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ver Boundary

검색결과 255건 처리시간 0.028초

공간정보를 이용한 3차원 하천 경계선 매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pping 3-D River Boundary Using the Spatial Information Datasets)

  • 정윤재;박현철;조명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87-98
    • /
    • 2012
  • 하천 유역에서 하천 경계선(river boundary) 은 하천의 물길을 따라 흐르는 물과 육지의 경계를 의미한다. 하천 경계선 매핑은 하천 유역의 지형적인 변화를 탐지하고 홍수 예방을 위해서 중요하다. 하천 유역의 지표면의 불균일성과 하천 수위의 실시간 변화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하천 유역의 침식 작용 등의 요인으로 인해서 기존의 지반조사 기술은 하천 경계선을 매핑 하는데 효과적이지 않다. 공간 정보 자료는 해당 지역에 접근하지 않고도 해당 지역에 관한 지형적인 정보를 획득할 수 있어서, 하천 지형 조사 및 하천 측량 등 하천 유역의 지형연구에 굉장히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원격탐사 기술에서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공간 정보 자료들인 항공 라이다 자료(airborne LiDAR data)와 항공사진(aerial photograph) 들을 활용하여, 에지 검출기법(edge detection algorithm) 및 영상 분할 기법(image segmentation algorithm) 등의 디지털 영상 처리 기법 등의 방법을 적용하여 3차원 하천 경계선을 매핑하는 방법을 개발하였고, 주어진 기준선을 따라 결정된 점검 지점들로부터 추출된 하천 경계선까지의 수평 및 수직 거리의 절대값을 계산하여 정확도 측정을 하였을 때,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방법을 이용하여 추출된 3차원 하천 경계선은 높은 수직 및 수평 정확도를 가짐을 보여준다.

Determination of Design Flood Levels for the Tidal Reach of the Han River

  • Jun, Kyungsoo;Li, Li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173-173
    • /
    • 2015
  • The flood water level in tidal river is determined by the joint effects of flood discharge and tidal water levels at downstream boundary. Due to the variable tidal boundary conditions, the evaluated design water levels associated with a certain flood event can be significantly different. To avoid determining of design water levels just by a certain tidal boundary condition and remove the influence of variability in boundary condition from the evaluation of design water levels, a probabilistic approach is considered in this study. This study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a method to evaluate the realistic design water levels in tidal river with taking into account the combined effects of river discharge and tidal level. The flood water levels are described by the joint probability of two driving forces, river discharge and tidal water levels. The developed method is applied to determine design water levels for the tidal reach of the Han River. An unsteady flow model is used to simulate the flow in the reach. To determine design water levels associated with a certain flood event, first, possible boundary conditions are obtained by sampling starting times of tidal level time series; then for each tidal boundary condition, corresponding peak water levels along the channel are computed; and finally, design water levels are determined by computing the expectations of the peak water levels. Two types of tides which are composed by different constituents are assumed (one is composed by $M_2$, and the other one is composed by $M_2$ and $M_2$) at downstream boundary, and two flood events with different maximum flood discharges are considered in this study. It is found that (a) the computed design water levels with two assumed tides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a certain flood event, though variability of peak water levels due to the tidal effect is considerably different; (b) tidal effect can reach to the Jamsil submerged weir and the effect is obvious in the downstream reach of the Singok submerged weir; (c) in the tidally affected reach, the variability of peak water levels due to the tidal effect is greater if the maximum flood discharge is smaller.

  • PDF

ANALYSIS OF LANDUSE PATTERN OF RIVER BOUNDARY USING TIME-SERIES AERIAL IMAGE

  • Lee, Geun-Sang;Chae, Hyo-Sok;Lee, Hyun-Seok;Hwang, Eui-Ho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I
    • /
    • pp.764-767
    • /
    • 2006
  • It can be important framework data to monitor the change of land-use pattern of river boundary in design and management of river.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 of land-use pattern of Gab- and Yudeung River using time-series aerial images. To do this, we carried out radiation and geometric correction of image, and estimated land-use changes in inland and floodplain. As the analysis of inland, the ratio of residential, commercial, industrial, educational and public area, that is urbanized element, increases, but that of agricultural area shows a decline on the basis of 1990. Also, Minimum Distance Method, which is a kind of supervised classification method, is applied to extract water-body and sand bar layer in floodplain. As the analysis of land-use, the ratio of level-upped riverside land and water-body increases, but that of sand bar decreases. These time-series land use information can be important decision making data to evaluate the urbanization of river boundary, and especially it gives us goodness in river development project such as the composition of ecological habitat.

  • PDF

Analysis of urbanization factor in river boundary using aerial image

  • Lee, Geun-Sang;Lee, Hyun-Seok;Chae, Hyo-Sok;Hwang, Eui-Ho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421-425
    • /
    • 2006
  • It can be important framework data to monitor the change of land-use pattern of river boundary in design and management of river.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 of land-use pattern of Gab and Yudeung River using time-series aerial images. To do this, we carried out radiation and geometric correction of image, and estimated land-use changes in inland and floodplain. As the analysis of inland, the ratio of residential, commercial, industrial, educational and public area, that is urbanized element, increases, but that of agricultural area shows a decline on the basis of 1990. Also, Minimum Distance Method, which is a kind of supervised classification method, is applied to extract water-body and sand bar layer in floodplain. As the analysis of land-use, the ratio of level-upped riverside land and water-body increases, but that of sand bar decreases. These time-series land use information can be important decision making data to evaluate the urbanization of river boundary, and especially it gives us goodness in river development project such as the composition of ecological habitat.

영일만의 조석잔차류 거동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Tidal Residual Current in Youngil Bay)

  • 김종규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4-23
    • /
    • 2001
  • 영일만의 해수순환에 영향을 미치는 조석잔차류와 형산강 하천수의 거동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2차원 수치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수치모형실험의 결과는 기존의 관측자료들과 잘 일치하였으며, 영일만의 북쪽 달만갑 연안으로부터 포항신항을 거쳐 장기갑 연안을 따라 외해로 빠져나가는 조석잔차류 거동을 잘 재현하였다. 영일만의 잔차류에 대한 조류의 영향은 미약하며 파랑이나 바람에 의한 영향이 크지만 영일만의 전형적인 조석잔차류의 거동에 미치는 형산강 하천수의 역할은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LAHARZ_py 프로그램을 이용한 라하르 범람지역의 예측: 백두산 화산에 적용 (Prediction of Lahar Flow Inundation Areas Using LAHARZ_py Program: Application for the Mt. Baekdu Volcano)

  • 윤성효;장철우
    • 자원환경지질
    • /
    • 제50권4호
    • /
    • pp.277-286
    • /
    • 2017
  • 북한과 중국의 국경에 위치한 백두산은 전형적인 산지 지형으로 잠재적 분화 가능성이 있는 화산이다. 화산지대에서 발생하는 라하르는 인명과 재산에 큰 피해를 줄 수 있는 주요 화산 재해 중 하나이다. 백두산에서 발생할 수 있는 라하르에 의한 영향을 포괄적으로 다루기 위하여 Laharz_py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침수영역을 수치모의 하였다. 백두산의 근위위험지역경계(proximal hazard zone boundary; PHZB)를 설정하기 위하여 수치표고모델(DEM)에 추가적인 750 m의 고도를 가정하여 수치모의에 필요한 H/L비를 0.10으로 설정하였다. 수치모의를 위하여 발생 가능한 라하르의 부피를 각각 $1{\times}10^6$, $5{\times}10^6$, $1{\times}10^7$, $5{\times}10^7$, $1{\times}10^8$, $5{\times}10^8$, $1{\times}10^9m^3$으로 설정하였다. 수치모의 결과, 압록강(남쪽), 두도송화강, 금강하, 화피하(이상 서-남서쪽), 송강하, 소사하, 조자하, 삼도송강하(이상 서-북서쪽), 두도백하, 이도백하, 삼도백하(이상 북쪽), 오도백하 및 그 지류에 해당하는 3개의 하천(북동쪽), 그리고 두만강(동쪽) 등 15개의 하천이 근위위험지역경계에 위치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백두산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산 재해에 의한 피해 저감 대책수립을 위한 재해위험도를 작성함에 있어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임진정계시 '입지암류(入地暗流)'의 위치와 '토문강원(土門江源)'의 송화강 유입 여부 (A Reinvestigation on Key Issues Associated with the Yimjin(1712) Boundary Making and Demarcation: Location of 'Yipjiamlyu' and the Confluence of 'Tomungangweon' into the Sungari River)

  • 이강원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571-605
    • /
    • 2015
  •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점이 확인되었다. 첫째, 목극등 지도의 '입지암류(入地暗流)'는 지리학적으로 '복류시작지점'을 의미하며, 오늘날 대각봉 북북동의 흑석구 하도, 해발고도 약 1,840m 지점이다. 둘째, 임진정계시 '토문강원(土門江源: 두만강원)'[흑석구]은 송화강에 유입되며, 목극등과 조선측 임진정계 참여자들도 1712년 5월 17~18일경 이 사실을 알았다. 이러한 두 가지 사실에 입각하여 임진정계를 재구성하면 다음과 같다. 목극등은 정계비를 압록강 송화강 최상류 분수계 부근에 세웠다. 압록강 토문강(두만강)의 최상류 분수계를 찾는다는 그의 의도대로라면, 정계비는 대연지봉에 세웠어야 한다. 5월 12일 그는 자신이 '토문강원(두만강원)'[흑석구]이라고 간주한 하도에서 '입지암류'를 발견했으며, 이곳으로부터 하도를 따라 복류하는 물이 다시 용출하여 토문강(두만강)이 된다고 생각하고, 5월 15일 정계비를 세웠다. 그러나 5월 17~18일경 이 하도가 토문강(두만강)이 아닌 '서류하천'(송화강 지류)에 연결된다는 것을 알았다. 이에 5월 19일 그는 다시 조선측이 가리킨 두만강(토문강) 용출처로 향했으며, 도중에 물이 나오는 것('수출(水出)')을 발견하고 자신이 '토문강원(두만강원)'이라고 생각한 물줄기가 다시 용출한 것이라고 지목하였다. 정계비로부터 이어지는 물줄기가 '입지암류' 지점에서 복류하기 시작하여 '수출'에서 다시 나와 토문강(두만강)이 된다고 이해한 것이다. 그는 "정계비-'토문강원(두만강원)'-'입지암류'-'수출'-토문강(두만강) 본류"로 물이 이어진다고 생각하고, 이를 조 청 국경으로 삼았으며, 그중 "정계비-'토문강원(두만강원)'-'입지암류'-'수출'"을 따라 경계표지물을 설치할 것을 조선측에 요구하였다. 그러나 목극등 귀국 후인 8월초 조선측 경계표지물 설치 실무자들은 목극등이 지목한 '수출'이 두만강(토문강) 수계가 아니라는 점을 알게 되었다. 조선측 실무자들은 "정계비-'토문강원(두만강원)'-황화송전자 부근-'수출'"을 목극등이 설정한 경계로 이해하고 경계표지물 설치작업을 하다가, 자신들이 확인한 두만강(토문강) 용출처까지 경계표지물을 연결하였다. 조선정부도 1713년 3월 이를 추인하였고, 이후 이러한 실무자들의 견해에 따라 중간의 경계표지물 미설치 구간에 대한 공사를 진행하였다. 경계표지물 설치에 대한 목극등의 요구와 조선측의 실행 사이에는 상당한 차이가 존재한다. 조선측 실무자들이 이렇게 경계표지물을 설치한 것은 황화송전자 부근을 목극등의 '입지암류' 지점으로 이해했고, 자신들이 확인한 두만강(토문강) 용출처가 진정한 두만강(토문강) 용출처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임진정계시 조 청 모두 압록강과 두만강(토문강)을 국경으로 인식하고 정계에 임하였다. 문제는 두만강(토문강) 수계를 잘못 이해했다는 점이다. 압록강에 대한 수계 판단은 비교적 정확했으나, 두만강(토문강)에 대한 수계 판단에서 유일하게 옳았던 것은 조선측 실무자들이 발견한 두만강(토문강) 용출처였을 뿐이다.

  • PDF

고해상도 항공사진을 이용한 4대강 하천구역 내 토지이용변화 분석 - 낙동강 유역을 사례로 (Analysis of Land Use Change within Four Major River Areas Using High-Resolution Air-Photographs: The Case of the Nakdong River Basin)

  • 박수국;김진;이길재;조명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71-188
    • /
    • 2013
  • 고해상도 항공사진과 지적도를 이용하여 4대강 사업 전 후에 발생한 하천구역 내 토지이용변화와 지적정보 오류 형태를 분석하여, 국공유지 지적정리사업 시 정책적 자료로서 활용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토지이용변화가 가장 많이 일어난 낙동강 4개보를 중심으로 총 40km안쪽의 하천구역으로 선정하였다. 그 결과, 4대강 사업이 실시되었던 총 하천구역의 필지별(84.3%)과 면적별(85.5%) 국공유지 소유비율과 유사하게 필지별(79.9%)과 면적별(93.3%) 국공유지 비율이 높게 나왔으며, 지목을 기준으로 사업 전은 하천(71.6%)과 전(12.3%)이, 사업 후에는 하천은 42.7%로 크게 줄어든 대신, 체육용지를 포함한 공원지역(19.6%)과 잡종지(20.8%)가 크게 늘어났다. 또한, 사업 전 후의 필지수를 비교해 본 결과, 행정구역과 소유구분을 고려하지 않았지만, 86.7%의 감축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지적정보의 오류 유형으로는, 지적정보 누락, 지적선 중첩, 지적선 위치와 경계 오류, 미세폴리곤 발생, 지적선과 하천경계선의 불일치를 찾아 볼 수 있었다. 항공사진분석을 통한 토지이용변화 모니터링 방법은 하천구역과 같은 국공유지의 효율적인 관리방안으로 신속한 정보획득을 통한 토지이용현황파악 및 재산관리지원에 효과적으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DEVELOPMENT OF A REAL-TIME FLOOD FORECASTING SYSTEM BY HYDRAULIC FLOOD ROUTING

  • Lee, Joo-Heon;Lee, Do-Hun;Jeong, Sang-Man;Lee, Eun-Tae
    • Water Engineering Research
    • /
    • 제2권2호
    • /
    • pp.113-121
    • /
    • 200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ediction mode for a flood forecasting system in the downstream of the Nakdong river basin. Ranging from the gauging station at Jindong to the Nakdong estuary barrage, the hydraulic flood routing model(DWOPER) based on the Saint Venant equation was calibrated by comparing the calculated river stage with the observed river stages using four different flood events recorded. The upstream boundary condition was specified by the measured river stage data at Jindong station and the downstream boundary condition was given according to the tide level data observed at he Nakdong estuary barrage. The lateral inflow from tributaries were estimated by the rainfall-runoff model. In the calibration process, the optimum roughness coefficients for proper functions of channel reach and discharge were determined by minimizing the sum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observed and the computed stage. In addition, the forecasting lead time on the basis of each gauging station was determined by a numerical simulation technique. Also, we suggested a model structure for a real-time flood forecasting system and tested it on the basis of past flood events. The testing results of the developed system showed close agreement between the forecasted and observed stage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flood forecasting system we developed can improve the accuracy of flood forecasting on the Nakdong river.

  • PDF

연어(Oncorhynchus keta)의 밀양강 분포 및 소상 한계선 파악 (The Distribution and Migration Boundary Lines of Oncorhynchus keta in the Milyang River)

  • 홍동현;성기백;고의정;정은송;조현빈;주기재
    • 생태와환경
    • /
    • 제53권4호
    • /
    • pp.445-452
    • /
    • 2020
  • 본 연구는 낙동강지류인 밀양강에 소상한 연어를 대상으로 소상, 산란 분포를 최초로 파악하고 소상 한계선을 확인하였다. 2020년 10월 25일부터 11월 28일까지 확인된 개체들 중, 사체는 전장을 측정하고 암-수 구별을 하였다. 조사 결과 총 40개체의 연어를 발견하였으며 이 중 사체는 25마리, 살아있는 개체는 15마리였다. 대부분 산란장으로 판단되는 지점 인근 수변부에서 살아있는 개체와 사체가 발견되었다. 연어의 소상 한계선 파악의 경우 연어가 소상할 수 없는 형태의 보가 등장할 때까지 상류방향으로 이동하여 확인하였으며, 밀양강 본류의 경우 예림교 기준 상류 13 km, 지천인 단장천의 경우 밀양강 합류부에서부터 12 km까지 연어의 소상이 가능할 것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연어가 소상하기 위한 보의 철거 및 어도설치와 같은 하천연결성 확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며, 연어의 치어생존률을 높이기 위한 산란장 및 미소서식처 자연성 확보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