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sk-based Disaster Management

검색결과 240건 처리시간 0.023초

Distribution and Application of Community-based Disaster Risk Information : Lessons from Shiga Prefecture in Japan

  • Choi, Choongik;Choi, Junho
    • 유통과학연구
    • /
    • 제16권6호
    • /
    • pp.15-23
    • /
    • 2018
  • Purpose -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distribution and application of community-based disaster risk information and employ a case study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o make som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disaster management in the futur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research has basically adopted an idiographic approaches to examine the basic policy of integrated flood risk management of Shiga prefecture in Japan. The methodology is based on a retrospective analysis, which starts from critical events and traces backwards processes to find out what goes well or wrong.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paper support that the multiple stakeholders in a community have to share and distribute disaster risk information in the proper time. The distribution and application of community-based disaster risk information cannot be overemphasized in that the local communities are culturally rich in traditional flood management knowledge, have voluntary organizations and have enjoyed mutual support and human network to cope with floods. Conclusions - The study results also imply that local residents of the community will be abe to have an important role in coping with natural disasters, which involves more proactive actions than passive actions for the enhancement of disaster management.

BCMS의 위험평가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BCMS Risk Assessment on Business Performance)

  • 장근영;김덕호;정종수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81-96
    • /
    • 2021
  • 연구목적: 공급체인관리에서 다룬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요인을 분석하여 비즈니스 연속성 관리시스템(BCMS)의 위험평가와 위험관리 요인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BCMS의 위험요인을 도출하고 예측 불가능한 위험을 평가함으로써 체계적인 위험관리 방안을 구축함과 동시에 기업이 업무중단 없이 경쟁우위를 선점하도록 기여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BCMS의 위험평가, 위험관리, 경영성과의 구조적 관계를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서 124명의 우리나라 기업에 종사하는 책임자, 관리자를 상대로 설문을 조사하였다. 빈도분석, 타당성분석, 신뢰성분석, 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위험평가는 위험관리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위험관리는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위험평가는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결론: 기업의 경영성과는 BCMS의 위험평가와 위험관리 역량은 재무적 성과를 통해서 관리하고 위험관리 활동은 비재무적 성과를 통해서 관리해야할 것이다.

재해경감활동계획 수립에 위험 시나리오 도출을 위한 STPA기법 도입 (Introduction of the STPA Mechanism to Derivation of Risk Scenarios for Establishment of Disaster Reduction Activity Plans)

  • 김상덕;이석형;김창수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784-795
    • /
    • 2020
  • 연구목적: 본 연구는 기업재난관리표준에 규정하고 있는 위험평가 절차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기업재난관리표준에 정하고 있는 위험평가 단계별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A'기관과 협력사의 적용사례를 검토하였으며 요구사항에 맞는 위험평가 절차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기업재난관리표준의 요구사항인 위험 시나리오 도출 방법과 절차에 대하여 명확히 정의하고, 위험 시나리오 도출을 위한 표준화된 절차 도입이 필요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결론:발전 연료수급업무에 대하여 시스템 이론에 기반한 STPA 기법을 적용하여 위험 시나리오를 도출하는 방법을 구현하였으며, 모든분야의 핵심업무에 대한 위험 시나리오 도출에 적용할 수 있도록, STPA 기법을 재해경감활동계획 수립을 위한 위험 시나리오 도출 기법으로 기업재난관리표준에 반영할 것을 제시하였다.

확률.통계적 리스크분석을 활용한 인적재난 위험평가 기법 제안 (Probabilistic Risk Evaluation Method for Human-induced Disaster by Risk Curve Analysis)

  • 박소순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9권6호
    • /
    • pp.57-68
    • /
    • 2009
  • 최근 인적재난 발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유연한 대처를 위해 확률 통계적 재난위험성 평가 및 위험관리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고조되고 있어 관련기술을 인적재난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재난위험성 평가 기법의 실효성, 경제성 및 지속가능한 시스템 구현을 위한 선제조건을 검토하였다. 이로부터 재난의 피해규모-발생확률 분포함수의 이론적 검토를 통해 확률 통계적인 재난위험 지표를 도출하고 재난안전(위험)도 평가에 활용함으로서 보다 간편한 정량적 재난위험도 평가기법을 개발하였기에 이를 소개한다. 또한 이를 활용하여 우리나라와 일본의 확률 통계적인 화재 안전유지 성능을 비교 분석하고 그 결과를 안전지수로 제시하였다. 향후 기존의 재난위험 평가기술과 융화 발전시켜 국내실정에 맞는 미래 재난 추정 및 예측 모델의 최적화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지속적인 위험도 분석결과에 기반을 둔 합리적인 통합재난관리 방안 마련이 가능 할 것으로 기대된다.

홍수피해저감지수(FDRRI) 개발 및 시범적용 (Development and the Application of Flood Disaster Risk Reduction Index)

  • 문승록;양승만;최선화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4-69
    • /
    • 2014
  • Community-based disaster preparedness approaches are increasingly important elements of vulnerability reduction and disaster strategies. They are associated with a policy trend that values the knowledge and capacities of local people. In this research, we describe the community diagnosis method and develop Flood Disaster Risk Reduction Index(FDRRI) for assessment of flood vulnerability. FDRRI is composed of four indicators such as Flood Exposure Indicator(FEI), Sensitivity Indicator(SI), Risk Reduction Indicator(RRI), and Community Preparedness Indicator(CPI). We anticipate to present the guideline for selection national preparedness projects and uplift community's preparedness capacity.

격자 기반 침수위험지도 작성을 위한 기계학습 모델별 성능 비교 연구 - 2016 태풍 차바 사례를 중심으로 - (Performance Comparison of Machine Learning Models for Grid-Based Flood Risk Mapping - Focusing on the Case of Typhoon Chaba in 2016 -)

  • 한지혜;곽창재;김구윤;이미란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9권5_2호
    • /
    • pp.771-783
    • /
    • 2023
  •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each machine learning model for preparing a grid-based disaster risk map related to flooding in Jung-gu, Ulsan, for Typhoon Chaba which occurred in 2016. Dynamic data such as rainfall and river height, and static data such as building, population, and land cover data were used to conduct a risk analysis of flooding disasters. The data were constructed as 10 m-sized grid data based on the national point number, and a sample dataset was constructed using the risk value calculated for each grid as a dependent variable and the value of five influencing factors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e total number of sample datasets is 15,910, and the training, verification, and test datasets are randomly extracted at a 6:2:2 ratio to build a machine-learning model. Machine learning used random forest (RF), support vector machine (SVM), and k-nearest neighbor (KNN) techniques, and prediction accuracy by the model was found to be excellent in the order of SVM (91.05%), RF (83.08%), and KNN (76.52%). As a result of deriving the priority of influencing factors through the RF model, it was confirmed that rainfall and river water levels greatly influenced the risk.

설문을 활용한 지역사회 홍수 대비능력 진단 (Diagnosis of Flood Preparedness in Community Using Questionnaires)

  • 문승록;양승만;최선화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82-88
    • /
    • 2014
  • Recently, the concepts of community adaptation and ability to restore have been emphasized in order to evaluate disaster vulnerability and risk exposure level. In particular, the concept of disaster management that voluntarily takes measures prior to disaster situations has been introduced based on participatory disaster management that the community should take responsibility for one's own safety. This study diagnosed the community response capability on four model areas such as Goseong-gun and Gimhae-si, Gyeongsangnam-do and Gimcheon-si and Bonghwa-gun, Gyeongsangbuk-do and represented the Community Preparedness Indicator(CPI) for each region as a result.

동해안 산불피해 사례기반 격자체계를 활용한 산불위험분석 (Forest Fire Risk Analysis Using a Grid System Based on Cases of Wildfire Damage in the East Coast of Korean Peninsula)

  • 김구윤;이미란;곽창재;한지혜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9권5_2호
    • /
    • pp.785-798
    • /
    • 2023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산불 발생이 빈번해지고 있으며, 산불의 크기도 대형화가 되고 있다. 우리나라 산불은 매년 100 ha 이상 산불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최근 5년간 강원도에서 발생한 대형산불의 90%는 동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동해안 지역은 건조한 대기, 양간지풍 등 산불에 취약한 기후와 침엽수림의 산림 조건을 지니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산불 발생 위험성 예측, 산불 위험도 산정 등 다양한 산불 분석과 관련된 연구들이 추진되고 있다. 기상 및 산림 관련 인자를 고려하여 산림지역에 대한 위험 분석에 관련된 연구는 많이 추진되고 있으나, 산림 인접 지역을 대상으로 위험도 분석을 수행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산림 인접 지역에 대한 관리는 인명과 재산 보호를 위해 중요한 일이다. 산림 인접한 주택 및 시설물들은 산불에 의해 큰 위협을 받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지점번호를 활용하여 산림 인근 지역에서 영향을 받는 인자들을 활용하여 격자기반 산불 관련 재난위험지도를 작성하고 강릉 산불 사례 기반으로 산림 지역과 산림 인접 지역을 대상으로 위험등급 차이를 비교하였다.

스마트 폰(Smart-Phone)기반의 재난 감시 및 상황전달시스템 프레임워크(Framework)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ramework Construction of Disaster Monitoring and Transmitting System based on Smart-Phone)

  • 정덕훈;민금영;안창근;이훈석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31-42
    • /
    • 2011
  • Smart-Phones are utilized in disaster management field because it can deliver disaster information to large population simultaneously and quickly, and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through situation-based service using the LBS(Location Based Service). To study on the utilization of smart phone for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and dissemination method, this study suggest a framework which connects smart phone by loading application for reporting disaster. The disaster monitoring and situation dissemination system framework using smart phone is composed of 4 parts. First, smart phone application enters image, video, voice and text information and location of the disaster. Second, the disaster report reception and situation dissemination server receives the information, save in the DB, and send through smart phone SMS. Third, store into disaster information database. Fourth, display the disaster report and management information on 2D GIS, support the decision making process in deciding whether to manage as disaster, and disaster management web service which disseminates situation.

교차검증과 SVM을 이용한 도시침수 위험기준 추정 알고리즘 적용성 검토 (Applicability study on urban flooding risk criteria estimation algorithm using cross-validation and SVM)

  • 이한승;조재웅;강호선;황정근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2권12호
    • /
    • pp.963-973
    • /
    • 2019
  • 본 연구는 도시침수 위험기준이 산정되지 않은 지역의 예·경보 기준을 예측하기 위해 유역특성 자료와 피해이력 기반으로 산정된 한계강우량을 활용하여 도시침수 위험기준을 추정하는 모델을 검토하였다. 위험기준 추정모델은 머신러닝 알고리즘의 하나인 Support Vector Machine을 이용하여 설계하였으며, 학습자료는 지역별 한계강우량과 유역특성으로 구성하였다. 학습자료는 정규화 한 후 SVM 알고리즘에 적용하였으며, SVM에 적용시 Leave-One-Out과 K-fold 교차검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절대평균오차와 표준편차를 계산한 후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Leave-One-Out의 경우 표준편차가 작은 모델이 최적모델로 선정되었으며, K-fold의 경우 fold의 개수가 적은 모델이 선정되었다. 선정된 모델의 지속시간별 평균 정확도는 80% 이상으로 나타나 침수 위험기준 추정을 위해 SVM을 활용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