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ght-handed

검색결과 337건 처리시간 0.03초

Metamaterial 구조의 대역통과여파기를 이용한 WCDMA 대역 고선형 전력증폭기 설계 (Design of Highly Linear Power Amplifier using Bandpass Filter based on Metamaterial Structure)

  • 김형준;서철헌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9권1호
    • /
    • pp.68-72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Composite Right-/Left-Handed (CRLH) 형태의 Metamaterial 구조의 대역통과여파기를 설계하여 이를 전력증폭기의 출력 정합단에 이용함으로써 고선형 전력증폭기를 구현하였다. 제안된 대역통과여파기는 직렬형태의 캐패시터와 전송선로, 병렬형태의 인덕터와 전송선로로 이루어져 있다. 전력증폭기의 동작대역에서 손실을 최소화하고 CRLH 구조를 이용하여 2차 고조파 성분을 제한시켜 전력증폭기의 선형성을 개선하였다. 또한 협대역 대역통과여파기의 특성을 이용하여 인접채널 누수비 특성 또한 개선하였다. 제안된 전력증폭기는 각각 출력 전력과 2차 고조파, 3차 혼변조, 인접채널 전력누수비는 각각 2.14 GHz에서 38.83 dBm, -61.33 dBc, -54.67 dBc, -51.33 dBc @ 5 MHz, -56.50 dBc @ 10 MHz 의 특성을 얻었다.

주파수 재구성 가능한 방사 구조를 갖는 영차 공진 안테나 (Zeroth-Order Resonant Antenna with Frequency Reconfigurable Radiating Structures)

  • 이홍민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9호
    • /
    • pp.12-20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주파수 재구성 기능이 가능한 방사 구조 갖는 co-planar waveguide (CPW) 급전 방식의 영차 공진 안테나를 제작하고 측정하였다. 제안된 안테나의 단위 셀은 직렬 metal-insulator-metal (MIM) 형태의 커패시터와 두개의 단락된 병렬 스터브 인덕터로 구성되어 있다. 제안된 안테나는 두 개의 단위 셀을 갖는 composite right/left-handed (CRLH) 전송 선로에 근거하여 설계되었으며 선로의 끝단을 개방하여 선로의 병렬부에서 주된 전자파 에너지 방사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안테나의 크기를 소형화시키는 동시에 다이오드 스위치 부착을 통하여 주파수 재구성 안테나를 구현하기 위하여 비아를 통하여 접지 면과 연결되어지는 4개의 $90^0$ 접혀진 단락 스터브 선로를 병렬 인덕터 구조로 사용하였다. 제안된 안테나의 영차 공진주파수는 3.09 GHz이고 전체 크기는 $0.22{\lambda}_0{\times}0.16{\lambda}_0$이다. 제작된 안테나의 측정 결과 영차 공진 주파수 2.97 GHz에서 안테나의 최대 이득과 임피던스 대역폭은 각각 3.1 dBi와 56MHz를 나타내었으며, 삼중 대역에서 동작하는 주파수 재구성 안테나시스템에 응용이 가능하다.

Composite Righg/Left-Hand 전송선로를 이용한 새로운 이중대역의 CPW 윌킨슨 전력 분배기 (A New CPW Dual Band Wilkinson Power Divider Using Composite Right/Left-Handed Transmission Line)

  • 장조복;왕양;윤기철;이종철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117-124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기법의 광대역 저손실 CRLH(composit right/left handed) 전송선로와 윌킨슨 전력 분배기에 대해 제안한다. 전송선로는 평형 미엔더 인덕터와 직렬 캐패시터로 구성된 coplanar 도파관 (CPW)으로 구성되며, 전력 분배기는 CRLH 전송선로를 일반 전송선로 부분에 대체하여 설계를 한다. 실험 결과 동작 주파수 대역 8.4 GHz 에서 30.0 GHz내에서 반사손실은 12 dB 이하로써 비교적 만족한 결과를 얻었다. 전력 분배기의 주파수는 12.05에서 13.15 GHz 그리고 16.50에서 19.30 GHz 로써 대역폭은 20 dB 기준으로 8.9 % 및 17.9 % 이며 이는 측정결과와 시뮬레이션 결과와 비교를 하였을 때 상당히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메타물질 전송선로를 이용한 소형 나선구조 Zeroth-order Resonance 안테나 (Compact Spiral Zeroth-order Resonance Antenna using metamaterial transmission line)

  • 박재현;류영호;김동진;추호성;이정해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4권7호통권361호
    • /
    • pp.1-6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composite right- and left-handed (CRLH) 전송선로를 이용한 나선구조 zeroth-order resonance (ZOR) 안테나가 제안되었다. 안테나의 영차공진특성은 주기구조의 분산특성에 의해 이론적으로 분석되었다. $2{\times}2$ 나선구조 안테나의 크기는 $0.155{\lambda}_{0}{\times}0.155{\lambda}_{0}$이며 CRLH 전송선로의 병렬 인덕턴스 값이 증가함으로 인해 제안된 안테나의 크기는 일반적인 버섯구조 ZOR 안테나보다 65%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었다. 또한, 제안된 안테나의 방사특성은 버섯구조 ZOR 안테나와 비슷한 전방향성 방사특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Resonance Frequency and Bandwidth of the Negative/Positive nth Mode of a Composite Right-/Left-Handed Transmission Line

  • Kim, Seong-Jung;Lee, Jeong-Hae
    • Journal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제18권1호
    • /
    • pp.1-6
    • /
    • 2018
  • In this study, the analytic expression for the positive/negative $n^{th}-Mode$ resonance frequency of an N unit cell composite right-/lefthanded (CRLH) transmission line is derived. To explain the resonance mechanism of the $n^{th}$ mode, especially for the negative mode, the current distribution of the N unit cell CRLH transmission line is investigated with a circuit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both positive and negative $n^{th}$ resonance modes have n times current variations, but their phase difference is $180^{\circ}$ as expected. Moreover, the positive $n^{th}$ resonance occurs at a high frequency, whereas the negative $n^{th}$ resonance transpires at a low frequency, thus indicating that the negative resonance mode can be utilized for a small resonato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lope of the dispersion curve and the bandwidth is also observed. In sum, the balanced condition of the CRLH transmission line provides a broader bandwidth than the unbalanced condition.

주파수 오프셋 환경에서의 역선회 원편파를 이용한 XCP-OFDM 시스템의 성능 개선 (Performance improvement of XCP-OFDM system using cross-handed circular polarization in frequency offset environments)

  • 김병옥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49-56
    • /
    • 2004
  • 직교주파수분할다중화방식(OFDM)은 부채널간의 직교성을 이용하여 주파수 스펙트럼을 중첩시킴으로써 스펙트럼 효율을 이상적으로 증가시킨 고속의 병렬 변조방식이다. 그러나 OFDM은 부채널 간의 스펙트럼이 크게 중첩됨으로 인하여 안정된 채널 환경을 요구하기 때문에 주파수 오프셋이 발생할 경우에는 부채널간의 직교성이 상실되어 시스템의 큰 성능 저하가 발생한다. 이러한 주파수 오프셋에 따른 성능 저하를 극복하기 위하여 역선회 원편파를 이용한 새로운 XCP-OFDM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XCP-OFDM 시스템은 부채널을 우선회 원편파 채널과 좌선회 원편파 채널로 분리하여 부채널간의 중첩을 제거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XCP-OFDM 시스템의 특성을 이용하여 주파수 오프셋에 따른 채널간 간섭을 줄이고 직교성을 강화시켜 시스템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음을 보였다.

우세측에 따른 상지와 하지의 기능 비교 (Comparison of Upper and Lower Limb Functional Ability Depends on Dominants)

  • 이선명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622-633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mpared of left dominant and the right dominant hands about coordina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30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in M university in Changwon, from April 28th 2015 to May 1. The test tools were Jebson-Taylor Hand Function Test, Hand Strength & Pinch, Grooved Pegboard Test, Box & Block and Balance Test. Results. Right dominant hand was higher than left dominant in hand grip and dexterity, hand manipulation skills. And one leg standing and toe standing were higher left foot than right foot dominant. Conclusion. Most of all evaluation items showed a better result right dominant hand than left dominant. But shows that there is no functional difference between left-hand dominant than right-hand. So left-hand dominant coordination was evaluated by a better than right-handed.

Metamaterial CRLH 전송선로를 이용한 이중대역 Class-E 전력증폭기 설계 (Design of a Dual-band Class-E Power Amplifier using Metamaterial CRLH Transmission Lines)

  • 임성규;서철헌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8권9호
    • /
    • pp.54-58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Composite Right-/Left-Handed (CRLH) 전송선로 (TL)와 PIN 다이오드를 이용한 이중대역 Class-E 전력증폭기를 구현하였다. CRLH 전송선로를 이용하여 이중대역 주파수 조절 특성을 갖는 Metamaterial CRLH 전송선로를 구현하였으며, CRLH 전송선로의 이중대역 동작은 전력증폭기의 정합 회로에 이용된 주파수 오프셋과 CRLH 전송선로의 비선형 위상 기울기에 의해 얻을 수 있었다. 제안된 이중대역 전력증폭기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출력 정합회로뿐만 아니라 입력 정합회로를 이용하여 구현하였으며, PIN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각각의 독립된 주파수에서 전력증폭기가 동작할 수 있게 하였다. 전력증폭기의 출력 전력과 전력효율은 각각 800 MHz에서 42.17 dBm, 62.24 %, 1900 MHz에서 41.50 dBm, 60.73 % 이었으며, 이중대역에서 비교적 균등한 결과를 얻었다.

Zero-Order Resonator 결합의 Metamaterial 구조를 응용한 T-DMB 대역 통과 여파기의 소형화와 차단 대역 특성의 개선 (Miniaturization and Rejection-Enhancement of the Bandpass Filter for the T-DMB Application Using a Metamaterial Structure of the Zero-Order Resonator Coupling)

  • 신은철;강승택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1462-1469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VHF($169{\sim}211\;MHz$)용 대역 통과 여파기의 소형화와 향상된 차단 대역 저지 특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기존의 Right-Handed 전송선에 Left-Handed 특성을 가미한 복합 구조를 이용하여 설계하였다. 대역 통과 여파기를 CRLH의 0차 공진기의 공진점을 사용하고 공진 기간의 결합을 인버터 이론으로써 구현하였다. 제안된 기법의 타당성은 예측 특성과 실험 결과로써 확인되며(삽입 손실<2 dB, $S_{11}$<-15 dB, 3체배 차단 특성), 평행 결합 선로형 여파기와 같은 기존 기술의 여파기보다 약 60 %의 소형화가 이뤄짐을 알 수 있었다.

폴리머 격벽에 의해 화소고립된 구조의 이중주파수 쌍안정 네마틱 액정셀의 전기광학 특성 (Electro-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Dual-frequency Bistable Nematic Liquid Crystal Cell with Pixel-isolating Polymer Wall)

  • 이성룡;이중하;신재훈;송동한;윤태훈;김재창
    • 한국광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61-168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왼손(left-handed)과 오른손(right-handed) 방향으로 각각 $180^{\circ}$ 트위스트(${\pi}$-twist)된 액정상을 두 개의 안정상태로 가지는 쌍안정(bistable)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를 제안한다. 제안된 소자는 액정과 자외선경화 폴리머 물질의 혼합물의 비등방성 상분리 방법으로 형성된 격벽에 의해 화소고립된(pixel-isolation) 구조를 가지며, 인가전압의 주파수에 따라 유전율 이방성의 부호가 바뀌는 이중주파수(dual-frequency) 특성의 네마틱(Nematic) 액정을 사용한다. 두 안정된 액정상 사이의 스위칭은 인가전압의 주파수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이루어지며, 주파수 변화에 따른 액정의 유체 효과에 의해 발생하므로 응답특성이 매우 빠르다. 두 액정상은 카이랄 도펀트(chiral dopant)가 아니라 격벽이 가지는 앵커링(anchoring)의 영향으로 안정화됐기 때문에 거의 동일한 탄성에너지(elastic free energy)를 가지게 되어 우수한 메모리 특성을 나타낸다. 또한, 위상지연필름을 이용한 투과형 광학보상을 통해 높은 정면 명암비(contrast ratio)를 가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