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isk-free Rate

Search Result 204,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다중표적 간암의 정위적체부방사선치료에서 무편평화여과기선질 용적변조회전치료의 유용성 평가 (A Study of 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 for stereotactic body radiation therapy in case of multi-target liver cancer using flattening filter free beam)

  • 염미숙;윤인하;홍동기;백금문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31-43
    • /
    • 2015
  • 목 적 : 정위적체부방사선치료(Stereotatic body radiation therapy, SBRT)는 원발성 종양과 전이성 종양의 치료법으로 이용되어진다. SBRT는 높은 선량을 전달하기 때문에 MU(Monitor unit)의 증가로 치료시간이 길어지고 치료계획용적(Planning Target Volume, PTV) 주변의 정상장기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치료계획이 필요하다. 특히 다중표적의 경우 SBRT를 여러 번에 나누어 치료해야하거나 선량 겹침으로 인한 고 선량 영역(Hot spot)이 생길수도 있다. 본 연구는 다중표적 간암에서 TrueBeam STx(Varian, USA)의 무편평화여과기선질(Flattening filter free, FFF) beam을 이용한 용적변조회전치료(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 VMAT)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다중표적 간암의 SBRT를 시행하는 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TrueBeam STx의 10MV FFF beam을 이용한 VMAT과 15MV 편평화여과기선질(Flattening filter, FF) beam을 이용한 입체조형치료(conformal radiotherapy, CRT)계획을 세웠다. 두 치료계획을 비교하기 위하여 선량용적히스토그램(Dose Volume Histogram, DVH)을 이용하여 치료계획용적(Planning Target Volume, PTV), 간, 십이지장, 장, 식도, 척수에 들어가는 선량을 평가하고 전체 MU 값을 비교하였다. 또한 두 치료계획의 치료시간을 비교하기 위하여 Beam on time을 평가하였다. 결 과 : PTV에 대한 처방선량지수(Conformity Index, CI), 선량균질지수(Homogeneity index, HI), 처방선량포함지수(Paddick's Conformity Index, PCI)의 평균값은 VMAT에서 각각 $1.006{\pm}0.028$, $1.098{\pm}0.016$, $1.132{\pm}0.084$, CRT에서 $1.381{\pm}0.419$ $1.136{\pm}0.042$, $1.534{\pm}0.465$로 평가되었다. 정상장기에 대한 선량은 CRT에서 VMAT 보다 약 1.8배 높은 선량으로 평가되었다. 전체 MU값은 VMAT에서 약 1.3배 높게 평가되었고 VMAT과 CRT 두 치료계획의 평균 Beam on time은 각각 6.8분, 21.3분으로 평가되었다. 결 론 : 다중표적 간암의 정위적체부방사선치료에서 FFF Beam을 이용한 VMAT을 적용하면 선량 겹침 없이 다중표적을 한 번에 치료할 수 있으며 PTV의 선량포함을 만족하면서 주위의 정상장기를 더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치료계획이 가능하다. 또한 FFF Beam의 높은 선량률(Dose rate)을 이용하여 치료시간을 단축시켜 치료 중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 PDF

C형 간염의 진단을 위한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과 효소면역측정법의 타당성 평가 (Assessment of Validity of RT-PCR and EIA for The Detection of Hepatitis C Virus Infection)

  • 손병철;전진호;박영홍;신해림;조규일;김종한;정귀옥;이종태;이채언;백낙환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8권2호
    • /
    • pp.526-541
    • /
    • 199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validity of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 compared to enzyme immunoassay(EIA) for the detection of hepatitis C virus (HCV) infection. EIA for antibody to HCV(anti-HCV) and RT-PCR for HCV was executed on the subjects from Pusan and Kyungnam area with questionnaire survey to collect some relating factors of HCV infection. As the result from 617 cases, the prevalence of HCV infection was 1.5% by EIA and 3.7% by RT-PCR(p<0.05), and the age standardized rate was 1.7% and 3.4% by EIA and RT-PCR, respectively. The prevalence of hepatitis B surface antigen(HBsAg) was 6.8% by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 and the age standardized rate was 7.7%. It was the higher in male group comparing to female group(p<0.01). Both of the prevalence of HCV and HBsAg were higher in elevated asparate aminotransferase(AST)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group than in normal AST and ALT group(p<0.01). There was no specific risk factor of HCV infection. Though the degree of agreement of EIA and RT-PCR by gamma statistics was 97.2%, i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methods(p<0.01). For the detection of HCV infection,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EIA was 66.7%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of EIA was 97.2%. This study suggests that negative result to anti-HCV by EIA didn't mean the free state of HCV infection, therefore it would be helpful that further monitoring for HCV infection by RT-PCR in the case of elevated AST and ALT and/or clinically suspected.

  • PDF

Effect of severe neonatal morbidities on long term outcome in extremely low birthweight infants

  • Koo, Kyo-Yeon;Kim, Jeong-Eun;Lee, Soon-Min;NamGung, Ran;Park, Min-Soo;Park, Kook-In;Lee, Chul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6호
    • /
    • pp.694-700
    • /
    • 2010
  • Purpose: To assess the validity of individual and combined prognostic effects of severe bronchopulmonary dysplasia (BPD), brain injury, retinopathy of prematurity (ROP), and parenteral nutrition associated cholestasis(PNAC).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medical records of 80 extremely low birthweight (ELBW) infants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of the Severance Children's Hospital, and who survived to a postmenstrual age of 36 weeks.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4 neonatal morbidities (severe BPD, severe brain injury, severe ROP, and severe PNAC) and poor outcome. Poor outcome indicated death after a postmenstrual age of 36 weeks or survival with neurosensory impairment (cerebral palsy, delayed development, hearing loss, or blindness) between 18 and 24 months of corrected age. Results: Each neonatal morbidity correlated with poor outcome on univariate analysi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odds ratios (OR) were 4.9 (95% confidence interval [CI], 1.0-22.6; $P$=0.044) for severe BPD, 13.2 (3.0-57.3; $P$<.001) for severe brain injury, 5.3 (1.6-18.1; $P$=0.007) for severe ROP, and 3.4 (0.5-22.7; $P$=0.215) for severe PNAC. Severe BPD, brain injury, and ROP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oor outcome, but not severe PNAC. By increasing the morbidity count, the rate of poor outcom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OR 5.2; 95% CI, 2.2-11.9; $P$<.001). In infants free of the above-mentioned morbidities, the rate of poor outcome was 9%, while the corresponding rates in infants with 1, 2, and more than 3 neonatal morbidities were 46%, 69%, and 100%, respectively. Conclusion: In ELBW infants 3 common neonatal mornidifies, severe BPD, brain injury and ROP, strongly predicts the risk of poor outcome.

Comparative Outcome of Thai Pediatric Osteosarcoma Treated with Two Protocols: the Role of High-Dose Methotrexate (HDMTX) in a Single Institute Experience

  • Choeyprasert, Worawut;Pakakasama, Samart;Sirachainan, Nongnuch;Songdej, Duantida;Chuansumrit, Ampaiwan;Anurathapan, Usanarat;Hongeng, Suradej;Nartthanarung, Adisak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2호
    • /
    • pp.9823-9829
    • /
    • 2014
  • Background: High-dose methotrexate (HD-MTX) is recognized as an efficient component of therapy against pediatric osteosarcoma in combination with other drugs such as cisplatin (CDP), carboplatin (CBDCA), doxorubicin (ADM), etoposide (VP-16) and ifosfamide (IFO). Objectives: To demonstrate the fea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the HD-MTX/CDP/DOX/VP-16/IFO [MTX(+)] protocol comparable to CDP/ADM/CBDCA/IFO [MTX(-)] for treating childhood osteosarcoma at Ramathibodi Hospital (1999-2014).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conducted of osteosarcoma patients aged less than 18 years treated with two chemotherapeutic regimens between 1999 and 2014. A total of 45 patients received the MTX(-) and 21 the MTX(+) protocol. Results: Overall limb-salvage and amputation rate were 12.9% and 77.7%, respectively. Kaplan-Meier analysis results for 3-year disease free survival (DFS) and overall survival (OS) regardless of treatment regimens were $43.4{\pm}6.0%$ and $53.2{\pm}6.1%$ respectively. The 3-year DFS and OS were improved significantly with the MTX(+) protocol compared to MTX(-) protocol (p=0.010 and p=0.009, log rank test) [$69.8{\pm}10.5%$, $79.8{\pm}9.1%$ for MTX(+) and $31.1{\pm}6.9%$, $42.2{\pm}7.4%$ for MTX(-) protocol, respectively]. Patients with metastatic osteosarcoma treated with the MTX(+) protocol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3-year DFS and OS than those treated with the MTX(-) protocol ($66.7{\pm}13.6%$ and $15.0{\pm}8.0%$ for 3-year DFS, p=0.010, $73.3{\pm}13.2%$ and $20{\pm}8.9%$ for 3-year OS, p=0.006, respectively). The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having inferior 3-year DFS and OS were poor histological response (tumor necrosis <90%) and treatment with the MTX(-) protocol. The multivariate analysis identified only the treatment with the MTX(-) protocol a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inferior OS with a hazard ratio (HR) of 3.53 (95% confidence interval of 1.2-10.41, p=0.022). Conclusions: Our study demonstrated the tolerability, feasibility and efficacy of the HDMTX-based regimen improving the survival rate in pediatric osteosarcoma cases, in line with reports from developed countries.

Efficacy and Survival-associated Factors with Gefitinib Combined with Cisplatin and Gemcitabine for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 Fang, Hong;Lin, Rong-Yan;Sun, Ming-Xia;Wang, Qian;Zhao, Yu-Liang;Yu, Jing-Lin;Tian, Yan;Wang, Xiao-Yu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4호
    • /
    • pp.10967-10970
    • /
    • 2015
  • Objective: To analyze the efficacy and survival associated factors of gefitinib combined with cisplatin and gemcitabine for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57 patients with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who received platinum-based chemotherapy regimens for more than 1 cycle, were treated with gefitinib combined with cisplatin and gemcitabine until disease progression. Efficacy, survival time and adverse reactions were observed. The Kaplan-Meier method was adopted for analysis of survival and Cox regression for associated influencing factors. Results: The patients were followed up until October 31, 2013, and the median follow-up time was 19 months. Of 57 patients, there were 4 (7.0%) with complete remission (CR), 8 (14.0%) with partial remission, 31 (54.4%) with stable disease, and 14 (24.6%) with disease progression. The remission rate was 21.1% and the disease control rate was 75.4%. The median progression-free survival (PFS) time and the median overall survival time were 10 months and 15.2 months. The one-year, two-year and three-year survival rates were 47.4%, 23.3% and 10.0%. Gender and pathological types were the independent risk factors influencing PFS time (P=0.028, P=0.009). Tumor pathological type and early efficacy were independent factors for the prognosis (P=0.018, P=0.000). Adverse reactions were mostly rashes of I~II degree and diarrhea and slightly increasing level of aminopherase. The skin adverse event incidence of III degree or above was 1.8% (1/57) and brain metastasis was foudn in 31.6% (18/57). Conclusions: Gefitinib combined with cisplatin andgemcitabine, is effective for patients with IIIb~IV NSCLC who received multiple cycles of chemotherapy.

대동맥근부치환술의 임상경험 (Surgical Experience of Aortic Root Replacement)

  • 김현조;안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12호
    • /
    • pp.1197-1204
    • /
    • 1997
  • 서울 대학교 병원 흉부외과에서 1981년부터 1996년 6월까지 65명의 환자에서 대동맥근부 치환술을 시행하였다. 해당 질환은 대동맥판륜 확장증이 31예(47.7%)로 가장 많은 빈도를 차지하였으며, 대동맥판륜 확장증을 동반한 Stanford type A 대동맥 박리증이 28예(43.1%), 대동맥 판막 폐쇄부전증을 동반한 상행대동맥류가 4예(6.2%), 그리고 대동맥 판막 치환술 후 재발성 심내막염에 의한 치환 판막의 열개와 Behcet씨 질환 환자에서의 대동맥 판막 치환술 후 치환 판막의 열개에 의한 판막주위 누출이 각각 1예씩 이었다. Martian증후군은 34명(52.3%)의 환자에서 동반되었다. 수술은 전형적인 Bentall 수술이 3예(4.6%), Cabrol 변형의 Bentall 수술 (Cabrol 수술)이 58예(89.2%)이었으며, 대동맥판막 보존술이 2예이었고, 2예에서 동종이식편을 이용하여 대동 맥근부 치환술이 시행되었다. 수술직후 3명의 환자가 사망(4.6%)하였으며, 수술 후 합병증은 19명(29.2%)의 환자에서 발생하였으나, 대부분 일시적인 합병증이었다. 수술직후 사망한 3명의 환자를 제외한 62명의 환자에서 평균 60.2$\pm$42.4 개월간 추적 관찰하였다. 7명의 환자(11.3%)가 추적기간 중 사 좡臼느만\ulcorner 12명의 환자 (19.4%)에서 잔여 대동맥의 동맥류성 변화가 발견되었다. 10년 생존율은 72.0$\pm$9.7%이었으며, 추후대동맥수 술의 10년 See-rate는 68.0$\pm$8.9%이었다. 다변수 분석을 통한 위험요소 분석에서 Martian 증후군, 응급 수술, 대동맥 박리증, 대동맥궁 치환술이 동반된 경우, 완전 순환정지를 시행했던 경우에서 수술 사망률 및 추후 대동맥수술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60세 이상의 고령이 만기 사망률의 위험요소로 분석되었다. 대동맥근부 치환술(주로 Cabrol 방법에 의한)은 다양한 대동맥근부 질환에 성공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대동맥판막 보존술과 동종이식 편을 이용한 치환술의 장기 결과에 대해서는 앞으로 지속적인 추적 결과가 필 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대동맥박리증 환자와 Marfan 증후군이 동반된 환자에서 잔여 대동맥의 동맥류성 변화에 대한 정기적인 추적 검사가 요구된다.

  • PDF

제1기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임파절 미세전이와 예후와의 상관관계 (Clinical Significance of Lymph Node Micrometastasis in Patients with Stage 1 Non-Small Cell Lung Cancer)

  • 최필조;노미숙;이재익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5호
    • /
    • pp.348-355
    • /
    • 2003
  • 배경: 폐암에서 임파절 전이는 가장 중요한 예후 인자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임파절에 전이 병소가 없는 제1기 비소세포 폐암의 경우에도 근치적 절제술 후 약 30∼40%의 환자가 종양의 재발이나 원격 전이로 사망하게 된다. 이것은 진단 혹은 수술 당시 이미 국소 임파절이나 다른 장기에 미세전이가 일어났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에 저자들은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한 제1기 비소세포 폐암 환자의 임파절을 면역조직화학 염색하여 임파절 미세전이를 조사하고, 미세전이 여부와 임상양상과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종격동 및 폐문부 임파절 절제술과 함께 근치적 절제술이 시행된 원발성 폐암 환자 중, 술 후 제1기 비소세포 폐암 환자로 확진된 41명으로부터 절제된 506개의 임파절을 anti-cytokeratin 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염색법을 이용하여 미세전이 여부를 조사하였다. 결과: 대상환자 총 41명 중 14명(34.1%)에서 임파절 미세전이가 발견되었으며, 미세전이 여부는 여러 임상 병리학적 요소들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평균 50개월의 추적 기간에 미세전이 양성군의 재발률은 57.1%로 음성군(37.0%)에 비해 높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22). 또한 미세전이 양성군의 5년 무병생존율은 48.2%로 64.1%인 음성군에 비해 낮은 경향을 보였지만 한계적 유의성만을 확인할 수 있었다(p=0.11). 그러나 2개 이상의 임파절에서 미세전이가 발견된 환자들의 5년 무병생존율은 25.0%로서 다른 환자들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2). 다변량 분석 결과, 제1기 비소세포 폐암 환자에 있어서 다발성 임파절 미세전이는 독립적인 재발의 예측인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28). 결론: 항cytokeratin 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통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임파절 미세전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제1기 비소세포 폐암 환자에서 임파절 미세전이가 예후에 나쁜 영향을 미침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입증하지는 못하였지만 그 경향은 밝혀 낼 수 있었고, 특히 다발성 임파절 미제전이가 재발에 영향을 주는 독립적인 예후인자임을 밝혀낼 수 있었다.

2기(T3 또는 N1) 췌장암 환자들의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성적 및 고찰 (The Outcome of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for Patients with Stage II Pancreatic Cancer (T3 or N1 Disease))

  • 김상원;김명욱;김욱환;강석윤;강승희;오영택;이선영;양주노;전미선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5권4호
    • /
    • pp.213-218
    • /
    • 2007
  • 목적: 근치적 절제술을 받고 AJCC 병기 2기(T3또는 N1)로 진단된 췌장암 환자들 중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이들을 대상으로 국소 제어율 및 생존율을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수술 후 보조적 요법으로 방사선치료 단독 내지는 동시 항암화학 방사선치료를 받은 28명의 환자들의 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모든 환자들에게서 병리 소견상 췌장 주변 조직으로의 침윤이 있거나 체장 주변 또는 후복강 내 대동맥 주변 임파절 전이가 확인되었다. 방사선치료는 수술 전 영상학적인 자료에서 침범된 종양의 위치 및 수술 변연 부위를 중심으로 $40{\sim}57.6$ Gy (중앙값 50 Gy)를 조사하였으며 병리 소견상 주변 임파절 전이가 확인된 경우엔 제 3 요추부위까지의 대동맥 주변 임파절 부위도 조사야에 포함시켰다. 동시 항암화학요법은 10명의 환자들에게서 병용되었다. 결 과: 최초의 실패 양상이 국소 재발이었던 환자는 13명(46%)였으며 이들 중에서 원격 전이가 같이 동반된 환자는 5명이었다. 호발 부위는 복강축(4명)과 대동맥 주변 임파절 부위였다. 또한 원격 전이가 최초의 실패 양상으로 나타난 환자는 국소재발이 동반된 환자들을 포함하여 72명이었다. 원격전이가 가장 흔히 나타난 곳은 간(10명)이었으며 복강전이, 폐전이 순이었다 임파절 전이가 있는 환자들은 없는 환자에 비해 원격 전이의 가능성이 높았다. (57.1%). 수술 변연 부위에 종양이 남아있는 환자들은 없는 환자들보다 국소 재발의 가능성이 높았다(57.1%). 전체 환자들의 무병 생존기간의 중앙값은 6개월이었으며 1년 및 2년 무병생존율은 각각 27.4%와8.2%였다. 전체 생존기간의 중앙값은 11개월이었고 2년, 3년 생존율은 31.5%, 15.8%였다. 결 론: 2기 췌장암 환자들은 국소 재발 및 원격 전이의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군으로 국소 제어율 및 전체 생존율의 향상을 위해서 수술 후 효과적인 방사선치료의 적극적인 시행 및 이후의 보조적인 전신 항암화학요법을 권고하여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국소적으로 진행된 자궁경부암에 대한 방사선 치료와 Cisplatin의 동시 병행요법의 치료 결과 (Concurrent Weekly Cisplatin and Radiation Therapy for High risk group of Uterine Cervical Cancer)

  • 서현숙;강승희;김주리;이응수;김용봉;박성관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0권2호
    • /
    • pp.213-217
    • /
    • 1992
  • 국소적으로 진행된 자궁경부암(종괴크기가 5 cm이상혹은 FIGO병기 III, IV) 환자에 있어 방사선 치료 단독으로 근치적치료를 시행한 경우 골반내에서 약 50$\%$까지의 높은 재발율이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이들 환자에 있어서 국소관해율 및 생존율을 증가 시키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 민감제로서 가장 효과적인 약제로 알려진 cisplatin을 방사선치료와 동시에 투여하는 방사선-화학요법을 시행하였다. 1988년 5월부터 1991년 9월까지 인제대학교 부속 서울백병원치료방사선과에서 자궁경부암으로 진단된 환자중 국소적으로 진행된(FIGO병기 III, IV, 종괴크기가 5 cm이상의 IIb) 환자로서 방사선치료와 cispiatin의 동시병행요법이 시행되었던 12명을 대 상으로 후향적 임상분석을 하였다. 12명의 환자에 대한 치료는 골반부위에 5000 cGy이상 (4980-6480 cGy)의 외부방사선치료및 1회이상의 강내치료가 시행되었고 동시에 cisplatin 50 mg을 1주 간격으로 반복투여하였다. 총 투여횟수는 $3\~7$회로 평균 5회였다. 추적기간은 $3\~53$개월 (중앙값 34개월) 이며, 연령 분포는 $26\~69$세(중앙값 54세) 였다. 병기별 분포는 IIb, III, IV가 각각 5, 3, 4명 이었다. 조직학적 분류상 편평상피세포암이 11명 이었다. 11명의 관찰대상중 완전관해는 7명 ($64\%$), 부분관해는 4명 ($35\%$)에서 이루어졌다. 7명의 완전관해중 6명이 무병상태였다. 관찰종로시의 전체국소관해율은 $73\%$로서 완전관해군은 $100\%$, 부분관해군은 $25\%$,에서 국소관해를 보였다. 병기별 생존분포를 보면 FIGO병기 IIb, III, IV에서 각각 4/4, 2/3, l/3 이었으며 5년생존율은 $61\%$이었다. 사망자는 4명으로 이중 3명은 일차적인 질병으로, 1명은 패혈증으로 사망하였다. 재발환자는 3명으로 국소재발이 1명, 원격전이가 1명, 국소재발과 원격전이가 1명 이었다. 병합치료에 의한 독성을 살펴보면 오심증상이 3명, 식욕부진이 4명, 백혈구감소증이 4명, 그리고 혈소판감소증이 1명에서 관찰되었다. 다른 1명은 치료종료후 패혈증으로 사망하였다. 그 외의 혈액적독성, 신독성의 증상을 나타낸 경우는 없어 cisplatin 추가에 의한 독성은 경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소적으로 진행된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방사선-화학요법을 동시 병행할 경우 국소관해율이 $100\%$(완전관해율이 $64\%$)이었고 골반내 재발율은 $27\%$, 이었으며 cisplatin추가로 인한 독성은 경미하였다. 이는 대조군과 비교할때 보다 나은 성적으로 예비결과이기는 하나 국소적으로 진행된 자궁경부암환자에서 방사선치료와 cisplatin 동시 병행요법이 국소관해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절제연 양성 자궁경부암의 수술후 방사선치료 (Radiotherapy Results of Carcinoma of the Cervix with Positive Resection Margin)

  • 허승재;김원동;우홍균;김대용;하성환;안용찬;김일한;박찬일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4권4호
    • /
    • pp.317-322
    • /
    • 1996
  • 목적 : 조기 자궁경부암에서 근치적 수술 후에 절제연이 양성인 환자에서 수술후 방사선치료의 역할을 알아보기 위하여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근치적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 809예 중에서 절제연이 양성인 환자 6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48예는 질 절제연 양성이었고 12예는 자궁방 절제연 양성이었다. 방사선치료는 외부조사와 함께 환자에 따라서 강내치료를 추가하였다. 추적 관찰 기간의 중앙값은 55개월이었다. 결과 : 전체 환자 60예의 무병생존율과 생존율은 5년에 각각 $75.2\%$, $84.1\%$였다. 질 절제연 양성인 환자 48예에 있어서는 강내치료를 추가한 43예 중 9예가 재발했고($21\%$), 외부조사만 시행한 환자 5예 중 2예가 재발했다($40\%$). 자궁방 절제연 양성이었던 12예의 환자에서는 3예의 원격전이가 관찰되었다. 모든 환자 중 19예에서 치료에 의한 후유증을 보였으며($30\%$), III도의 심한 후유증은 3예($5\%$)에서 관찰되었다. 예후인자의 분석에서는 림프절 전이 여부만이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유일한 예후인자로 분석되었다. 결론 : 절제연이 양성인 조기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수술후 방사선치료로 $93\%$의 높은 국소제어율을 얻을 수 있었다. 절제연이 양성인 경우에 수술후 방사선치료는 필수적이며, 질 절제연이 양성인 경우에는 강내치료를 추가해야 할 것이며, 생존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원격전이에 대해서 보다 효과적인 항암 화학요법 등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