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ver corridor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9초

백두대간에 포함되는 덕유산 국립공원 일대 수계의 어류상에 관하여 (The freshwater Ichthyofauna of Deogyusan National Park, Enclosing Baekdudaegan)

  • 이승휘;권은호;신영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26-332
    • /
    • 2004
  • 백두대간 중 덕유산 중심의 무주군과 장수군, 거창군과 함양군 일원에서 발원하는 낙동강 및 금강 수계의 상류에 서식하는 어류상을 조사하여 그 의미를 고찰하였다. 2003년 5월부터 9월까지 덕유산 국립공원 일대의 14개 지소에서 담수어류상을 조사한 결과 한국고유종 및 아종인 몰개, 왕종개, 꺽지, 동사리를 포함한 5과 15종의 담수어류를 확인하였다. 금강수계에서는 14종이, 낙동강 수계에서는 7종이 분포하였으며 공통적으로 분포하는 어종은 돌고기, 버들치, 갈겨니, 미꾸리, 꺽지 그리고 동사리로서 6종이었다. 이들 중 우세종은 갈겨니와 버들치였다. 기존의 백두대간에 관한 연구는 식물상과 식생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나, 향후 동ㆍ식물이 하천통로에 공존하는 새로운 개념의 해석을 제시코자 하였다.

서식지 적합성 평가를 이용한 수변지역 핵심 보전지역 선정 - 수달을 대상으로 - (Selecting Core Areas for Conserving Riparian Habitat Using Habitat Suitability Assessment for Eurasian Otter)

  • 정승규;박종화;우동걸;이동근;서창완;김호걸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9-32
    • /
    • 2015
  • In Korea, significant riparian areas have been developed due to river maintenance projects. Introduction of new riparian facilities can negatively affect wildlife in the riparian areas. This study focuses on selecting core conservation areas for Eurasian Otter(Lutra lutra) to support decision making process for development of riparian areas. For the study, first of all, field data of study site were collected by field surveys. Secondly, stream naturalness was assessed to understand physical environments of the study sites. Thirdly, habitat suitability was assessed using occurrence data of Eurasian Otter and environmental data. Lastly, core areas for conservation was selected by comparing and synthesizing stream naturalness map and habitat suitability map. The selected core areas showed several characteristics. The number of artificial facilities is low in the core areas. Rocks which are preferred by Eurasian Otter to eat and excrete are plentiful in the core areas. Also, the ratio of adjacent farmland is high. Based on the analys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decision making process for environmental spatial plans to better conserve habitats of Eurasian Otter.

우리나라의 하천특성을 고려한 하천자연도평가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Stream Naturalness for Stream Corridor)

  • 박봉진;이준열;성영두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4년도 학술발표회
    • /
    • pp.516-520
    • /
    • 2004
  • 하천자연도란 하천 생태계의 자연스러운 정도를 의미한다. 하천자연도평가는 인위적 환경훼손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평가하여, 현재 하천이 자연스러움에서 어떻게 어느 정도 벗어나 있는지를 가늠하며, 그리고 그러한 차이가 하천생태계에 어떤 중요성이 있으며, 자연에 가까운 하천구조를 다시 만들기 위해서는 얼마나 큰 행동이 필요한지를 보여주기 위해서 시행하는 것이다. 금번 연구에서는 국내외 하천자연도평가에 관한 연구성과를 검토하여 문제점을 개선하고 홍천강에 적용성을 검토하여 우리나라의 하천특성에 맞는 하천자연도 평가 방법을 제안하였다. 금번 제안한 하천자연도 평가는 하천의 치수 및 이수기능을 증진하고 하천생태계의 서식처 기능을 확보하기 위해, 하천의 환경적인 측면에서의 건전성을 평가하여 하천환경정비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는 지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실뱀장어의 하굿둑 어도 및 갑문 이용 실태 연구 (Migration of Glass Eel (Anguilla japonica) through Fish Way and Lock Gate in an Estuarine Barrage)

  • 조현빈;곽석남;김구환;이완옥;박기연;곽인실;김동균
    • 생태와환경
    • /
    • 제52권1호
    • /
    • pp.65-70
    • /
    • 2019
  • 본 조사는 월령이 망(보름)인 2016년 4월 22~23일과 5월 25~26일에 낙동강 하굿둑 갑문과 어도 등 총 4개 지점에서 실뱀장어 이동 가능성에 대한 현장 조사를 실시하였다. 실뱀장어는 총 23개체가 채집되었으며, 지점별로 보면 동편 하굿둑에서 22개체, 서편 하굿둑에서 1개체가 채집되었다. 소상지원 시설물 형태 변화, 즉 갑문의 패들 및 어도의 수문 개방 여부, 인조잔디 및 솔의 설치에 따른 실뱀장어의 채집 개체수의 변화를 보면, 동편 하굿둑 갑문의 경우 5개체에서 15개체로 3배 상승하였고, 2번 어도의 경우 0개체에서 2개체로 상승하였다. 본 조사는 2회 조사 결과로 표본수가 작아 모집단에 대한 대표성은 결여되어 있으나, 낙동강 하굿둑 어도와 갑문 모두에서의 실뱀장어를 채집하여 실뱀장어의 하굿둑 어도와 갑문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하굿둑 어도 및 갑문의 소상지원 시설물 형태변화에 따른 실뱀장어 채집 개체수가 현저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어, 향후 실뱀장어 회유시기에는 하굿둑 어도 및 갑문을 능동적으로 운영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정밀 하천환경조사를 위한 드론 기반의 초분광영상 촬영 및 기하보정 (Drone-based hyperspectral imaging and geometric correction for precise river environment investigation)

  • 이윤호;윤병만;김서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0년도 학술발표회
    • /
    • pp.159-159
    • /
    • 2020
  • 하천환경조사는 하천의 전반적인 특성을 조사 분석하는 것으로 하천환경 조사결과는 하천관련사업의 기초자료로 사용된다. 하천환경조사의 기초조사에서는 현장답사를 통해 하천의 특성을 대략적으로 판단하고 하천 전구간의 물리적 구조와 식생의 분포, 중요 서식처 정보를 포함하는 RCS 지도(River Corridor Survey)를 작성한다. 기초조사를 위해서는 하천 전 구간에 대한 현장답사가 필요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 비용 그리고 인력이 필요하고, 육안 또는 사진을 통한 스케치로 이루어져 조사 결과가 정성적이고 작업자의 경험이나 능력에 따라 결과가 좌우된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하천환경조사를 좀 더 간편하고 과학적이며 경제적으로 조사하기 위해 최근 드론 영상을 이용한 조사 기술 개발에 대한 연구들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드론을 이용한 하천환경조사의 대부분은 RGB 영상을 이용하기 때문에 정밀한 하천환경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사람이 감지할 수 있는 빛의 영역 뿐 아니라 자외선과 적외선 영역의 분광특성을 이용하여 하천환경의 특성을 세밀하게 분류하는 것이 가능한 초분광센서를 드론에 탑재하여 하천환경을 조사하기 위한 기초 연구들이 시작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line scan 방식의 초분광센서를 드론에 탑재하여 초분광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드론 시스템을 구성하였고, 하나의 사진과 같이 초분광영상을 제작하기 위해 다양한 기하보정 기술을 적용하여 최적의 기하보정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초분광영상의 기하보정은 각각의 초분광영상의 GCP와 대응점을 이용한 2차원 변환 방법 및 비선형 변환 방법을 적용하여 보정을 수행하였으며, 각 방법에 따른 정사보정 영상의 위치정확도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드론 기반의 초분광영상 촬영 및 기하 보정 방법을 제시하였다. 향후 하천환경조사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원격탐사에 초분광영상을 활용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석실로 본 나주 복암리 세력과 주변 지역의 동향 (The Character of Bogamni group and trends in the surrounding area seen through the stone chamber)

  • 김낙중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9권1호
    • /
    • pp.44-67
    • /
    • 2016
  • 이글에서는 최근에 영산강유역권 및 서남해 도서에서 발굴조사된 횡혈식석실을 나주 복암리 고분군의 석실과 비교하여 영산강유역 중핵지역의 유력세력인 복암리 집단의 성격과 영산강유역권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복암리 고분군에 처음 축조된 석실은 북부규슈계(北部九州系)의 영산강유형 석실이다. 그런데 최근 조사가 진전되면서 그러한 석실의 조영에 이어지는 흐름이 이미 서남해안의 연앙항로를 따라 5세기 전 중엽에 축조된 왜계 고분에서부터 보이고 있다. 즉, 백제와 왜의 통교 이후 서남해안을 통한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연안항로의 중요성과 관련하여 섬이나 해안가에 왜계 수혈식 고분이 축조되었다. 처음에는 부장품도 왜계 일색이었으나 점차 그런 고분이 축조된 지역 내에 현지의 묘 장제 요소가 가미된 고총이 등장하기 시작한다. 그중에서 대표적인 것이 당시 내해에 해당하는 영산강 하구의 바닷가에 위치한 영암 옥야리 장동 1호분이다. 그런데 이와 흡사한 매장시설을 사용한 고분이 5세기 중엽경에 나주 복암리 고분군과 인접한 곳에 축조되었다. 나주 가흥리 신흥 고분이 그것인데 이 고분의 축조에 복암리 집단이 직접적으로 관여하였는지는 밝히기 어려우나 지리적인 인접성이나 동일한 원통형토기편이 발견된 점으로 보아 밀접한 관련이 있었음은 분명하다. 신흥 고분은 영산강 본류 가까운 저평구릉의 말단이나 섬에 위치하여 5세기 전 중엽 서남해안 일대에 축조된 왜계 고분과 유사한 배경, 즉 해로 혹은 수로의 이용이나 장악과 관련하여 입지가 선정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그런데 다음 단계에는 복암리 고분군과 동일한 공동체의 구성원으로 생각되는 정촌 고분에서 영산강유형 석실이 매장시설로 사용되어 이러한 내륙수로 이용의 주도권이 복암리 집단으로 넘어갔을 것으로 여겨진다. 정촌 고분의 축조는 복암리 집단의 급격한 성장의 배경을 보여준다. 이후 복암리 집단은 복암리 3호분 '96석실을 시작으로 7세기까지 고분군을 지속적으로 조영하여 영산강유역에서 주도적인 세력으로 번성하였다. 사비기에 백제의 직접적인 지배 아래 들어간 이후에도 왜와의 밀접한 관계를 지속하며 영산강유역은 물론 서남해 항로에도 일정한 영향을 미쳤다. 그것은 신안의 여러 섬들에서 발견된 복암리유형 석실을 통해 추정할 수 있다.

하천수변조사지도 DB 구축 및 관리 시스템 개발 (Database Construction & Management System Development of River Corridor Survey Map)

  • 윤재민;강경석;지계환;오규창;김정경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005-2009
    • /
    • 2008
  • 하천수변조사는 하천수변의 물리 화학 생물학적 특성 파악과 이들의 상호 연관성 및 변화양상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 수집과정이다. 하천수변조사는 치수 및 이수기능뿐아니라 하천환경 기능을 보전, 재생 및 복원시키고자 하는 하천정비사업에 이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하천정비기본계획, 하천환경정비사업 등에서 많은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수집된 자료의 형태가 대부분 도면이나 이미지 형태로 관리되고 있어 향후에 수변의 변화 상태를 갱신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행정중심복합도시 권역내의 국가하천, 지방하천, 소하천을 대상으로 하천수변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결과의 체계적 관리를 도모하기 위하여 하천수변조사지도 DB 구축과 이를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성과는 단기적으로는 하천환경정비시 보전 및 복원 방향의 설정, 하천의 현재 상황을 파악하고 이를 공사 진행에 반영, 공사 과정 중에서 하천의 반응상태를 파악하여 사업진행이나 방식을 개선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장기적으로는 행정중심복합도시 조성 전후의 하천환경 및 생태변화상을 제공할 수 있고 자연친화적인 하천환경 관리를 위한 하천환경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 PDF

기능을 상실한 보 철거를 통한 하천생태통로 복원 -한탄강 고탄보를 대상으로- (Stream Eco-corridor Restoration by Out-aged Small Dma Remmoval - Focused on Hantan River Gotan Small Dam Removal-)

  • 안홍규;우효섭;이동섭;김영주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536-1539
    • /
    • 2008
  • 본 연구는 하천을 가로막고 있는 기능을 상실한 횡단구조물 철거를 통하여 하천 생물들이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는 생태통로를 복원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기능을 상실한 보인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한탄강 소재의 길이 190m, 높이 2.8m 규모의 고탄보를 철거하여 철거에 의한 보 상하류에서 하상변동과 하천형태 변화와 같은 물리적 영향, 수질 변화와 같은 화학적 영향, 보 상하류에서의 어류/저서동물/식생의 생태 서식처 변화와 같은 생물적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어류의 경우, 철거 이전에 보 최상류역 대조구간에서 조사된 16종이 26종으로 늘어났으며, 특히, 뱀장어, 강준치, 쏘가리와 같은 어류의 개체수가 증가되었다. 보 철거를 통하여 이동통로가 확보됨으로써 종다양도 지수가 전반적으로 상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저서무척추동물의 경우, 보 철거로 인하여 정수역었던 곳이 유수역으로 변모함에 따라 철거 전에 출현했던 잠자리와 다슬기 종류는 발견되지 않았던 반면, 철거 전에 출현되지 않았던 날도래류가 출현하는 등 출현 종에 다소의 변화를 보였다.

  • PDF

환경친화적인 도시공원녹지계획 연구 - 생물서식처 연결성 향상을 위한 서울시 녹지조성 방안을 중심으로 - (Environment Friendly Urban Open Space Planning - Enhancing the Connectivity of Habitats in Seoul, Korea -)

  • 안동만;김명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4-41
    • /
    • 2003
  • Connectivity is a quantitative indicator of landscape structure, and connectivity of urban green areas is an indicator of ecological integrity in urban landscap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ssess the connectivity of urban green areas in Seoul, and to develop a method of siting new green areas for better connectivity. Diverse methods for connectivity assessment and indices of connectivity are reviewed and applied to the connectivity assesment of green areas in Seoul. The indices of connectivity of green areas in Seoul turned out to be higher than expected, maybe because many of them are rather evenly distributed, serving as stepping stones, and because there are many riparian corridors, including the Han River. Analysis also shows the optimum location of new green space patches or corridors will be those spots that would link the mainland, or large green areas outside the city, and existing green areas in the city. Restoration of urban streams as ecological corridors will significantly enhance connectivity. Three different scenarios with increasing numbers of new green areas in the city were then prepared. The changes of connectivity were measured and the possible success rates of animal dispersal were simulated. The results revealed that restoration of streams will increase the connectivity and success rates of animal dispersal.

테트라포드 사방댐의 적용성 평가 -산청군 홍계리 지역을 대상으로- (Applicability Evaluation of Tetrapod Debris Barrier -A Case of Honggyeri Area in Sanchung County-)

  • 김기흥;박재현;마호섭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19-132
    • /
    • 2012
  • In order to connect eco-corridor and to harmonize with natural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small debris barrier. Therefore, we will evaluate applicability of small debris barrier which made of tetrapod utilized in construction of seashore protection facilities and breakwater. From result compared with the adaptation processes in fields, tetrapod were stabilized to critical tractive force. Stability evaluation method on sliding and overturn of tetrapod debris barrier was developed, and hereafter could be applied to similar debris barriers. According to results analyzed to continuity on sediment supply in debris barrier, boulders were deposited in upstream and gravels were deposited in downstream. Therefore, tetrapod debris barrier will be able to prevent in the long-term the erosion of river bed in down-stream, and the maintenance is easy because dredging is not necessary. Current were formed in between the tetrapod provided eco-corridors for fishes and shellfish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