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hizopus

검색결과 328건 처리시간 0.021초

Rhizopus nigricans를 이용한 고농도의 Progesterone으로부터 11$\alpha$-hydroxyprogesterone의 생산 (Biotransformation of Progesterone to 11 $\alpha$-Hydroxyprogesterone by using Rhizopus nigricans at Elevated Concentration of the Substrate)

  • 최용복;최상기;박영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6-70
    • /
    • 1990
  • 부피질호르몬의 제조의 중요한 전구체인 11alpha-hydroxyprogesterone을 Rhizopus nigricans를 이용하여 고농도의 progesterone으로부터 고수율로 생산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생물전환수율을 최대로 하는 배지조성은 포도당과 casamino acid의 비율이 2:1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Progesterone은 Tween 80 용액에 분산시켜서 종균배양 후 12 시간 정도 지나서 첨가하였을 때 전환수율이 높았다. Progesterone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생산성이 증가하였고 Progesterone이 20g/$\ell$일 경우 전환수율은 약 70정도 였다.

  • PDF

Soft Rot on Cucumis melo var. makuwa Caused by Rhizopus oryzae

  • Kwon, Jin-Hyeuk;Kim, Jin-Woo;Lee, Yong-Hwan;Shim, Hong-Sik
    • Mycobiology
    • /
    • 제38권4호
    • /
    • pp.336-338
    • /
    • 2010
  • Rhizopus oryzae i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on Cucumis melo L. var. makuwa Makino.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Korean specimen is given, along with its rDNA internal transcribed spacer sequence. On the basis of my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olecular data, the fungus was identified as R. oryzae Went & Prinsen Geerligs.

A Cholesterol Biosynthesis Inhibitor from Rhizopus oryzae

  • Kim, Hyun-Jung;Yim, Soon-Ho;Lee, Ik-So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7권6호
    • /
    • pp.624-627
    • /
    • 2004
  • A bile acid derivative, methyl chalate (1), was isolated from EtOAc extract of the fungus Rhizopus oryzae as a cholesterol biosynthesis inhibitor. It showed moderate inhibitory activity on cholesterol biosynthesis in human Chang liver cells. Compound 1 exhibited inhibitory effect on the later step of cholesterol biosynthesis, indicating that its action mode is different from that of statins that act on the HMG-CoA reductase.

Production of Cellulases by Rhizopus stolonifer from Glucose-Containing Media Based on the Regulation of Transcriptional Regulator CRE

  • Zhang, Yingying;Tang, Bin;Du, Guoche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3호
    • /
    • pp.514-523
    • /
    • 2017
  • Carbon catabolite repression is a crucial regulation mechanism in microorganisms, but its characteristic in Rhizopus is still unclear. We extracted a carbon regulation gene, cre, that encoded a carbon catabolite repressor protein (CRE) from Rhizopus stolonifer TP-02, and studied the regulation of CRE by real-time qPCR. CRE responded to glucose in a certain range, where it could significantly regulate part of the cellulase genes (eg, bg, and cbh2) without cbh1. In the comparison of the response of cre and four cellulase genes to carboxymethylcellulose sodium and a simple carbon source (lactose), the effect of CRE was only related to the concentration of reducing sugars. By regulating the reducing sugars to range from 0.4% to 0.6%, a glucose-containing medium with lactose as the inducer could effectively induce cellulases without the repression of CRE. This regulation method could potentially reduce the cost of enzymes produced in industries and provide a possible solution to achieve the largescale synthesis of cellulases.

Rhizopus oryzae의 인지질과 그 분해효소에 미치는 계면활성제의 영향 (Effect of Sodium deoxycholate and Sodium dodecy sulfate on Phospholipid Composition and Phospholiases of Rhizopus oryzae)

  • 윤희주;조기승;최영길
    • 미생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8-45
    • /
    • 1986
  • Rhizopus oryzae 균사체 내의 인지질 구성 성분은 6종으로 나타났고 sodium deoxycholate와 sodium dodecyl sulfate를 각각 0.48mM, O.18mM의 낮은 농도로 영양배지에 첨가했을때 성장군략의 형태변화와 아울러 미량 존재하던 cerdiolipin과 phospha tidylinositol 그러고 Iy sophospholipid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또한 phospholipase는 A와 C, 그리고 D가 존재하였으며 A와 D는 sodium deoxycholate에 의하여. C는 sodium dodecyl sulfate에 의하여 활성도 증가를 나타냈다.

  • PDF

쌀 입국 제조시 Rhizopus sp. ZB9의 배양조건이 당화 아밀라아제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ulture Conditions of Rhizopus sp. ZB9 on the Production of Saccharifying Amylase during the Preparation of Rice Koji)

  • 소명환;이영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44-649
    • /
    • 2009
  • 본 연구는 한국의 누룩에서 분리한 Rhizopus sp. ZB9로서 탁주 및 약주 양조에 필요한 쌀 입국을 제조할 때에 배양온도, 배양시간, 증미 수분 함량, 입국 두께, 교반 작업 등의 배양조건이 입국의 당화 아밀라아제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한 것이다. Rhizopus sp. ZB9를 접종하여 배양조건을 달리하여서 쌀 입국을 제조하고, 각 입국의 당화 아밀라아제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당화 아밀라아제 생성에 적절한 온도범위는 $28{\sim}36^{\circ}C$이었다. 당화 아밀라아제와 입국의 색을 고려한다면 $28^{\circ}C$에서 60시간 배양하는 것이 가장 좋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당화 아밀라아제 생성에 적절한 증미 수분 함량은 35~40%이었고, 입국의 두께가 두꺼워지더라도 당화 아밀라아제 생성에 나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배양중의 교반작업은 당화 아밀라아제 생성에 나쁜 영향을 나타내었다.

Rhizopus속의 histones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Histones of the Genus Rhizopus)

  • 민병례;이은영
    • 미생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28-133
    • /
    • 1990
  • 고등한 진핵생물에서 nucleosome 구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histone 단백질이 하등한 진핵생물에서도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을 하였다. 하등한 균류에 속하는 Rhizopus 속의 5종(R. acidus, R. arrhizus, R. formosaensis. R R. japoηicus, R. oryzae)을 재료로 하여 15% polyacrylamide acid-urea gel과 18% P이yacηlam ide SDS-gel을 이용하여 전기영동하였다. 분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marker protein으로 Cytochrome C와 함께 15% polyacrylamide SDS-gel을 이용하였으며 모든 gel에서 standard로써 calf thymus histone을 사용하여 electrophoreticmobility를 비교하였고 호 한 속내에서의 종간의 차이가 있는지를 설험하였다 실험결과는 한 속내에서 종에 따른 차이로 볼 수 없었으며 standard인 calf thymus histone HI. H2A, H2B, H3, H4와 유사한 electromobility흘 갖는 protein band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HI histone은 t성확하게 일치되지가않았다.따라서 하등한균류인Rhizopµs에서도고등 진핵생불과유사한단백질이 존재함을 주정할 수가 있었다.

  • PDF

쌀 입국 제조시 Rhizopus sp. ZB9의 배양 조건이 유기산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ulture Conditions of Rhizopus sp. ZB9 on the Production of Organic Acid During the Preparation of Rice Koji)

  • 소명환;이영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70-75
    • /
    • 2010
  • 본 연구는 한국의 누룩에서 분리한 Rhizopus sp. ZB9로서 탁주 및 약주 양조에 필요한 쌀 입국을 제조할 때에 배양 온도, 배양 시간, 증미 수분 함량, 입국 두께, 교반 작업 등의 배양 조건이 입국의 유기산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한 것이다. Rhizopus sp. ZB9를 접종하여 배양 조건을 달리하여서 쌀 입국을 제조하고, 각 입국의 산도를 측정하였다. 유기산 생성에 적절한 온도범위는 $28{\sim}32^{\circ}C$이었으며, 이 온도에서 36~48시간 정도 배양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였다. 증미의 수분 함량을 25%에서 60%로 높임에 따라 유기산 생산은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입국의 두께가 두꺼워지더라도 유기산 생성에 나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배양 중의 교반 작업은 유기산 생성에 매우 효과적이었다.

쌀보리 전분 당화효소 생산균의 분리 동정 및 무증자 알코올 발효에의 이용 (Screening of a Potent, Raw Naked Barley Saccharifying Enzyme Producer and Its Application on the Uncooked Alcohol Fermentation)

  • Oh, Sung-Hoon;Kwon, Ho-Joeng;O, Pyong-Su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408-413
    • /
    • 1987
  • 토양으로부터 생 쌀보리 분해 효소 생산능이 있는 170주의 곰팡이와 4주의 방선균을 분리하여 이중 생 쌀보리 분해 효소 생산능이 가장 높은 No. 281 균주를 선정하여 동정한 결과 Rhizopus sp.로 밝혀졌으며, 밀기울을 기본 배지로 한 효소 생산 조건을 검토한 결과 효소 생산 최적 온도는 3$0^{\circ}C$, pH는 4.5-5.0 이고 배양 시간 5일 후에 최고의 역가를 보였다. 생쌀보리를 이용한 무증자 알코올 발효 실험에서는 분리한 Rhizopus sp. No. 281의 효소를 이용했을 때가 시판 효소보다도 에탄올 생성이 2% 증가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Occurrence of Rhizopus Soft Rot on Squash (Cucurbita moschata) Caused by Rhizopus stolonifer in Korea

  • Kwon, Jin-Hyeuk;Kang, Soo-Woong;Park, Chang-Seuk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6권6호
    • /
    • pp.321-324
    • /
    • 2000
  • season of 2000. The disease infection usually started from flower, peduncle and young fruits, then moved to flower stalk, stem and leaves. At first, the lesions started with water-soaked, rapidly softened, and then the area gradually expanded. In severely affected film house, the rate of infected fruits reached to 28.6%. Numerous sporangiospores were formed on the diseased fruits, flower stalk, stem and leaves. Most of the sporangiospores were appeare to be rapidly dispersed in the air. The mycelia grew on the surface of host and formed stolons. Colonies on potato dextrose agar were cottony at first brownish black at maturity. Sporangia were 125.3${\times}$294.2 ${\mu}$m. globose or sub-globose with somewhat flattened base. White at first the black, many spored, and are never overhanging. Sporangiophores were 2.7-6.8${\times}$12.9-33.9 ${\mu}$m, smooth-walled, non-septate, light brown, simple, long, arising in groups of 3-5 from stolons opposite rhizoids. Sporangiophores were 8.6-21.1${\times}$6.41-1.7 ${\mu}$m, irregular, round, oval, elongate, angular and brownish-black streaked. Columella were 63.8${\times}$140.4 ${\mu}$m. brownish gray, umberella-shaped when dehisced. The causal organism was identified as Rhizopus stolonifer Lind on the basis of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fungus. Rhizopus soft rot on squash (Cucurbita moschata) caused by the fungi has not been previously reported in Ko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