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he Selection of the Basin Characteristics Parameters in River Basin Using Satellite Images and GIS

위성영상(衛星映像)과 GIS를 이용한 하천유역(河川流域)의 유역특성인자(流域特性因子) 추출(抽出)추출 관한 연구(硏究)

  • 조명희 (경일대학교 공과대학 측지공학과) ;
  • 안승섭 (경일대학교 공과대학 측지공학과)
  • Published : 1998.06.30

Abstract

In this study, the satellite images and the GIS technique are used to select the basin characteristics parameters as the basis of water resources management of river basin. The study area is Geum-ho river basin and the hydrologic characteristics data are computed through the database of the basin characteristics parameters classified by subjects with 35 maps correspond to the study basin of 1:25,000 scale as the basic map. As the result, the drawing up of land use map through satellite image processing that provides the quantitative informations for the land is very efficient to analysis the extensive land use information of the basin, and exact analysis of mass surface data is possible and the feasibility of statistic computation between spatial subjects as it superpose on other subject map is ascertained. It is thought also that the analysis of the basin characteristics data can be utilized very effectively for the basin management and the analysis of basin surface area, once it is expressed numerically for database, since the superposition analysis with different subject map and the correlative analysis with the property data are possible although the tracing process of each subject in the basic map is not efficient. Especially, modification and renewal of the data for the change of land surface become easy, therefore more rapid and exact selection of the basin characteristics data and the construction of more efficient basin management plan are possible.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과 GIS를 이용하여 금호강유역(琴湖江流城)의 유역특성인자(流域特性因子) 주제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수문특성자료(水文特性資料)를 산출하였다. 토지에 대한 정량적인 정보를 제공해 주는 위성영상(衛星映像)처리를 통한 토지이용도 작성은 금호강유역(琴湖江流城)과 같이 광범위한 유역(流域)의 토지이용자료를 분석하는데 매우 효율적이며, 또한 대량의 지표자료의 정확한 분석이 가능하고 이를 다른 주제도와 중첩함으로써 공간적인 주제간의 통계적 연산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GIS를 이용한 유역특성인자(流域特性因子)의 분석은, 기본도에서 주제별로 tracing하는 과정은 효과적이지 못하나, 일단 수치화 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면 상이한 주제도와의 중첩분석과 속성자료와의 상관분석이 가능하므로, 유역(流域)관리와 유역(流域)의 지표공간 분석에 매우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지표면 변화에 대한 자료의 수정 및 갱신이 용이하며 유역(流域)에 대한 인문사회 속성자료와의 상관분석으로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유역특성자료(流城特性資料)의 추출 및 보다 효율적인 유역(流城)관리 방안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