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sk-taking. openness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대학생의 개인 창의성과 자기효능감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Creativity and Self-efficacy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 이현경;이일한
    • 벤처창업연구
    • /
    • 제11권3호
    • /
    • pp.111-120
    • /
    • 2016
  • 본 연구는 대학생 개인 창의성과 자기효능감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개인 창의성은 유창성, 독창성, 도전성, 융통성, 논리성, 개방성으로 구성되었다. 전문대학교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 265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 창의성의 독창성, 도전성은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유창성, 융통성, 논리성, 개방성은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효능감은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학문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창업에서의 개인 창의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창업의지에 대한 개인 창의성의 영향요인에 대해 연구를 하였으며, 둘째, 개인 창의성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력은 개인 창의성의 특성별로 차이가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는 것이다. 실무적으로는 개인 창의성과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실습형의 체계적인 창업교육을 통해 창업의지를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PDF

시간의 가치 평가에 영향을 주는 개인차 요인의 탐색 (Exploring Individual Variables Affecting the Valuation of Time)

  • 김영일;김영준;김경일
    • 인지과학
    • /
    • 제30권1호
    • /
    • pp.51-83
    • /
    • 2019
  • 현재 얻을 수 있는 이득/손실을 참고 기다리는 것은 그 시간만큼 이득/손실을 가져다준다. 하지만 사람에 따라 지연 시간에 대한 가치를 평가하는 것에는 개인차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연 시간에 대한 가치 평가의 개인차를 탐색하기 위하여 시점 간 선택 과제에서의 판단과 위험 지각/수용, 정서, 자기조절초점, HPSP 설문, BELT과제, 주관적 시간 길이 측정 과제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시점 간 선택 과제를 수행 성과화하여 수행을 잘 한 사람과 못 한 사람, 주관적 시간의 길이를 길게 지각한 사람과 짧게 지각한 사람의 개인차 변인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시점 간 선택에서 적절하게 선택을 했던 사람들은 개방성이 높았으며, 12시간, 15일, 6개월, 5년의 길이를 더 길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점 간 선택의 수행에 미래 시간의 길이에 대한 재구성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되며, 이에 대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메이커 교육(Maker Education)을 통한 기업가정신 함양:대학교 사례연구 (Fostering Entrepreneurship by Maker Education: A Case Study in an Higher Education)

  • 강인애;김양수;윤혜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7호
    • /
    • pp.253-264
    • /
    • 2017
  • 현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능동적인 과제 선정 및 해결방안 탐구를 가능하게 하는 기업가정신을 소유한 인재가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한 교육적 대안인 메이커 교육은 문제해결을 위한 결과물 제작의 주도적 활동 과정 속에서 실패의 극복과 공유 및 개방의 사회적 가치 창조의 특성을 가지는데 이는 기업가정신과 일맥상통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메이킹 활동을 대학교육과정의 일부로 가지고와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여 메이커 교육을 통한 대학생들의 기업가정신 함양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따라서 K대학교 취업스쿨 수강생 56명 대상으로 7회기의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성찰일지, 심층면담의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로 성취욕구, 자기통제능력, 자기유능감을 포함한 자기주도성, 위험감수성향, 창의력의 기업가정신이 증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대학에서 메이커 교육의 실천 및 가치 확산을 위해서는 보조자, 촉진자로서의 교수자의 역할과 메이커스페이스처럼 자유로운 메이커활동을 뒷받침해줄 수 있는 환경조성이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