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ce seeding methods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28초

담수직파재배시(湛水直播栽培時) 질소분시방법(窒素分施方法)에 따른 벼 생육(生育)과 수량성(收量性) (Effect of Nitrogen Split Application on Growth and Yield in Direct Seeding Rice on Flooded Paddy)

  • 유철현;신복우;이상복;이경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12-318
    • /
    • 1995
  • 본(本) 연구(硏究)는 벼 담수직파(湛水直播) 재배시(栽培時) 질소(窒素) 분시방법별(分施方法別) 토양(土壤)의 무기태질소(無機態窒素) 함량(含量), 질소흡수량(窒素吸收量) 및 생육(生育) 및 수양성(收量性)을 검토하고자 호남(湖南) 평야지(平野地) 대표토양(代表土壤)인 전북통(全北統)에서 요소(尿素)와 벼 측조시비용(側條施肥用) 완효성복비(緩效性複肥)(LCU)를 공시비종(供試肥種)으로 하여 포장시험(圃場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질소시비효율(窒素施肥效率)은 기비(基肥)-3엽기-5엽기-수비(穗肥)에 40-0-30-30%와 70-0-0-30%로 시용시(施用時) 담수표면직파(湛水表面直播)보다 무논 골뿌림재배(栽培)에서 높았고 LCU전양기비구(全量基肥區)에서는 요소(尿素) 시용구(施用區)보다 효율(效率)은 높았으나 파종방법간(播種方法間)에는 요소시비구(尿素施肥區)와 같았다. 2. 정조(精粗)로의 질소전이률(窒素轉移率)은 추비(追肥)중점(0-40-30-30%)을 제외(除外)하고는 분시방법(分施方法) 공히 무논골뿌림재배(栽培)보다 담수표면직파(湛水表面直播)에서 높았다. 3. 무논골뿌림재배시(栽培時) 논 굳힘을 위해 시비(施肥) 1일후 강제(强制) 배수(排水)에 의해 유출(流出)되는 질소량(窒素量)은 0.1134ton/ha이었다. 4. 전(全) 생육기간(生育期間) 토양중(土壤中) $NH_4-N$ 발현(發現) 양상(樣相)은 요소(尿素)로 시용(施用)할 경우(境遇) 담수표면직파(湛水表面直播)보다 무논골뿌림재배(栽培)에서 높았던 반면 LCU시용시(施用時)는 재배법간(栽培法間)에 요소시용시(尿素施用時)와는 상반된 경향(傾向)을 보였다.

  • PDF

이모작 논 밀 재배시 파종방법이 뚝새풀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eding Methods to the Growing Alopecurus aequalis var. amurensis in Wheat Field of Rice-wheat Cropping System)

  • 김선;안승현;임일빈;정영근;김시주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52-257
    • /
    • 2010
  • 뚝새풀의 친환경 관리법 개발을 위해 밀 파종 전 토양 로타리 경운을 추가하고 파종한 결과 뚝새풀 발생 수는 85%가 감소되었다. 잔여 뚝새풀의 발생밀도를 더 줄이기 위하여 밀 파종시기와 파종량에 따른 효과를 검토코자 밀 종자량 150kg $ha^{-1}$을 기준하여 시기를 달리하여 파종한 결과 10월 16일 파종시에는 뚝새풀 발생이 $m^2$ 당 40개가 발생하였으나 10월 26일 29개 11월 6일 파종시에는 4개로 밀 파종시기가 늦을수록 뚝새풀 발생이 감소되었다. 밀 파종량에 따른 영향은 10월 26일에 ha당 종자 150kg을 파종하였을 때는 $m^2$당 29개가 발생하였으나 파종량 200kg $ha^{-1}$ 이상에서는 8~11개로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남부지방에서 10월 하순경 밀 파종 전에 로타리를 이용하여 토양을 파쇄하고, 종자량을 ha당 200kg으로 증량하여 파종하면 제초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뚝새풀을 비롯한 잡초에 의한 수량감소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벼 무논골뿌림 재배시 입모수별 질소시비방법이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trogen Management on Rice Growth and Yield under Different Seedling Density in Puddled -soil Drill Seeding)

  • 김상수;백남현;이선용;조동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629-636
    • /
    • 1995
  • 벼 무논골뿌림 재배시 입모수별 적정 질소 시비방법을 구명하고자 입모수 및 질소시비방법을 달리하여 생육 및 수량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최고분얼수는 입모수 30개/$m^2$ 에서 파종후 60일경, 60개/$m^2$ 는 파종후 55일경, 90~150개/$m^2$ 에서는 파종후 50일경이었으며, 유효경 비율은 입모수가 많을수록 적었다. 2. 수수는 입모수 30개/$m^2$ 에서만 300개/$m^2$ 내외로 다소 적었으나 60개/m 이상에서는 입모수간에 별 차이가 없었고 입모수가 적었을 때는 실행 시비방법보다 조기분얼비 시용(T2)에서 많았다. 3. 도복은 입모수 120개/$m^2$ 이상에서 다소 발생하였고 시비방법간에는 수비를 시용한 실행 분시방법에서 다른 시비방법보다 다소 심하게 발생하는 경향이었다. 4. 수량은 입모수 60개/$m^2$ 이상에서는 입모수간에 유의차가 없었고 입모수가 적었을 때는 실행 시비방법보다 3엽기에 분얼비를 시용하는 것이 증수되었으며 입모수 90개 이상에서는 시비방법간에 별 차이가 없었다. 5. 재파시 경영비 증가를 감안한 소득으로 본 재파한계 입모수는 55개/$m^2$ 이었다.

  • PDF

벼 건답직파 재배시 중간낙수가 생육 및 도복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Midsummer Drainage on Growth and Lodging of Rice in Direct Seeding on Dry Paddy)

  • 최민규;김상수;이선용;최선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574-579
    • /
    • 1995
  • 건답직파 재배시 중간낙수처리가 도복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1991년에 동률벼를 공시, 5월 1일에 휴립 세조파하고, 파종후 30일에 심수하고 심수후 20일 부터 10일 간격으로 1∼3회 낙수처리하여 도복관련형질 및 수량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간장 및 절간장은 낙수회수가 많을수록 짧아지고 간벽은 두꺼워졌으나, 줄기 굵기는 상시심수에서 다소 굵었다. 2. 낙수회수가 많을수록 중심고는 낮아지고 좌절중은 무거워서 도복지수는 적어졌으며, 낙수회수가 많을수록 뿌리량이 많아지고 뿌리의 심층분포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3. 도복은 상시심수에서는 심하게 발생되었으나 낙수회수가 많을수록 경감되어 2∼3회 낙수처리에서는 도복이 발생되지 않았거나 경징하였다. 4. 수량은 등숙후기(출수후 35일)에 도복이 발생되어 상시심수와 낙수처리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현미중의 청미비율은 낙수회수가 많을수록 감소되는 경향되었다. 5. 따라서 건답직파 재배시 심수후 20일부터 10일간격으로 2∼3회 중간낙수 처리하는 것이 도복방지를 위한 적절한 물관리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 PDF

MECHAINSED RICE SHARE FARMING IN PERMATANG PAUH SEBERANG PERAI,MALAYSIA-A MANAGEMENT EXPERIENCE

  • Hussain, M.D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1993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Conference for Agricultural Machinery and Process Engineering
    • /
    • pp.538-545
    • /
    • 1993
  • Individual farming involving small land parcel (0.5 to 1.0ha) is declining because it is uneconomic and unable to incorporate modern technological innovation to improve its production efficiency. A centrally managed medium scale mechanised rice share farming was implemented at Permatang Pauh, Sebeerang Perai, Malaysia in 1988-1991 for eight seasons on a contiguous 57 ha rice land rented from 100 owners. Ten participants were chosen to participate in this project which perpetuated from revolving fund of MR 165.000. The objective of the project was to overcome problem of production efficiency and to provide a stable income to farmers operating on a medium and full time basis. Mechanisation was given prime emphasis to optime and reduce labour requirement and meeting the targeted crop scheduling. Direct seeding and mechanical transplanting methods of crop establishment were adopted. Land preparations, crop establishment and crop care were done using machineries purchased by the group. Selected participants were trained to operate machineries which composed 2 and 4 wheel tractors, mechanical transplanters, motorised seeders and sprayers. Harvesting and transportation of rice to the mills were done on contractual basis using combine harvesters and bulk handling via 3-4 ton lorries respectively. The net clean yield (less 10-20 percent deduction at rice mills) obtained in such project has contributed to stabilise the production and income of participating farmers.

  • PDF

벼 직파재배(直播栽培)의 기술적(技術的) 발전(發展) 방향(方向) (Development of Direct Seeded Rice Cultivation in the Future)

  • 박석홍;이철원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92-308
    • /
    • 1992
  • Recently agricultural situations are being placed in unfavourable socio-economic environment as followed by rapid decrease of rural population, poor labor quality and high wages of rural society due to high speedy industrialization of social structure in Korea. In addition to those circumstances, under the UR system to be expected in the early future, free trade of agricultural products will be faced inevitably in Korea. Practically prices of rice as a principle food in this country are expensive about three times compared to those of foreign rice markets, and so how to increase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nd food supplies are important problems to be solved rapidly. Accordingly an urgent goal is reduction of agricultural production cost by the improvement of labour productivity as a labour saving and cost down cultivation methods as the direct seeding cultivation in rice. But there are many problems in the direct seeded rice cultivation. The important things to be improved in that cultivation are development of rice varieties with lodging tolerance, effective seedling stand, weed control, irrigation management and fertilizing and so on. Moreover agricultural basis as irrigation facilities, land consolidation and farm machineries must be improved for the stability of rice cultivation in the future.

  • PDF

주요 고농서를 통한 조선시대의 도작기술 전개과정 연구 II. 고대중국의 도작기술 개요 탐색 (Transition of Rice Cultural Practices during Chosun Dynasty through Old References II. Investigation of Rice Culture Practice in Ancient China)

  • 이숭겸;구자옥;이은웅;이홍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80-285
    • /
    • 1991
  • 우리나라 고대농업과 기술을 형성하는 데 직접간접으로 기간역할을 해 왔던 고대중국의 도작기술은, 이미 한전농법과 농본관(정신)을 기원전에 완성하였으며, 특히 심경과 정수 및 토양비옥도 유지를 위한 경전법을 중심으로 도작기술이 발전되었고, 따라서 이앙법, 정조식 심종법, 철제농기구 사용, 수리를 위한 피당 축조기술이 앞섰고, 다양한 지역에서 재해를 회피하거나 다양한 용도의 품질공급을 위하여 벼 품종의 분화가 잘이루어져 왔다. 또한 중국농업의 발상지가 화북이었기 때문에 인희지광의 특성에 맞는 조방적 도작기술로서 화경수누법과 세역법이 태동되었고, 한무제와 ‘참위’학자들의 음역오행설이 농업관과 연계되면서 파종이나 작목선택에 대한 기술이 만술적으로 발달한 경향도 있었다. AD 6세기경의 $\ulcorner$제민요술$\lrcorner$부터 14세기의 왕복 $\ulcorner$농서$\lrcorner$에 이르기까지 도작기술은 지속적, 상가적으로 분화발달되어 왔으나 원대 이후에는 정체된 경향이었다. 이 시점에서 우리나라의 여말 농업과 $\ulcorner$농사직설$\lrcorner$시대가 시작되었다.

  • PDF

담수직파재배 논벼의 기준작물 잠재증발산량 산정방법별 작물계수의 변화 (Variation of Crop Coefficient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Crop Evapotranspiration Estimation Methods in Ponded Direct Seeding Paddy Rice)

  • 정상옥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114-121
    • /
    • 1997
  • In order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estimation of evapotranspiration in the ponded direct seeding paddy field, both field lysimeter experiment and model prediction were performed to estimate daily ET. Various methods were used to predict daily reference crop ET and crop coefficients. Measure4 mean daily ET during the 1995 growing season varied from 5.9 to 6.1 mm depending on the species, while it varied from 5.1 to 5.5 mm in 1996. Model predicted mean daily ET during the 1995 growing season varied from 3.9 to 4.9 mm depending on the prediction model, while it varied from 3.5 to 4.7 mm in 1996. The smaller ET values both measured and predicted in 1996 were caused by the low values of temperature, sunshine hours, and solar radiation. Crop coefficients varied from 1.20 to 1.50 in 1995 depending on the prediction model, while it varied from 1.10 to 1.47 in 1996. Comparison of the seven reference crop ET prediction methods used in this study shows that the Penman-Monteith method and the FAO-Radiation method gave the lowest ET while the corrected Penman method and the Hargreaves method gave the largest ET. Since crop coefficients vary to a large extent based on the prediction methods, reference crop ET prediction method should be carefully selected in irrigation planning.

  • PDF

수도 기계이앙 육묘에 관한 연구 Ⅵ.제6보 상자육묘시 피복자재이용 효과 (Rice Seedling Establishment for Machine Transplanting VI. Effect of Mulching Materials on Raising Rice Seedling at Tray for Machine Transplanting)

  • 윤용대;양원하;곽용호;박석홍;박래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9-15
    • /
    • 1986
  • 1983년부터 1984년까지 2년간에 걸쳐 통일형품종인 남풍벼와 태백벼, Japonica 품종인 서남벼와 당진벼를 공시하여 파종시기를 1모작 적파에 해당하는 4월 15∼20일, 2모작 만파에 해당하는 5월 10일의 두 시기로 각피부자재를 이용한 간양육묘방법 시험을 작물시험장 답작포장에서 실시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중북부 1모작 지대에서 한파 및 적파 상자육묘시에는 비닐터널+silverpoly멀칭 또는 비닐터널+부직포멀칭구가 야간온도가 높고 주야간의 온도교차가 적어 발아율이 높았으며 뜸묘발생이 적었을 뿐 아니라 차광에 의한 백화묘발생이 적었다. 2. 남부 2모작 기계이앙용 만파육묘시에는 관행 비닐터널구 보다 silverpoly 또는 부직포터널구가 차광으로 인한 주간 온도의 저하로 고온장해의 위험성이 적고 출아록화기의 광조절이 가능하여 출아율이 높고 묘생육이 양호하였다. 3. 중북부지망 기계이앙 적파육묘는 간양출아후 보온밭못자리 및 보온절애못자리에 치상하고 록화기에 비닐터널 위에 silverpoly 또는 부직포를 멀칭하는 것이 록화관리가 양호한 편이다. 4. 남부 2모작지대 기계이앙재배를 위한 만파육묘에서는 보존 비닐터널 대신 silverpoly 또는 부직포터널로 못자리출아육묘를 하더라도 건묘육성의 가능성이 인정되었다.

  • PDF

Effect of Crop Establishment and Weed Control Method on Productivity of Transplanted aman Rice

  • Ali, Mohammad;Haque Bir, Md. Shahidul;Rahman, Md. Habibur;Ayesha, Sultana Kaniz;Hoque, Aminul;Harun-Ar-Rashid, Md.;Islam, Md. Rashidul;Park, Kee Woong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7권2호
    • /
    • pp.120-129
    • /
    • 2018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find the most suitable crop establishment method and weed management practices for transplanted aman rice in Bangladesh. Rice variety Bangladesh Rice Research Institute (BRRI) dhan44 was used as planting materials where three crop establishment methods ($T_1$: direct wet seeding by drum seeder; $T_2$: hand broadcasting; $T_3$: transplanting) and four weeding options ($W_1$: Hand weeding (HW); $W_2$: BRRI weeder+HW; $W_3$: Herbicide+HW; and $W_4$: no weeding) were tested. Among the crop establishment methods, the highest grain yield ($5.12t\;ha^{-1}$) was obtained with the $T_3$, while the highest benefit cost ratio (BCR) of 2.08 was found in $T_2$. In case of the weed management method, $W_1$ showed superior results on the plant $density/m^2$ (139.66) at 60 days after transplanting (DAT), grain yield ($4.97t\;ha^{-1}$), and BCR (2.03). On the other hand, the highest plant dry matter (36.20 g) at 60 DAT and the highest yield ($6.10t\;ha^{-1}$) were obtained in a $T_3W_1$ combin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productivity of rice during aman season could be most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use of transplanting ($T_3$) alone, hand weeding ($W_1$) alone, or a combination of the two methods ($T_3W_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