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pening Duration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33초

Effects of Ripening Duration and Rosemary Powder Addition on Salchichon Modified Sausage Quality

  • Jung, Jong-Hyun;Shim, Kwan-Seob;Shin, Daekeu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5호
    • /
    • pp.671-676
    • /
    • 2015
  • The ripening durations and ingredients for the Salchichon sausages were modified to increase pork rear leg consumption by Korean consumers. The salchichon, a ripened pork sausage, was produc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wo different ripening durations with and without rosemary powder on salchichon sausage quality, and the treatments were: i) 45 days of ripening without rosemary, ii) 60 days of ripening without rosemary, iii) 45 days of ripening with 0.05% rosemary, and iv) 60 days of ripening with 0.05% rosemar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both moisture and fat content for ripening durations, with the highest moisture and least fat content observed in salchichon modified sausage (SMS) ripened for 45 days. Ripening duration and rosemary addition appeared to influence water activity ($a_w$) of salchichon sausages. The $a_w$ of SMS ripened for 45 days was 0.80, whereas the other had $a_w$ values <0.80. Lactic acid bacteria were predominant, as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red pepper paste was added to sausages; however, the Bacillus cereus population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rosemary powder addition. Chewiness and gumminess decreased significantly due to the addition of rosemary powder compared to SMS without rosemary powder, and both 45 days of ripening and rosemary powder addition influenced the hardness of SMS. In conclusion, ripening duration of SMS for 45 days in the presence of rosemary powder provided superior SMS quality with an economical ripening duration compared to that of ripening with rosemary powder or ripening for 60 days.

Effects of Ripening Conditions on the 'Lomo embuchado' Sausage Quality

  • Choe, Ho Sung;Shim, Kwanseob;Jung, Jong Hyun;Chung, Yi Hyung;Shin, Daekeu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33-338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wo different ripening durations, with, or without adding rosemary powder, on Lomo embuchado (LEO) sausage quality. All LEOs were ripened for two different durations, 45 or 60 d, with, or without the addition of rosemary powder, as follows: 1) LEO ripened for 45 d (LER45), 2) LEO ripened for 60 d (LER60), 3) rosemary LEO ripened for 45 d (RLE45), and 4) rosemary LEO ripened for 60 d (RLE60).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both moisture and ash content, with higher moisture and less ash content in LER45 (p<0.05). No trend was shown in the crude protein content of the four different treatments, but significantly low protein content was shown only in RLE45 (p<0.05). Ripening for 45 d improved the lightness, yellowness, and water activity of LEOs (p<0.05). However, ripening duration together with rosemary powder addition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redness (p>0.05). The LER45 generated significantly improved chewiness, gumminess, and hardness, as compared to both LER60 and RLE60 (p<0.05). In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ripening for 45 d seems to enhance LEO quality, but that rosemary powder addition may not be required to develop good LEO quality.

수도재배법의 차이가 Japonica 및 Tongil 형 품종의 등숙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ultural Practices on Ripening Characteristics of Japonica and Tongil Type in Rice (Oryza sativa L.))

  • 권규칠;박성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98-308
    • /
    • 1988
  • 수도의 재배방법을 달리 하였을때 등숙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구명하고자 1900년부터 1982년까지 재배되어온 장려품종중에서 10년대별로 3품종씩 총 32품종을 1930년대의 소비만식재배와 현재의 표준재배법으로 재배하여 등숙특성에 대한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재배법간의 이앙기차는 15일 이었으나 출수기차는, 5일 이었으며 이삭추출기간이 전품종 모두 5∼10일 사이에 있었는데, 조생종은 5일 전후이고, 중생종은 6∼7일, 만생종은 7∼10일로 길었다. 2. 이앙기로부터 유효등숙기까지의 일수는 소비만식 재배에서 99.8일 , 보비적식재배에서는 106.2일로 6.4일이 길었으나 출수기로부터 유효등숙기까지의 일수는 소비만식재배에서는 30.2일로 1.2일이 짧았다. 3. 출수기로부터 생리적 성숙기까지의 일수는 소비만식 재배에서 36.1일, 보비적식 재배에서는 33.6일로 2.5일이 빨랐고, 품종별로는 보비적식재배에서 Tongil 형 품종이 31.7일로 Japonica형 품종 34.1일보다, 2.4일이 빨랐으며, 소비만식재배에서도 같은 경향으로 Tongil 형 품종들이 2.5일 빨랐다. 4. 등숙속도는 출수후 5∼15일 사이에 천립중의 일당 증가량이 847.8mg에서 1130mg으로 가장 왕성하였고, 품종별로 보면 Japonica형 품종들은 출수후 5일 경부터 완만하게 증가하기 시작하여 35일경까지 200mg 이상 유지되고 있으나 Tongil 형 품종들은 출수후 30일경에는 급격히 감소되었다. 5. 기상요인(온도, 일사량)과 등숙속도와는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고, 유효등숙기 및 생리적 성숙기간에는 부의 상관관계를 보여 기온이 높을수록 일사량이 않을수록, 생리적 성숙기에 도달하는 기간이 단축되었다.

  • PDF

벼 품종의 잎집무늬마름병 저항성연구 III. 접종균주에 따른 품종저항성의 변이 (Studies on Varietal Resistance to Sheath Blight Disease in Rice III. Variation of Varietal Resistance by Inoculating Different Fungus Isolates)

  • 김광호;권중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09-314
    • /
    • 1988
  • 벼 품종의 잎짚무늬마름병에 대한 저항성정도가 접종균주에 따라서 어떻게 변하는 가를 알기 위하여 국내에서 수집한 R. solani 균주와 저항성정도가 다른 품종을 이용하여 1986∼'87년 2년간에 걸쳐 실험을 수행하였다. 1986년에는 벼 9개품종에 배양특성이 다른 7균주를 접종했고 1987년에는 벼 10품종에 배양특성이 다르거나 동일 배양형이지만 수집 지역이 달랐던 12균주를 성묘기에 접종시켜 발병을 유도하였으며 각 품종의 출수기와 출수 25일후에 피해도를 조사하였다. 1. 배양특성이 다른 접종균주간에 공시품종 후 평균 피해도의 차이가 있었고 배양 특성은 같으나 수집지역이 달랐던 균주간에도 평균피해도의 차이가 인정되었다. 2 품종간에 접종균주 평균피해도의 차이가 뚜렷하였는데 피해도가 낮았던 품종 중에는 접종균주에 따른 피해도의 변이계수가 큰 품종도 있었다. 3. 공시품종들의 피해도는 접종균주에 따라서 수치상의 변이를 보였지만 품종과 균주간의 상호작용은 인정되지 않았다. 따라서 발병이 적게되는 품종은 어떤 균주를 접종해도 피해도가 낮은 편에 속했고 발병이 잘 되는 품종은 항상 피해도가 높은 편에 속했다. 4. 공시품종 중 가야벼, K3 및 칠성벼는 접종한 모든 균주에 대하여 안정적인 저항성반응을 보였다.

  • PDF

후숙조건에 따른 단호박 '보짱'의 품질특성 (Effect of Ripening Conditions on Quality of Winter Squash 'Bochang')

  • 박도수;시멜레스;현재영;권혜순;정천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42-146
    • /
    • 2016
  • 본 연구는 단호박 유통을 위한 최적 후숙 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가용성고형물 함량은 수확 직후 $6.0^{\circ}Bx$에서 후숙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후숙 온도가 높을수록 가용성 고형물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과피 및 과육의 색차변화는 Hunter 'b'값을 측정한 결과 과피는 수확 직후 2.42에서 후숙기간 동안 증가하여 후숙 18일 $25^{\circ}C$ 조건은 6.91, $30^{\circ}C$ 조건은 7.56으로 나타났다. $35^{\circ}C$의 경우 후숙 9일 7.79로 과피 황화현상이 발생하여 외관품질이 저하되었다. 녹말함량은 후숙 온도가 높을수록 낮은 함량을 보였다. 자당 함량은 후숙 기간이 길어질수록 모든 온도조건에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25^{\circ}C$ 조건에서는 18-21일, $30^{\circ}C$는 12-15일간 후숙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The Impact of Ripening Time on Technological Quality Traits, Chemical Change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Dry-cured Loin

  • Seong, Pil Nam;Park, Kyoung Mi;Kang, Geun Ho;Cho, Soo Hyun;Park, Beom Young;Ba, Hoa Va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5호
    • /
    • pp.677-685
    • /
    • 2015
  • The effect of ripening time on the technological quality traits, fatty acid composition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dry-cured loin was studied. Pork loins (n = 102) at 24 h post-mortem were used to produce dry-cured loins. The dry-cured loins were assessed at 30, 60, and 90 days of ripening for the aforementioned characteristics. Our results showed that the water activity ($a_w$) decreased (p<0.05) up to 60 days and did not change thereafter. The lipid oxidation and weight loss levels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with increased ripening time. The Commission Internationale de l'Eclairage (CIE) $L^*$ decreased for 90 days while CIE $a^*$ increased for 60 days and did not increase thereafter. More noticeably, the levels of most of unsaturated fatty acids and total polyunsaturated fatty acids significantly decreased as increasing ripening time up to 90 days. The 30 days-ripened loins had lower (p<0.05) color,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scores than the loins ripened for 60 and 90 days, however, no differences in sensory traits occurred between the 60 and 90 day-ripened samples.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in the present study, it is suggested that the ripening duration between 30 and 60 days could be more appropriate for producing dry-cured loin product with higher quality and economic benefits.

Rennin 및 Starter의 첨가(添加)가 대두(大豆)치즈의 제조(製造) 및 숙성(熟成)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Rennin and/or Starter Addition on the Manufacture and Ripening of Soybean Cheeses)

  • 정재홍;최우영
    • 농업과학연구
    • /
    • 제7권2호
    • /
    • pp.190-201
    • /
    • 1980
  • 대두(大豆) 추출물(抽出物)로부터 대두(大豆)치즈를 제조(製造)하기 위한 최적(最適) 조건(條件)을 검토(檢討)하기 위하여 대두(大豆) 단백질(蛋白質)의 추출(抽出), 응고(凝固) 및 starter의 비교(比較) 시험(試驗) 등(等)을 수행(修行)하였고, 제품(製品)의 기호성(嗜好性) 향상(向上)을 위하여 skim milk와 미생물원(微生物原) 및 송아지원(原)의 rennin을 첨가(添加)한 경우, 숙성(熟成)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하여 실험(實驗)하였다. 1. 대두추출(大豆抽出)의 최적조건(最適條件)은 고형물(固形物) 및 단백질(蛋白質) 추출율(抽出率), curd의 수율(收率) 등을 고려(考慮)하여 가수량(加水量) 9배(倍), 추출온도(抽出溫度) $100^{\circ}C$, 추출기간(抽出時間) 10분(分)이었다. 2. 두유(豆乳)의 응고(凝固)를 위하여는 응고제(凝固劑)로서 sodium gluconate가 좋았고 젖산 발효(醱酵)에 의한(依)한 방법(方法)으로 S. thermophilus의 starter 5%의 접종(接種)이 가장 좋았다. 3. 대두(大豆)치즈의 제조(製造) 및 숙성과정(熟成過程)에 미치는 skim milk 및 rennin 첨가(添加)의 영향(影響)은 (1) curd의 형성시간(形成時間)은 rennin을 첨가(添加)하였을때 단축(短縮)되었으며, skim milk와 rennin을 병용(竝用)하였을 때 현저히 단축(短縮)되었고, 공시(供試)한 두 개(個)의 rennin 중(中)에서는 미생물원(微生物原)의 rennet가 송아지원(原)의 것보다 형성(形成)이 늦었다. (2) 수분함량(水分含量)의 변화(變化)에는 큰 영향(影響)을 주지 못하였으며, 제품(製品)의 수분함량(水分含量)은 미생물(微生物) rennet를 첨가(添加)하여 제조(製造)한 치즈에서 높았다. (3) pH의 변화(變化)는 숙성초기(熟成初期)까지 급격(急激)히 저하(低下)되었고 그 이후(以後)에는 저하경향(低下傾向)이 완만(緩慢)하였으며, 미생물(微生物) rennet 첨가(添加)치즈에서 전기간(全期間)을 통(通)하여 낮은 수준(水準)의 pH를 유지(維持)하였다. (4) 세균수(細菌數)는 제조과정중(製造過程中) $10^8cells/g$의 수준(水準)으로 증가(增加)한 다음 숙성기간(熟成期間)에 계속(繼續) 감소(減少)하였고 skim milk를 첨가(添加)하여 제조(製造)한 치즈에서 월등(越等)히 높은 수준(水準)의 세균수(細菌數)가 측정(測定)되었다. (5) 숙성기간중(熟成期間中) 총질소(總窒素)의 함량(含量)은 변화(變化)되지 않았으나 가용성(可溶性) 질소(窒素)는 계속(繼續) 증가(增加)되었으며 이에 따라서 숙성률(熟成率)을 계산(計算)하면 skim milk를 첨가(添加)하여 제조(製造)한 치즈에서 또 rennin 첨가(添加)의 것에서 숙성률(熟成率)이 높았고 미생물원(微生物原)의 rennet 첨가(添加)에서 송아지원(原)의 것보다 높은 숙성률(熟成率)을 보임으로서 skim milk와 미생물(微生物) rennet 첨가(添加) 치즈에서 가장 높은 55%의 숙성률(熟成率)을 나타내었다.

  • PDF

알코올 농도가 매실 리큐르의 제조 중 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lcohol Concentration on Quality Changes of Maesil (Prunus mume) Liqueur during Leaching and Ripening)

  • 이신호;박나영;채명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552-556
    • /
    • 2007
  • 매실리큐르 제조시 사용되는 알코올 농도에 따른 숙성 중 매실 리큐르의 품질 변화를 비교 검토하였다. 산도의 경우, 알코올 농도 30%, 45% 처리구는 숙성 2개월까지는 농도에 관계없이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그 이후 뚜렷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pH와 색상은 알코올 농도가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환원당 함량은 담금액의 알코올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숙성 중 polyphenol 함량은 알코올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각 처리구별 30%와 45% 처리구의 경우 숙성 3개월째 각각 630.6, 686.1 ppm 60% 처리구는 숙성 4개월째 791.1 ppm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담금액중의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 maltose가 검출되었으며, 알코올 농도에 관계없이 sucrose와 maltose에 비해 fructose와 glucose의 함량이 높았다. 매실 리큐르 숙성 중 총 유기산 함량은 알코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알코올 농도와 관계없이 citric, lactic, malic, succinic 및 acetic acid순으로 검출되었다. 고 알코올 매실리큐르의 제조용 주정의 농도는 45%가 적절할 것으로 판단되며, 숙성기간은 2개월이 가장 적절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보리 등숙기 고온에 따른 전분합성 및 동화산물 전류 특성 변화 (Changes in Starch Synthesis and the Characteristics of Photosynthate Translocation at High Temperature during the Ripening Stage in Barley)

  • 이현석;황운하;김대욱;정재혁;안승현;백정선;정한용;윤종탁;이건휘;최경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2권2호
    • /
    • pp.124-133
    • /
    • 2017
  • 등숙기 고온에 따른 전분합성 및 동화산물 전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등숙기 평균온도가 약 $3^{\circ}C$ 상승함에 따라 등숙기간은 약 5일정도 단축되었으며, 천립중이 약 4.2 g 정도 감소하였고, 전분함량이 감소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단백질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2. 등숙기 고온($+3^{\circ}C$)에 따라 전분합성 최대속도는 약 11%정도 증가하였지만, 전분합성속도가 최대가 되는 시점은 약 3일, 전분합성 완료 시점은 약 4일정도 앞당겨지는 경향을 보였다. 3. 전분합성 각 단계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양상은 앞에서의 전분합성과 마찬가지로 고온처리에서 초기 발현량이 증가하였지만, 발현 지속정도가 빠르게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soluble starch synthase의 감소가 두드러졌다. 4. 동화산물의 이삭분배 속도는 전분합성속도와 마찬가지로 고온처리구에서 증가하였지만, 줄기 및 지엽에서의 분배비율은 고온처리구에서 급격하게 감소한 결과를 보아 동화산물의 전류속도가 고온처리구에서 빨라진 것으로 생각된다. 5. 엽신의 노화속도(Nr)는 온도가 상승할수록 크게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노화속도가 등숙이 거의 완료된 이후에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고온에 따른 등숙기간의 단축은 엽신의 노화 기간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Association of Grain Filling Duration and Leaf Activity with the Grain Yield in Field-Grown Temperate Japonica Rice

  • Yang, Woonho;Kang, Shingu;Park, Jeong-Hwa;Kim, Sukjin;Choi, Jong-Seo;Heu, Sunggi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3권2호
    • /
    • pp.120-130
    • /
    • 2018
  • Improvement in rice grain yield has been approached by means of genetic amendment, cultural management, and environmental adaptation. Subjecting the plant during the grain filling period to an appropriate environment plays a key role in achieving a high grain yield in temperate rice. Field experiments were conducted for two consecutive years with two planting times to assess the relations among grain filling traits, loss of leaf activity during the ripening period, and the grain yield of temperate japonica rice with wide environmental variation. Higher grain yields were attained in 2017 than in 2016 and with late planting than with early planting. The high grain yield accompanied a comparatively lesser increase in grain weight at the early filling stage but more gain in grain weight occurred during the late filling stage. Final grain weight correlated positively with grain filling duration but negatively with grain filling rate. Extended grain filling duration was associated with higher cumulative temperature and cumulative solar radiation for an effective grain filling period. The reduction in SPAD value ${\times}$ leaf dry weight from heading to harves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final grain dry weight in a positive manner. No significant relation was found between grain filling duration and the decrease in SPAD value ${\times}$ leaf dry weight during the grain filling period. The results suggest that grain filling duration and loss of leaf activity during ripening independently contribute to environmentally induced yield improvement in temperate japonica r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