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ver port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34초

하구수와 표사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teraction of Estuarial Water and Sediment Transport)

  • 이호;이중우
    • 한국항만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51-461
    • /
    • 2000
  • The design and maintenance of navigation channel and water facilities of an harbor which is located at the mouth of river or at the estuary area are difficult due to the complexity of estuarial water and sediment circulation. Effects of deepening navigable waterways, of changing coastline configurations, or of discharging dredged material to the open sea are necessary to be investigated and predicted in terms of water quality and possible physical changes to the coastal environment. A borad analysis of the transport mechanism in the estuary area was made in terms of sediment property, falling velocity, concentration and flow characteristics. In order to simulate the transport processes, a two-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 is developed, which includes erosion, transport and deposition mechanism of suspended sediments. Galerkin’s weighted residual method is used to solve the transient convection-diffusion equation. The fluid domain is subdivided into a series of triangular elements in which a quadratic approximation is made for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Model could deal with a continuous aggregation by stipulating the settling velocity of the flocs in each element. The model provides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bed shear stress, erosion versus deposition rate and bed profile at the given time step.

  • PDF

서울 한강시민공원 반포지구에서의 수변공간의식 조사 (A study on survey on the user's opinions of the water-front in Seoul Hangang Park Banpo area)

  • 양동천;콘 마사유키;안창수;이명권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5-36
    • /
    • 2012
  • 본 연구는 서울 한강시민공원 반포지구에서의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수변공간의식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개별면접법으로 실시하였으며, 한강을 바로 조망할 수 있는 장소에서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연령대로는 2~30대가 각각 33%, 23.5%로 가장 많았으며, ${\cdots}{\cdots}$( 중 략 )${\cdots}{\cdots}$.

  • PDF

지진규모를 고려한 방파제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reakwater Characteristics considering Seismic Magnitude)

  • 정진호;이광열;임창규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71-83
    • /
    • 2014
  • 부산지역은 낙동강 하구에 위치하여 퇴적층, 매립층 등이 매우 잘 발달되어 있어 지진이 발생한다면 이러한 지층 등에서 증폭현상이 나타나 모래층과 성토층 및 매립지반에 액상화 발생 가능성이 매우 커진다. 만약 액상화가 발생한다면 지진에 의한 피해는 크게 가중되어 막대한 피해를 야기 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지진 발생 시 항만시설의 1차 보호구조물인 부산항 신항 방파제의 안정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국내 내진설계기준과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을 바탕으로 인공지진과 국내에 널리 사용되는 장주기 지진파와 단주기 지진파인 포함하여 지진규모 5.6~7.9 수준의 지진 13개 등을 사용하여 첫 번째로 여러 제시된 액상화 평가방법을 이용하여 방파제 하부 치환모래층의 액상화 발생 가능성을 검토하여 안정성을 평가하고, 두 번째 지진규모에 따른 지진에너지와 가속도 응답스펙트럼에 대한 특성분석을 수행하여 설계기준에 근접하는 지진파 제시하며, 세 번째 제시된 지진파를 이용하여 방파제의 동적 안정성을 검토하기 위해 유한요소해석을 실시하여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인하고, Geotextile에 발생하는 변위 및 인장력의 변화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방파제 하부 치환모래층에 대한 액상화 발생가능성과 방파제의 동적수평변위 및 Geotextile의 변화는 하부지반(치환모래층)에 의해 매우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EFDC를 이용한 군산항의 유사 퇴적고 계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diment Deposition Height Computation at Gunsan Port Using EFDC)

  • 이동주;박영기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6권5호
    • /
    • pp.531-545
    • /
    • 2013
  • 본 논문은 군산항의 유사퇴적 현상을 정량적으로 파악하고 그에 합리적인 대책을 마련하는데 활용하기 위해, 잘 알려진 EFDC 3차원 유사이송모형을 기초로 군산항의 퇴적고를 효율적으로 계산하기 위한 EFDC KUNSAN_SEDTRAN MODEL(2012)의 적용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 모형은 금강하구수리현상변화조사 보고서(Gunsan Regional Maritime Affairs and Port Office, 2004)의 여러 현장 관측치를 가지고 검정 및 검증을 수행했다. 검정 및 문헌조사를 통해, 본 모형의 점착성토사 침강속도(WS, Settling velocity), 퇴적한계전단응력(TD, Critical deposition stress), 기준침식률(RSE, Reference surface erosion rate), 침식한계전단응력(TE, Critical erosion stress)은 각각 2.2E-04m/s, 0.20 $N/m^2$, $0.003g/s{\cdot}m^2$, 0.40 $N/m^2$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군산항의 13정점의 퇴적고(71일) 및 내항과 외항 정점의 부유사농도(15일)의 모형 계산치와 현장 관측치를 비교 검토했다. 그 결과 퇴적고 계산을 위한 모형의 적용성은 NSE계수가 0.86, 부유사농도 시간평균 상대오차(RE)가 23%로 평가되었다.

금강유역 관문도시의 교통 변천에 따른 공간적 특성 변화 : 군산과 강경을 대상으로 (Transportation Impacts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Gateway Cities in the Geum River Basin, Korea: A Case of the Gunsan and the Gangyeong)

  • 송경언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51-368
    • /
    • 2009
  • 관문도시의 내부구조는 외부로부터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금강 유역 관문도시의 교통변화에 따른 공간적 특성 변화를 파악하는 것이다. 교통의 변화 단계는 상품 특히 쌀의 유통에 의해 구분되었고, 관문기능들은 군산시와 강경읍을 대상으로 조사되었다. 연구의 주요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관문에 있어 술 교통과 육로 교통은 연계되거나 분리되었다. 쌀의 유통에서 군산 관문은 연계된 반면, 강경은 분리되었다. 이러한 차이는 포구와 철도역의 위치에 반영되어 있다. 수산물 및 소금의 유통에서 강경관문은 연계된 반면, 군산은 그렇지 않다. 둘째, 수산물과 쌀의 운송을 위한 포구들이 분리되거나 통합되었다. 군산에서는 분리된 반면, 강경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미곡 반출이 중단된 후에 두 관문 사이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낙동강 하구역 주변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공간 특성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Macrobenthos Community Near the Nakdong River Estuary, on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 이형곤;이재학;유옥환;김종관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7권2호
    • /
    • pp.135-148
    • /
    • 2005
  • Macrobeilthic fauna were collected using a van Veen grab $(0.1m^2)$ to investigat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macrobenthos community at 28 stations near the Nakdong River estuary, Southeast Korea, in September 2001. A total of 203 species were sampled with a mean density of $1,554 ind./m^2$ and a biomass of $252.3 gWWt/m^2$. Annelids were the dominant faunal group in terms of species and density, with 68 species and a mean density of $1,031ind./m^2$, which comprised 33.5% and 66.3% of the total benthic animals, respectively. Based on density, three Polychaetes were dominant Tharyx sp· $(420ind./m^2)$, Lumbrineris longifolia $(143ind./m^2)$, and Sternaspis scutata $(118ind./m^2)$, along with a bivalve Theora fragilis $(129 ind./m^2)$. On cluster analysis, the benthic community was classified into four groups based on the species composition: Group-1 occurred in disturbed areas, Group-II in coastal regions, Group-III in central mariculture grounds, and Group-IV offshore. Environmental factors (mean gain size, organic carbon, and depth) were primarily correlated with the macrobenthos community structure. A benthic pollution assessment based on the macrobenthos community structure showed that Group-I and Group-II were located in a coastal area that had been severely disturbed by construction of Busan new port and various pollutants, Group-III was gradually polluted, while offshore Group-IV was the most stable.

영일만 유입오염부하량과 수질의 시${\cdot}$공간적 변동특성(II) - 유입오염부하량과 수질의 상호거동 -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 Characteristics between Water Quality and Pollutant Loads of Yeong-il Bay (II) - Mutual Variation between Inflowing Pollutant Loads and Water Quality -)

  • 윤한삼;이인철;류청로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32-38
    • /
    • 2003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hip of water quality, and analyzes the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 and distribution of the pollutant loads at Yeong-il Bay. The results of these analysis, the concentrations of nutrient loads (T-N and T-P), both appeared to be at the maximum value in November, while most small values were taken in May for the T-N, and in August for the T-P. For COD, the maximum concentration was in August, which has much precipitation during the same season, T-N was at the mean, and T-P was at the minimum value. Using the cluster analysis to develop the division of the sea basin by the dendrogram, before and after construction of Pohang New-port, the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of Yeong-il Bay were discussed. The in flowing pollutant loads were transported to the landward by the high-density salinity water volume of the bottom layer therefore, it formed nutrient trap or coastal trapping areas of the pollutant load. By this mechanism, it is clear that the water volume with high-density nutrient exists on both sides of the Pohang New-port. Thus, the sea basins increasing concentration of the pollutant load at Yeong-il Bay are most prevalent at Hyeong-san estuary, the Pohang Old, and New-port. To improve water quality of this sea basin, the reduction of these nutrients loads should be the highest priority.

유수지로부터의 담수 방류가 항 내 해수순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reshwater Discharge from a Water Reservoir on the Flow Circulation in the Semi-Closed Harbor)

  • 최재윤;김종욱;이혜민;윤병일;우승범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33권1호
    • /
    • pp.1-12
    • /
    • 2021
  • 담수 유입이 항만 내 해수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인천 남항의 남측에 위치한 신국제 여객터미널 해역에 3차원 유동 수치 모델을 구축 및 적용하였다. 수치 모델의 모의 기간은 경기만 지역의 평수기인 5월 15일부터 6월 30일까지 약 45일이며, 모델 결과와 관측자료의 비교를 통하여 유동과 염분 변화에 관한 모델의 재현성을 검증하였다. 신국제 여객터미널에 영향을 미치는 담수 공급원은 한강과 항만 동쪽에 위치한 용현 갯골 유수지가 있다. 유수지의 유무에 따른 잔차류 결과를 분석해 보면, 한강과 유수지가 모두 고려된 실험안이 한강만을 고려한 실험안보다 염분 경사에 의한 2층 흐름 구조(표층은 외해 방향, 저층은 항 내를 향한 흐름 구조)가 수평적으로 더 강하게 발달한다. 이는, 한강으로부터의 담수 영향보다 유수지로부터의 담수 영향이 신국제 여객터미널 해역에서 더 크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잔차류의 2층 흐름 구조는 북쪽에 위치한 인천 남항보다, 남쪽에 위치한 신국제 여객터미널에서 더 강한 2층 흐름 구조가 발생한다. 이 프로세스는 유수지로부터의 담수와 항 내로 전파된 조류가 만나 신국제 여객터미널 방향으로 회전되어 전파되면서, 남쪽에 위치한 신국제 여객터미널에 저염수가 전달됨에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흐름은 신국제 여객터미널 전면부에서 수평적인 염분 경사에 의한 성층을 강화시키며, 강화된 성층은 2층 흐름 구조를 형성 및 유지시킨다. 따라서, 항만 내의 경압 작용에 의한 해수순환과 물질이동을 재현하고자 할 때, 유수지와 같은 국지적인 담수 유입원이라도, 항만 내의 해수순환에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현장 관측 자료를 기반으로 유수지에서 방류되는 실시간 담수 유량에 따른 수치모델을 수행해야 한다.

광양항에서의 폭풍해일 검토 (Storm Surge Caused by the Typhoon in Kwangyang Port)

  • 김현성;임효혁;한동훈;김평중
    •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2006년도 전기학술대회논문집
    • /
    • pp.205-206
    • /
    • 2006
  • The surges caused by the typhoon of Korea are analysed in Kwangyang Bay. The deviations of the high water level were $74{\sim}185cm$ and the maximum deviations of the water level (maximum surges) were $151{\sim}240cm$ in Kwangyang Bay during the typhoon. The major parameters of the maximum deviations of the water level are as follows : Analysis shows that the pressure drop increased the sea level by $43{\sim}59cm$, the flood of the Sumjin River by $4{\sim}5cm$ and the external surge propagation and wind setup by $97{\sim}192cm$.

  • PDF

Ancient Seaports on the Eastern Coast of India: The Hub of the Maritime Silk Route Network

  • DAYALAN, DURAISWAMY
    • Acta Via Serica
    • /
    • 제4권1호
    • /
    • pp.25-69
    • /
    • 2019
  • India has occupied the most important position of sea trade in the entire South Asian region since the beginning of maritime trade. The extensive maritime trade network between the Harappan and Mesopotamian civilizations as early as the $3^{rd}$ millennium BCE is testimony to the long maritime trade history of India. The Harappans constructed many seaports including the first high-tide dockyard in the world for berthing and servicing ships at the port town of Lothal, Gujarat. From the dawn of the historical epoch, the maritime trade network of India expanded extensively. The long 5422.6 kms coastline of the Indian mainland (excluding the coastlines of the Andaman and Nicobar islands and the Lakshwadweep Islands) is well known for its several seaports manly located at river mouths or outlets to the sea. The main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in detail all the major ancient seaports on the eastern coast of India and their maritime trade activities. The narrative of these ports is based on archaeological explorations and excavations, foreigners' accounts, Indian literary sources, inscriptions, archival materials, and the field study and personal observation of the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