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ght-side heart failure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초

관통성 손상에 의한 심장내 이물 - 수술 치험 1례 - (Intracardiac Foreign Body by Penetrating Cardiac Injury)

  • 정진용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3권5호
    • /
    • pp.929-935
    • /
    • 1990
  • Violence in our society, combined with improving transport system, resulted in increased numbers of patients with cardiac wounds reaching the hospital alive. Most patients with penetrating cardiac injury, rather than blunt injury, present with a syndrome of either hemorrhagic shock or cardiac tamponade. And they should be operated upon as soon as possible. Often the atrioventricular valves and other important cardiac structures are also damaged by the penetrating instruments or missile. Both intracardiac communications and atrioventricular fistulas may result in significant left-to-right shunts accompanied by congestive heart failure, necessitating surgical correction. Usually, retained cardiac foreign bodies, which are almost always bullets or fragments of missiles, may lie within a cardiac chamber or in the myocardium. Emboli of bullets or other missiles from distant sites to the right side of the heart are numerous enough to require attention. Recently we experienced a case with intracardiac foreign body due to penetrating cardiac injury. A 19 year-old man was admitted to our hospital due to penetrating anterior chest wound by iron segment. The roentgenogram of the chest revealed a radio-opaque metallic shadow in left lower chest around the cardiac apex, mild blunting of left costophrenic space, but no cardiomegaly. During operation the foreign body was noted to be present in the cardiac chamber by the portable C-arm fluoroscopy. But during the manipulation it moved into left inferior pulmonary vein from left ventricle by way of left atrium. So we could manage to remove it from left inferior pulmonary vein by direct approach to the vein. It was iron segment, sized 0.lcm x0.6cmx0.5cm, with sharp margins. The patient had an uneventful postoperative recovery except for chylopericardium and was discharged.

  • PDF

개의 심기저부 종양의 영상진단학적 특징 (Imaging Diagnosis: Heartbase Tumor in a Dog)

  • 장진화;정주현;윤정희;최민철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48-51
    • /
    • 2008
  • 심한 복부팽만과 호흡 곤란 증세를 보이는 10살의 요크셔 테리어가 내원하였다. 방사선과 초음파 검사로 우심방과 주폐동맥에 인접한 대동맥 주위로 고에코성의 큰 종괴를 확인하였다. 확인된 종양은 심장 기저부 주위에 존재하는 확장성 종양으로 삼첨판 역류, 대량의 복수와 간정맥 확장을 동반한 간종대와 같은 우심 부전 소견을 보였다. 전산화단층촬영법으로 확인된 이 종괴는 전대정맥에서 후대정맥까지 위치한 심장 기저부 주위에 존재하는 크고 비균질성을 띤 종괴였다. 이 종괴는 전대정맥, 심장, 후대정맥 및 흉벽까지 침습되어 있었으며, 세침흡입술을 통한 잠정적인 진단은 Chemodectoma였다. 본 증례로 다양한 진단 영상학적 수단을 통한 심기저부 종양에 대한 특징 및 역할을 알 수 있었다.

승모판 심장질환 환자에서 기관지 반응성에 대한 연구 (Bronchial Responsiveness in Patients with Mitral Valvular Heart Disease)

  • 김호철;김민구;황영실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5호
    • /
    • pp.752-759
    • /
    • 1995
  • 연구배경: 심부전 환자에서 기관지 과민성의 여부를 확인하고 이러한 기관지 과민성과 혈역학적 지표사이의 상관관계를 알기위해 메타콜린을 이용하여 기관지 유발검사를 실시하였다. 방법: 1994년 3월부터 8월까지 본원에 내원하여 흉부 X선 촬영, 심에코도 검사, 심도자술로 승모판 심장질환이 진단되고 호흡곤란의 정도가 NYHA 기능적 분류 2인 1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PARI nebulizer I을 이용하여 메타콜린 용액의 농도를 올리면서 기관지 유발검사를 시행하여 최대호기 유속이 20%이상 감소를 보이면 양성반응으로 간주하였다. 또한 각각의 환자는 심도자술을 통해서 혈역학적인 지표와 기관지 과민반응과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고저 하였다. 결과: 1) 11명의 환자중 남자 2명 여자 9명이였으며 평균연령은 38.0세이였고 흡연력은 1명이외에는 없었다. 2) 각 환자의 호흡곤란 정도는 NYHA 기능적 분류 2였고 승모판 협착증만 있는 환자는 5명이였고 이외는 승모판 질환과 대동맥 판막질환이 동반되어있었다. 3) 환자들의 평균폐동맥압과 평균폐모세혈관 쐐기압은 각각 21.72mmHg(${\pm}8.55$), 15.45mmHg(${\pm}8.69$)로 정상보다 높았고 심장지수와 좌심실분획률은 각각 2.64L/min/m2(${\pm}0.41$), 61.81%(${\pm}7.21$)로 정상범위이였다. 4) 11명의 환자중 1명만 메타콜린 기관지 유발검사에 양성이었다. 결론: NYHA 기능적 분류 2인 승모판 심장질환이 있는 심부전환자 11명중 1명만 기관지 과민반응이 관찰되었으며 그 이유로 지속적인 심부전의 치료에 의한 간질성 폐부종의 소설로 인해 기관지의 반응성이 증가되지 않았다고 사료되며 NYHA 기능적 분류 3 또는 4인 승모판 심장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기관지 과민 반응에 대한 추후의 검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소음인(少陰人) 전신부종(全身浮腫)에 대한 증례(證例) (Case about cardiogenic general edema of Soeumin apoplexy patient)

  • 신미란;김선형;김달래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65-270
    • /
    • 2000
  • 뇌졸중을 일으키는 환자들에서 있어서 심폐의 기능적 및 기질적 이상이 선행요인으로 작용하거나 질병을 악화시키는 요인 및 합병증으로 병발되는 경우가 많다. 심폐질환이 동반된 경우 병의 진행과정이 급격히 악화될 가능성이 크며 예후가 불량한 경향을 띠므로 심폐질환에 주안점을 두어 급히 치료해야 한다. 상지대학교 한방병원 입원환자 중 뇌경색과 함께 울혈성 심부전으로 인하여 폐부종을 동반한 소음인 부종환자를 사상의학적으로 변증하고 치료하는 과정 중에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이에 증례보고를 하고자 한다. 68세 여환으로 우반신불수(右半身不遂) 연부장애(嚥不障碍) 어순(語純)의 중풍으로 내원하였으며 병의 진행 과정에 울혈성 심부전으로 진단되었고 폐부종의 소견과 함께 전신부종이 심하였다. 이를 소음인 부종이 태음증(太陰證)에 속한다고 하였으나 식(食) 변(便) 면(眠) 맥(脈) 설태(舌苔) 증상(症狀) 등을 종합하여 소음증(少陰證)으로 변증하고 건비이강음(建脾而降陰)의 치법(治法)에 준하여 궁귀총소이중탕(芎歸蔥蘇理中湯)을 투여하여 증상의 호전을 확인하였다.

  • PDF

흉부손상의 임상적 고찰: 311례 보고 (Clinical Analysis of the Chest Trauma 312 Cases Report)

  • 임진수;최형호;장정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8권1호
    • /
    • pp.111-121
    • /
    • 1985
  • A clinical analysis was performed on 312 cases of the chest trauma experienced at department of thoracic surgery, Chosun University Hospital during the past 6 years 10 months period from January 1978 to October 1984. 1. The ratio of male to female patient of the chest trauma was 3.1:1 in male predominance and age from 20 to 50 occupied 71.2% of the total cases. 2. The most common cause of the chest trauma was traffic accidents [45.5%] in this series. 244 cases [78.2%]were injured due to non-penetrating injuries and the remainders [68 cases, 21.8%] were injured due to penetrating injuries. 3. The frequently injured site of the chest trauma was left side of the chest [56.4%], the right side was 33% and the both side was 10.6%. 4. The most common symptoms were chest pain and dyspnea, and common signs were diminished breathing sound and subcutaneous emphysema. 5. The Hemothorax, Pneumothorax, Hemopneumothorax, and Hemopericardium were observed in 190 cases [60.9%] of the total cases, and etiologic distribution revealed 76.5% due to penetrating injuries and 56.6% due to non-penetrating injuries. 6. The rib fractures were observed in 210 cases [67.3%] of the total cases and the most common site of the rib fracture was 6th rib 140 cases [19.2%]. The common site of the rib fracture was from 4th rib to 7th rib [63.8%]. 7. The lung injuries were observed in 150 cases [48.1%] and the other organ injuries were observed in 260 cases [83.3%]. 8. Conservative treatment including thoracentesis were performed in 153 cases [49.1%], Closed thoracotomy with water seal drainage were performed in 112 cases [35.9%], and open thoracotomy were performed in 45 cases [14.4%]. 9. The complications of the chest trauma were developed in 63 cases [20.2%] and the common complications were atelectasis, wound infection and pneumonitis etc. 10. Overall mortality was 0.96% [3 cases] and the cause of death was bacteremia, hypovolemic shock, heart failure and pulmonary edema.

  • PDF

승모판 협착증의 외과적 요법

  • 이영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권1호
    • /
    • pp.11-24
    • /
    • 1971
  • Eighty-four cases of mitral commissurotomy were done in this department between October 1958 and September 1970. Therc wcre 54 males and 30 females. Six cases were under the age of 20 years. Prcoperativc embolization occurred in 9. 5% of the cases. consisting of 8. 3% cerebral and 1.2% peripheral embolization. Intraoperative and postoperative cmbolization occurred in 4.7% of the cases, with 1. 2% cerebral and 3.5% peripheral embolism. Two out of three postopeative embolism cases expired, one of which was caused by septic cerebral embolism due to valve vegetation nnd the other by mesenteric embolism. Atrial fibrillation was 1loted ill 43% of the case. Seventy closed mitral commissurotomy was done by left appendegeal approach with finger fracture method or Bailey's guillotine valvotome. Fourteen open mitral commissurotomy cases were done either by right side approach or median sternotomy, three of which were reoperation cases after blind mitral commissurotomy. One out of 14 cases were operated on with open mitral commissurotomy and concomitant open aortic valve bicuspidalization, This case expired due to severe serum hepatitis ten days after operation. Thirty-two per cent of valve calcification was noted during operation and one of which had marked vegetation on the valve cusps too. Operative mortality was 1.4% in blind mitral commissurotomy and 14% in open mitral commissurotomy. Over-all mortality in the entire series was 3.5%. One case among the blind commissurotomy cases expired during operation due to left inferior pulmonary vein laceration and death was caused in two open mitral commissurotomy cases by coronary artery airembolism. Three hospital death occurred in blind operation group, one due to coronary embolism, and two by hepatic failures. Three hospital death among open heart surgery cases were caused by hepatic failure in two and cerebral embolism in one cases. ln most of the survivors improved functional capacity and exercise lolerance were noted.

  • PDF

Protocatechuic acid impacts rotator cuff healing and reduces fatty degeneration in a chronic rotator cuff tear model in rats

  • Seo, Su-Jung;Park, Jae-Young;Park, Hyoung-Jin;Hwang, Jung-Taek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5권1호
    • /
    • pp.5-14
    • /
    • 2022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protocatechuic acid (PCA) on tendon healing and fatty degeneration in a chronic rotator cuff model. Methods: Twenty-eight Sprague-Dawley male rats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two groups: Saline+repair (SR) and PCA+repair (PR). The right shoulder was used for experimental interventions, and the left served as a control. PCA (30 mg/kg/day) was administered intraperitoneally at the site of infraspinatus tendon detachment in rats in the PR group, and the same volume of saline was administered to the same site in the SR group. The torn tendon was repaired 4 weeks after infraspinatus detachment. Four weeks after repair, hematoxylin and eosin (H&E), S100, and CD68 stain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degree of fatty degeneration and H&E and Masson trichrome stains were performed to assess tendon healing. Superoxide dismutase (SOD) was measured to test the efficacy of PCA as an antioxidant. Results: Results from histological evaluation indicated that SOD and CD68 levels at the musculotendinous region and collagen fiber parallel to the orientation at the tendon-to-bone junc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SR and PR groups. The mean load-to-failure of the PR group (20.32±9.37 N) was higher than that of the SR group (16.44±6.90 N), although this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395). The SOD activity in the operative side infraspinatus muscle of the PR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SR group,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3). Conclusions: The use of PCA could improve tendon healing and decrease fatty degeneration after rotator cuff repair.

심장세동의 수술요법 (The Surgical Treatment of Atrial Fibrillation in Patients Undergoing Simultaneous Open Heart Surgery)

  • 김기봉;이창하;손대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3호
    • /
    • pp.287-292
    • /
    • 1997
  • 심방세동은 가장 흔한 부정맥 질환으로서,특히 승모판막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60%에 이르는높은 빈도의 유병율을 보이는데,심방세동 환자의 약 113에서 혈전 색전증을 일으키고,혈전 색전증이 생긴 환자의 약 60%에서는 사망에 이르거나 심각한 합병증이 초래되므로 심장질환에 대한 수술시,동반 심 방세동에 대한 적극적 인 치료가 고려되어야 한다. 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학교실에서는 1994년 4월부터 1995년 6월까지 심방세동을 동반한 심장질환 을 가진 20명의 환자에서 Maze 술식을 포함한 개심술을 시행하였다 대상환자들의 남녀 성비는 남 '녀 : 6 : 14 이 었으며, 평균연령은 48$\pm$11세 (31 ~66세) 였다. 1년이상 지 속된 만성 심방세동이 14례(70%)였고, 1년미만인 경우가 6례(30%)였으며,심방세동의 과거력은 평균 36$\pm$42개월(1~132개월)이었다. 수술전 혈전전색증의 과거력이 있었던 경우가 7례(35%), 좌심방내에 혈전이 있었던 경우가 9례(45%)였다. 동반 심장질환으로는 판막질환이 19례,심실중격결손증이 1례였 으며, Maze술식과 더불어 승모판막 및 대동맥판막 치환술이 5례, 승모판막 치환술을 시행한 경우가 4 fl, 승모판막 치환술 및 삼첨판\ulcorner 성형술 4례, 승모판막 성형술 3례, 승모판막 성형술 및 삼첨판막 성형 술이 1례, 승모판막 치환술 및 관상동맥 우회술이 1례, 대동맥판막 치환술 1례, 심실중격결손봉합술이 1례 였다. 대동맥차단시간은 평균 175 :41분(116~270분)이었다. 수술과 관련된 사망은 없었으며, 수술 후 심방세동의 재발이 16명(80%)에서 있었으나, 수술후 평균 41일째 규칙적인 심박동 소견을 보였다. 수술후 합병증으로서는 저심박출증을 보였던 경우가 3례 (15%), 술전 존재하였던 반신불수의 악화가 1 례, 그리고 급성 신부전이 1례씩 관찰되었다. 20명의 외래추적 관찰기간은 평균 16.5개월(10.5~24개월) 이었는데, 외래 추적기간 중 모든 환자에서 규칙적인 심박동의 소견을 보였으며, 정상 동방결절리듬을 보인 경우 17례 (85%)중에서 항부정맥제의 투여가 필요 없는 경우가 13례 (76%)이고 나머지 4례에서는 항부정맥제를 투여중이며, 접합부 율동을 보이는 3례 (15%) 중 2례에서는 항부정맥제를 투.i중이고, 1 례는 접합부 서맥으로 인공심박동기 (DDD-R type : AAI mode)의 삽입이 필요했다. 추적기간 중에 심에 코검사는 19명에서 시행하였는데, 우심방 수축력이 보이는 경우가 1 례 (95%) 이었고, 좌심방 수축력은 12례 (63%)에서 명백히 관찰되 었다. 심장질환에 대한 개심술시 Maze술식을 동반시행할 경우심장허혈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으나, 최근의 발달된 심근보호법의 적용으로 수술에 따른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심방세동의 적극적 인 치료를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단일 박동형 생명구조장치의 인공폐 적용 -실험연구- (Application of a Single-pulsatile Extracorporeal Life Support System for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An experimental study -)

  • 김태식;선경;이규백;박성영;황재준;손호성;김광택;김형묵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3호
    • /
    • pp.201-209
    • /
    • 2004
  • 생명구조장치(ECLS)는 호흡부전 및 심부전에 적용하는 장치로 세계적으로 많은 연구개발과 임상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현재까지 생명구조장치의 혈류펌프로는 비박동형 구동장치가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박동형 구동장치는 생리적인 측면에서 유리하지만 급격한 회로압 상승과 그에 따른 혈구손상에 대한 우려가 있고 특히 막형산화기를 사용하는 인공폐 회로에서 기피되어 왔다. 본 연구는 인공폐 실험모델에서 단일 박동형 구동펌프와 막형 산화기 사이에 압력완충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언급한 부작용을 최소화시키면서 생리적인 박동혈류를 유도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실험대상은 올레익산으로 급성 호흡부전증이 유발된 잡견(N=16)을 사용하였다. 실험군은 사용된 구동펌프의 종류와 압력완충장치의 유무에 따라 3개 군으로 분류하였다. 제1군(n=6)은 대조군으로 원심펌프를 이용하였고, 제2군(n=4)은 단일 박동형 구동펌프를 사용하였으며, 제3군(n=6)은 단일 박동형 구동펌프에 압력완충장치를 설치하였다. 실험모델은 흉강 절개 후 우심방-대동맥을 우회시키는 부분 체외순환 형태로, 1.8~2 L/min의 펌프박출량에서 2시간을 구동하였다. 관찰지표는 주로 혈역학 변화, 회로압, 혈액검사 및 혈구세포에 미치는 영향 등에 한정하였다. 맥동압(pulse pressure)은 박동형 구동펌프를 이용한 2군(47$\pm$10 mmHg)과 3군(41$\pm$9 mmHg)에서 비박동형 원심펌프를 이용한 1군(17$\pm$7 mmHg)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01). 막형산화기에 걸리는 회로압은 1 군의 경우 222$\pm$8mmHg, 2군의 경우 739 $\pm$ 35 mmHg, 3군의 경우 470$\pm$ 17 mmHg였다(p<0.001). 순환 2시간째의 동맥혈 산소분압은 1군에 비해 박동혈류를 사용하는 2군과 3군에서 현저하게 높았다(77$\pm$41, 96$\pm$48, 97$\pm$25 mmHg; p<0.05). 혈구손상지표인 혈장 유리 헤모글로빈치는 1군에서 가장 낮았고, 2군에서 가장 높았으며, 3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55.7$\pm$43.3, 162.8$\pm$113.6, 82.5$\pm$25.1 mg%; p<0.05). 기타 혈액검사치는 특별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단일 박동형 구동펌프는 비박동형 원심펌프에 비해 막형산화기의 산소교환에 유리한 반면, 회로압과 혈구세포 손상 측면에서 불리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단일 박동형 구동펌프와 막형 산화기 사이에 압력완충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회로압 상승과 혈구세포손상을 유의하게 감소시킬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