susceptibility map in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environment. The landslide inventory of total 116 landslides was divided randomly such that 70% were used for training and remaining 30% for validating result by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curve analysis. The area under the curve were found to be greater than 0.7 indicating an acceptable susceptibility maps obtained using FR and SI methods in GIS for hilly region of Nepal.

원격탐사자료와 GIS를 이용한 라오스 남칸유역분지의 토지이용평가 및 미작적지분석 (Land Use Evaluation and Suitablility Analysis for Paddy Cropping of Nam Khane Watershed, Laos, Using Remotely Sensed Data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 조명희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17
    • /
    • 1995
  • 원격탐사자료(MOS-1)를 이용하여 라오스 북부 남칸유역분지의 토지이용형태를 분류하 고, 항공사진과 지형도 및 현지조사에 의한 자료를 기초로 하여 Arc/Info 시스템에서 10종류의 주 제도를작성하였다. 이가운데 취락, 소유역분지, 지형고도, 사면경사를 기준으로하여 토지이용분포 의 특성을 각 주제도면을 중첩 분석하여 규명하였다. 더욱이 화전지역의 분포특성을 파악하고, 휴 경지와 화전지역에 대하여 미작이 가능한 영구농지로 전환할 수 있는 적지를 추출하여 유역관리 를 위한 기초자료를 산출하였다.

GIS 및 RUSLE 기법을 활용한 금호강 유역의 토양침식위험도 평가 (Soil Erosion Risk Assessment of the Geumho River Watershed using GIS and RUSLE Methods)

  • 박경훈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4-36
    • /
    • 2003
  • 본 연구는 유역규모에서의 토양침식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GIS 및 수정범용토양유실공식(RUSLE)을 활용하였다. 토양유실량 예측공식인 RUSLE 인자를 생성하기 위하여 토지이용도, 지형도, 토양도, 그리고 강수량 등의 자료들을 사용하였고, 최종적으로 grid 기반의 10m 셀의 격자형 데이터로 구축한 RUSLE 인자들의 중첩분석을 통하여 연간 토양유실량을 예측할 수 있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대상지의 83.5%는 연간 토양유실량이 1ton/ha 미만으로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농업지역은 30% 이상이 연간 토양유실량 10ton/ha 이상으로 다른 토지이용에 비해 토양침식위험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이들 지역에 대한 철저한 현장조사를 토대로 토양침식의 위험도를 최소화하기 위한 토양보전계획의 수립이 필요하리라 판단된다.

  • PDF

지형요소를 이용한 홍수범람해석 모형의 비교 (Comparison of Flood Inundation Models using Topographic Feature)

  • 문창건;이정식;조성근;신사철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69-77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소하천 유역에 대한 홍수범람해석 모형을 비교하는 것이다. 검청천을 대상으로 1차원 수리모형인 HEC-RAS와 범람해석을 위한 HEC-GeoRAS, RAS Mapper, RiverCAD 모형을 적용하여 홍수범람해석을 수행하였다. 실측 강우량과 빈도별 홍수량을 적용하여 3가지 모형에 따른 홍수범람해석을 모의하였으며, 해석결과와 당시 조사된 침수흔적도를 비교하고 각 모형들의 빈도별, 침수심별에 따라 홍수범람면적을 비교하였다. 실측 강우량을 적용하여 해석된 홍수범람면적은 HEC-GeoRAS 모형의 결과가 침수흔적도와 비교적 유사하게 나타났다. 또한, 빈도별 설계홍수량을 적용하여 해석된 범람면적은 RAS Mapper 모형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3가지 모형의 전체 범람면적 차이가 10% 이내로 비교적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침수심별 범람면적을 비교한 결과 침수심 2.0 m 이하 구간에서는 3가지 모형의 결과가 비교적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침수심 2.0 m 이상의 구간에서 RiverCAD 모형의 범람면적이 비교적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주암호 소유역의 영양물질 부하 추정을 위한 SWAT 모형의 적용성 평가 (Evaluation of SWAT Model for Nutrient Load from Small Watershed in Juam Lake)

  • 정재운;윤광식;한국헌;최우영;이준배;최훈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8권9호
    • /
    • pp.1027-1033
    • /
    • 2009
  • For the assesment of pollutant loads, a monitoring has been conducted to identify hydrologic conditions and water quality of the Oenam watershed in Juam Lake, and the SWAT model integrated with GIS was applied to the watershed and evaluated for its applicability through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using observed data. For the model application, digital maps were constructed for watershed boundary, land-use, soil series, digital elevation, and topographic input data of the Oenam watershed using Arcview. The observed runoff was 832.8 mm while the simulated runoff was 842.8 mm in 2003. The model results showed that the simulated runoff was in a good agreement with the observed data and indicated reasonable applicability of the model. In terms of nutrient load, the simulation results of T-N, T-P showed a similar trend to observed values. The observed T-N load was 10.8 kg/ha and the simulated T-N load was 7.6 kg/ha while the observed T-P load was 0.21 kg/ha and the simulated T-P load was 0.18 kg/ha. In general, SWAT model predicted observed runoff and loads of T-N and T-P after calibration with observed data in acceptable range. Overall, SWAT model was satisfactory in estimation of nutrient pollutant loads of the rural watershed.

안동의 풍수경관 연구 - 음택 명당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ungsu Landscape of the Myungdang Tomb Sites in Andong Area)

  • 옥한석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70-86
    • /
    • 2003
  • 이 연구는 안동의 이른바 음택명당 풍수 경관에 대하여 조사하여 그 형태와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안동문화원에서 펴낸 $\ulcorner$안동의 분묘$\lrcorner$에 나오는 분묘와 예천의 일부 묘지를 대부분 야외조사하고, 이 중에서 형기론적 입장에서 나타난 다양한 명당의 특징을 1:25,000지형도 상에서 기술한다. 안동지역은 낙동강, 반변천, 길안천의 수많은 지류가 흐르고 그 주위에 낮은 구릉, 완만한 사면 및 높은 배후 산지가 전개되며 수많은 명당이 입지한다고 알려져 왔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안동의 경우는 날짐승(봉, 학, 꿩), 꽃(모란, 연꽃, 칡넝쿨), 길짐승(닭), 들짐승(거북, 뱀). 물건(등잔, 가마솥, 밥상), 용, 달 등의 형기론적 명당이 나타나며, 이들 형태는 크게 낙동강 본류 이북 쪽에 집중한다. 이들 명당은 고도 상으로 해발고도 100m∼400m 부근에 대부분 입지한다. 이들 명당의 공통된 형태적 특징은 반개방성, 중첩성. 안정성. 조화성, 균형성이다. 형태 상의 이러한 특징은 풍수지리의 원리를 오늘날의 입지 선정에 적용할 수 있는 근거를 갖게 하는 것이다.

시문분석을 통한 영남루의 경관 특징에 관한 연구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Youngnam-Lu through the Analysis of Poetry)

  • 안계복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9
    • /
    • 2014
  • 본 연구는 밀양 영남루가 갖고 있는 경관적인 특징을 밝히기 위해 영남루와 관련된 354편의 시문에 대한 핵심어(keyword)분석과 시문 요소 분석, 그리고 보조적으로 CAD를 활용한 지형분석과 고지도 분석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남루 시문에 대한 핵심어를 분석해 보면 명승이 56회, 장강(長江)과 장림(長林)이 39회, 최고 제일경관이 31회, 큰 들판 조망경관이 19회, 천겹 산악경관이 14회로 나타났는데, 이것을 모두 합치면 159회로 전체 시문의 44.9%에 해당한다. 영남루 시문에 나타난 자연요소를 분석해 본 결과 자연현상(44%), 지형(33%), 식물(14%), 동물(9%) 순이었는데, 자연현상 가운데에는 특히 하늘천(天)이41회로 제일 많았는데, 이것은 영남루의 '천(天)'의 경관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또 영남루 지형경관의 특징은 '강 흐름'과 '모래섬'이었다. 또한 영남루에서는 악기 출현빈도(8%)가 높아 다양한 악기를 공연하는 공간이었다. 이러한 특징들 때문에 영남루가 고려시대부터 제일가는 누각이라는 평가를 받아왔다.

GIS를 활용한 하구의 습지추정 및 변화추이 분석에 관한 연구 (Using GIS to Estimate Estuarine Wetlands in Three Major Estuaries and to Quantify Wetland Changes over the Last Century)

  • 노백호;이창희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1-31
    • /
    • 2007
  • 하구습지는 육지생태계와 해양생태계가 만나는 전이적 특성으로 인해 다른 생태계에 비해 겨울철새를 비롯한 많은 생물종이 도래 서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하구습지에 대한 공간적 분포나 시간에 따른 하구습지 변동추이를 분석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한강, 섬진강, 가화천의 하구습지를 파악하였으며, 이때 구한말 이후 일관되게 제작되는 국가기본지형도를 이용함으로서 표준화된 방법으로 하구습지의 시대별 변화추이를 분석하였다. 특히 1910년대 제작된 고지형도와 1970년대, 그리고 2000년대에 제작된 지형도를 획득하여, 하구 내 갯벌, 습지, 모래에 대한 공간분포와 하구별 하구습지의 훼손실태를 파악하였다. 한강 및 영산강 하구와 같이 대하천 하구는 191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지속적으로 습지면 적이 감소되었으나, 감소율은 크지 않았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 하구둑 건설과 영산강유역종합개발계획 등 각종 개발사업이 이루어진 영산강의 하구습지는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한강 하구도 남북긴장 완화와 접경지역 개발지원에 따라 습지훼손이 심화되고 있다. 반면 하구둑이나 주변 개발사업으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운 가화천은 하구습지의 훼손이 낮은 상태인데, 아직도 1910년대와 비슷한 형태의 갯벌과 갯골을 간직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