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ver basin management

검색결과 519건 처리시간 0.026초

낙동강수계 수질오염총량관리를 위한 유량조사 평가 (Evaluation on Actual Discharge Data for TMDL in Nakdong River Basin)

  • 김경훈;김용석;박배경;윤종수;신찬기
    • 환경위생공학
    • /
    • 제23권4호
    • /
    • pp.65-71
    • /
    • 2008
  • To drive efficiently total water pollution load management, needs to calculate the exact load emissions, pollution load allocation and implementation evaluation in each unit area of watershed and accurate and regular flow of data. For these reasons, the Nakdong River TMDL Research Center has produced directly or indirectly in the average interval of eight days (30 times or more / year) 41 points for unit area of the total water pollution load management and 8-point of municipal requirement for a total of 49 branches as a flow data in 2004 from August. This acquired the survey flow is evidence of trends and changes each point in the Nakdong River based on time, such as 10 years based on average design flow available to the foundation of the summit as the major water policy is to be utilized. This study was performed on actual discharge measuring data and introduced performance results each drainage basin of Nakdong River from 2004 to 2008 over the total of past five years.

낙동강유역 침수범람에 따른 홍수터관리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Floodplain Management Plan due to Inundation of Nakdong River Basin)

  • 서규우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57-66
    • /
    • 2002
  • The local storm occurred Nakdong river basin from August 4 to 11 of the year 2002, resulting in a record 500-600mm rainfall. The heavy rain continued for more than 10 days and especially between 3 to 4 am of August 9, 50mm per hour local storm occurred in Hanrim-myun area, Kimhae. 8 days after the storm, the water level of Nakdong river rose rapidly and the river flowed backward the branches. T he draining of the protected low wetland was unable and the water level of the inner bank area rose suddenly, causing the inundation in several areas. Baeksan bank of Nam river, Gahyun(Samhak) bank of Hwang river, and Kwangam bank of Shinban river, where the draining facilities were under construction or constructed recently, were failed by the piping around the draining culvert. This study analyze the cause of the damage in Nakdong river banks and suggests the countermeasures for future improvement. The damaged spot of the river bank was surveyed, and the rainfall and the fluctuation in the water levels were reviewed. Finally for the flood inundation prevention at the inner bank area, new floodplain management plan as the protect of low wetland established.

  • PDF

RRFS에 의한 금강유역의 유출특성 (Runoff Characteristics using RRFS on Geum River Basin)

  • 맹승진;이현규;황만하;고익환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6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08-412
    • /
    • 2006
  • 본 연구는 수계별 한정된 수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기존 댐의 연계운영과 병행하여 댐 상 하류 유출을 고려한 종합적인 수자원관리방안 수립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저수기 댐 상 하류의 수계주요지점에 대한 하천 유출상황을 모의할 수 있는 수문모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강우유출 모형을 모의하기 위해서는 강우량, 유출량, 용수수요자료, 취수량 등을 입력자료로 한다. 여기에 활용되는 입력자료는 실시간 물관리 정보 시스템에 있는 DB의 자료를 사용한다. RRFS의 기반 모형은 미 공병단에서 개발한 SSARR 모형으로 하였으며 일단위 유출량을 산정하여 하천의 장단기 유출 예측을 실시한다.

  • PDF

부하지속곡선(Load Duration Curve; LDC)을 이용한 한강수계 오염총량관리 목표수질 평가방법 적용 방안 (Application of the Load Duration Curve (LDC) to Evaluate the Achievement Rate of Target Water Quality in the Han-River Watersheds)

  • 김은경;류지철;김홍태;김용석;신동석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732-738
    • /
    • 2015
  • Water quality in four major river basin in Korea was managed with Total Maximum Daily Load (TMDL) System. The unit watershed in TMDL system has been evaluated with Target Water Quality (TWQ) assessment using average water quality, without considering its volume of water quantity. As results, although unit watershed are obtained its TWQ, its allocated loads were not satisfied and vice versa. To solve these problems, a number of TWQ assessments with using Load Duration Curve (LDC) have been studied at other watershe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chievement of TWQ with Flow Duration Curve (FDC) and Load Duration Curve(LDC) at 26 unit watersheds in Han river basin. The results showed that achievement rates in TWQ assessment with current method and with LDC were 50~56 % and 69~73%, respectively. Because of increasing about 20% of achievement rates with using LDC, the number of exceeded unit watershed at Han river Basin was decreased about 4~6 unit watersheds.

GIS 및 공간통계를 활용한 낙동강 유역 수생태계의 건강성 평가 (Health Assessment of the Nakdong River Basin Aquatic Ecosystems Utilizing GIS and Spatial Statistics)

  • 조명희;심준석;이재안;장성현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74-189
    • /
    • 2015
  • 본 연구는 낙동강 유역의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지점에서 생물 및 서식환경, 수질에 대한 건강성을 조사 및 평가한 결과자료를 이용하여 공간정보로 재구축하고 공간분석기법을 활용하여 낙동강 유역의 수생태계 보전 및 복원 정책의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낙동강 유역의 수생태계 건강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250개 조사구간의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 결과자료를 각 지점별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점형 자료로 구축하였다. 그리고 공간적인 분석기법의 적용을 위해 면형 자료로 재구축 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를 위해 Kriging 보간법(ArcGIS 10.1, Geostatistical Analysis)을 활용하여 공간적 영향력 및 트랜드를 분석하였고 면형 자료로 재구축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낙동강 유역 건강성의 공간분포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Hotspot(Getis-Ord Gi, $G^*_i$)과 LISA(Local Indicator of Spatial Association), 표준편차타원체(Standard deviational ellipse) 분석을 활용하였다. Hotspot 분석 결과 생물지수(TDI, BMI, FAI)의 Hotspot 유역은 안동댐 상류, 왕피천, 임하댐 유역으로 생물지수의 건강성 등급이 양호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Coldspot 유역은 낙동강 남해, 낙동강 하구, 수영강 등의 유역으로 나타났다. LISA 분석 결과 이례지역은 가화천, 합천댐 상류, 영강 상류 유역으로 분석되었으며 이 지역은 생물 건강성 지수가 높은 유역이지만 주변 유역의 건강성이 낮아 수생태계 건강성에 대한 관리가 필요한 유역으로 분석되었다. 이화학적 요인(BOD)의 Hotspot 유역은 낙동강하류 유역과 수영강, 회야강, 낙동강남해 유역으로 나타났으며, Coldspot 유역은 안동댐, 임하댐, 영강 등 낙동강 지류의 상류 유역으로 분석되었다. 서식 및 수변환경(HRI)요인의 Hotspot과 LISA 분석결과 요인별 Hotspot과 Coldspot이 다르게 분석되었으나 일반적으로 낙동강 상류, 안동댐, 임하댐, 합천댐 유역 등 낙동강 본류와 지류의 상류 유역 서식 및 수변환경 건강성이 좋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서식 및 수변환경 요인이 Coldspot으로 나타난 유역들은 생물지수와 이화학적 요인의 건강성 지수도 낮게 나타나 서식 및 수변환경의 관리가 필요한 유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 표준편차타원체로 분석한 시계열 분석결과 생물과 서식 및 수변환경에 의한 수생태계 건강성이 좋은 지역이 점점 북쪽으로 이동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BOD 결과는 조사년도에 따라 방향과 집중도가 각각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수생태계 건강성 분석 결과는 조사지점별 건강성 관리정보뿐만 아니라 향후 공간정보 기술기반 수환경 연구와 실무연구진을 위한 집수구역 단위 수생태계를 관리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위성영상(衛星映像)과 GIS를 이용한 하천유역(河川流域)의 유역특성인자(流域特性因子) 추출(抽出)추출 관한 연구(硏究) (Study on the Selection of the Basin Characteristics Parameters in River Basin Using Satellite Images and GIS)

  • 조명희;안승섭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21-134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과 GIS를 이용하여 금호강유역(琴湖江流城)의 유역특성인자(流域特性因子) 주제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수문특성자료(水文特性資料)를 산출하였다. 토지에 대한 정량적인 정보를 제공해 주는 위성영상(衛星映像)처리를 통한 토지이용도 작성은 금호강유역(琴湖江流城)과 같이 광범위한 유역(流域)의 토지이용자료를 분석하는데 매우 효율적이며, 또한 대량의 지표자료의 정확한 분석이 가능하고 이를 다른 주제도와 중첩함으로써 공간적인 주제간의 통계적 연산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GIS를 이용한 유역특성인자(流域特性因子)의 분석은, 기본도에서 주제별로 tracing하는 과정은 효과적이지 못하나, 일단 수치화 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면 상이한 주제도와의 중첩분석과 속성자료와의 상관분석이 가능하므로, 유역(流域)관리와 유역(流域)의 지표공간 분석에 매우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지표면 변화에 대한 자료의 수정 및 갱신이 용이하며 유역(流域)에 대한 인문사회 속성자료와의 상관분석으로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유역특성자료(流城特性資料)의 추출 및 보다 효율적인 유역(流城)관리 방안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ODA사업을 통한 미계측 중소하천 유역 홍수예경보시스템 구축 (Establishment of flood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in the un-gauged small and medium watershed through ODA)

  • 고덕구;이치헌;전제복;고석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4권6호
    • /
    • pp.381-393
    • /
    • 2021
  •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의 재난안전 신기술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의 일환으로 2019년 라오스 볼리캄싸이주 남싼강유역의 보리칸을 대상으로 홍수예경보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미계측 중소하천유역인 대상 지역에 강우량와 유출량의 실시간 관측을 위한 관측소 및 경보국을 설치하였으며, 실시간 자료 관리와 홍수예경보 기능 등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도 개발되었다. 홍수경보 기준 설정 및 홍수예측을 위한 nomograph 개발을 위해 대상 지역의 30년 치 연도별 최대 일강우량자료와 하천측량성과를 바탕으로 수리·수문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논문은 시스템 구축 과정과 방법론을 소개하고, 시스템 설치 후 2020년 실시간 관측 수집된 자료들을 바탕으로 수행한 시스템의 적용성 검토 결과를 제시하였다.

2012-2016년 모니터링 자료를 이용한 낙동강 지류·지천 수질 특성 분석 (Water Quality Analysis in Nakdong River Tributaries Using 2012-2016 Monitoring Data)

  • 손영규;나승민;임태효;김상훈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680-688
    • /
    • 2017
  • Water quality monitoring for flow rates and BOD/COD/T-N/T-P/SS/TOC concentrations has been conducted in Nakdong river tributaries since 2011. In this study concentrations and loading rates of BOD, T-P, and TOC were analyzed to evaluate water quality monitoring stations using accumulated data at 206 tributary monitoring stations in Nakdong river 2012 ~ 2016. Average concentration ranges for 206 monitoring stations were 0.3 ~ 6.4 mg/L, 0.025 ~ 1.562 mg/L, and 0.6 ~ 10.7 mg/L for BOD, T-P, and TOC, respectively. Additionally, average loading rate ranges were 0.96 ~ 46,040 kg/d, 0.087 ~ 1,834 kg/d, and 1.51 ~ 80,425 kg/d for BOD, T-P, and TOC, respectively. Average concentration for BOD, T-P, and TOC at each monitoring station was evaluated using ambient water quality standards of rivers and water quality regulation level for medium-sized management areas. Average loading rate and specific loading rate (loading rate/drainage basin area) for BOD, T-P, and TOC at each monitoring station was considered to evaluate monitoring stations using suggested classification (BOD, TOC: -1, 1 ~ 10, 10 ~ 100, 100 ~ 1,000, and 1,000 ~ kg/d; T-P: -0.1. 0.1 ~ 1, 1 ~ 10, 10 ~ 100, and 100 ~ kg/d) Using results of this study, various water quality status maps were provided, and three evaluation methods were suggested to determine priority monitoring stations in Nakdong river for rational water quality control and tributaries basin management.

기후변화가 낙동강 권역의 논 관개용수 수요량에 미치는 영향 (Climate Change Impacts on Paddy Irrigation Requirement in the Nakdong River Basin)

  • 정상옥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1권2호
    • /
    • pp.35-41
    • /
    • 2009
  •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paddy irrigation requirements for Nakdong river basin in Korea have been analyzed. The HadCM3 model outputs for SRES A2 and B2 scenarios and International Water Management Institute $10'{\times}10'$ pixels observed data were used with kriging method. Maps showing the predicted spatial variations of changes in climate parameters and paddy irrigation requirements have been produced using the G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growing season temperature was projected to increase by $2.2^{\circ}C$ (2050s A2), $0.0^{\circ}C$ (2050s B2), $3.7^{\circ}C$ (2080s A2) and $2.9^{\circ}C$ (2080s B2) from the baseline (1961-1990) value of $21{\circ}C$. The average growing season rainfall was projected to increase by 15.2% (2050s A2), 24.2% (2050s B2), 41.4% (2080s A2) and 16.7% (2080s B2) from the baseline value of 900 mm. Average volumetric irrigation demands were projected to decrease by 3.7% (2050s A2), 7.0% (2050s B2), 10.2% (2080s A2) and 1.4% (2080s B2) from the baseline value of $1.25{\times}10^9\;m^3$. These results can be used for the agricultural water resources development planning in the Nakdong river basin for the future.

지속가능한 유역관리를 위한 자연지역의 시공간적 특성 분석 -일본 아라가와 유역을 대상으로- (Spatio-Temporal Analysis of Natural Area for Sustainable Watershed Management in the Ara River Basin, Japan)

  • 이승은;모리오까 토오루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461-469
    • /
    • 2006
  • As a frontier of Sustainable Basin Research Initiative, we commenced a scenario-driven planning and evaluation research project which is to identify the strategic policy scenarios. As a part of the project, this study attempts to estimate the ecological impacts of land cover changes using landscape indices at the whole basin level. We analyzed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natural area including forest, agricultural land, water area, barren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nature-friendly sustainable watershed management. The results of analysis shelved that the size and diversity of natural area have been reduced, while patch number and isolation have been increased in proportion to urbanization in 1974, 1995 and four future scenarios in the Ara River Basin. Also, we estimated that the natural area could be conserved to some degree in the SD or DE scenarios with a concept of environment-friendly development and lifestyle. Various strategic environment policies may be evaluated and designed on the basis of the method, that is, scenario approach and landscape ecological analysis suggested in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