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hizoplane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32초

인삼 유묘 뿌리썩음병 진전에 따른 토양군별 특성 (Characteristics of Soil Groups Basd on the Development of Root Rot of Ginseng Seedlings)

  • 박규진;정후섭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6-56
    • /
    • 1997
  • Based on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of Richards' parameter estimates, ginseng field soils were grouped as the principal component 1 (PC1) and the principal component 2 (PC2). The microflora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each soil group were compared to elucidate soil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 disease development of root rot of ginseng seedling. Among 3 soil groups by PC1,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opulations of total fungi (TF) and Cylindrocarpon plus Fusarium (C+F), and the population ratio of Cylindrocarpon plus Fusarium to total fungi or total bacteria (C+F/TF, C+F/TB) in rhizoplane of ginseng seedlings, the population of total actinomycetes (TA) and the population ratio of total Fusarium to total actinomycetes (Fus/TA) in soil,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EC, NO3-N, K, Mn, ect.). Among 4 soil groups by PC2, there were differences in TF, C+F, TB, C+F/TF and C+F/TB in the rhizoplane, Trichoderma plus Gliocladium (T+G) in soil, and P2O5 content in soil. Especially, EC, NO3-N, K, K/Mg and Mn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PC1, and TA was negatively to PC1; however, TF, C+F, TB, C+F/TF and C+F/TB in the rhizoplan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o PC2 positively. On the other hand, microbes in the rhizoplane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to the stand-missing rate (SMR), although TA and Fe/Mn were negatively correlated, and pH and Ca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SMR.

  • PDF

인삼 근계로부터 다당 생성세균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Exopolysaccharide Producing Bacteria in a Ginseng Root System)

  • 조건영;전인화;한송이;황경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97-300
    • /
    • 2013
  • 인삼근계(근권, 근면, 근내부) 내 EPS 생성세균의 밀도를 측정한 결과, 근권토양 내에는 $2.4{\times}10^6$ CFU/g, 근면에는 $9.1{\times}10^6$ CFU/g, 그리고 근내부에는 $2.0{\times}10^4$ CFU/g로 확인되어 다수의 EPS 생성세균이 분포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인삼 근계로부터 EPS 생성 우수 균주 24균주를 순수분리하고 계통학적 특성을 확인한 결과, 근권(RS)으로부터 분리된 EPS 생성세균은 Arthrobacter 속 6균주, 그리고 Rhizobium 속 1균주로 나타났다. 근면(RP)으로 부터 분리된 EPS 생성세균은 Arthrobacter 속 6균주, Rhodococcus 속 1균주, Pseudomonas 속 1균주로 나타났다. 근내부(IR)에서 분리된 EPS 생성세균은 Rhizobium 속 6균주, Bacillus 속 1균주 그리고 Rhodococcus 속 1균주, Pseudomonas 속 1균주로 나타났다. 근권과 근면에서 분리된 EPS 세균 중 Arthrobacter 속에 속하는 균주는 가장 특징적인 세균으로 밝혀졌으며, Rhizobium 속은 근내부에서 분리된 가장 특징적인 EPS 생성세균으로 나타났다. EPS 생성 우수균주 Rhizobium sp. 1NP2 (KACC 17637)는 10 g/L 그리고 Arthrobacter sp. 5MP1 (KACC 17636)는 4.9 g/L의 다당을 생성하였으며, 당단백질의 구성당 성분을 확인한 결과, galactose, glucose, mannose를 구성하고 있었으며, glucosamine의 아미노당이 나타났다. 특히, glucose는 72.7-84.9%로 주요 구성당임이 확인되었다.

생물학적(生物學的) 질소고정(窒素固定)에 관(關)한 연구(硏究) III. 수도근(手稻根) 표피미생물(表皮微生物)의 질소고정력(窒素固定力) (Studies on Biological Nitrogen Fixation III. Nitrogen Fixing Activity Associated with Rice Rhizoplane for Varietal Screening by Acetylene Reduction Method)

  • 이상규;임동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4-50
    • /
    • 1981
  • 벼뿌리에서 서식(捿息)하는 질소고정미생물(窒素固定微生物)에 의(依)한 질소고정력(窒素固定力)을 검토(檢討)하기 위(爲)하여 벼육성지역(育成地域)이 상이(相異)한 수종(數種)의 품종(品種)을 공시(供試)하여 Acetylene 환원법(還元法)에 의(依)하여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벼뿌리의 질소고정력(窒素固定力)은 생육시기(生育時期) 및 품종(品種)에 따라 상이(相異)했으며 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 및 출수기(出穗期)에 최고(最高)로 높은 고정량(固定量)을 보였다. 2. 볏짚시용(施用)은 벼뿌리에 서식(捿息)하는 질소고정미생물(窒素固定微生物)에 의(依)한 질소고정(窒素固定)을 현저(顯著)히 증가(增加)시키지 못했으나 Kataktara, Centry Partna-231, TKM-6, 대구조(大邱租) 및 조동지(趙同知)는 다소(多少) 증가경향(增加傾向)을 나타내었다. 3. 수도(水稻) 1작기간(作期間) 벼뿌리의 질소고정량(窒素固定量)은 밀양(密陽) 23호가 0.55kg으로 제일(第一) 낮았으며 조동지(趙同知)가 2.6kg으로 가장 높았다. 4. 벼뿌리의 질소고정력(窒素固定力)은 뿌리의 무게와 정상관(正相關) 관계(關係)를 나타내지 않았다.

  • PDF

Geographical Isolation and Root-Associated Fungi in the Marine Terrains: A Step Toward Establishing a Strategy for Acquiring Unique Microbial Resources

  • Park, Jong Myong;Hong, Ji Won;Lee, Woong;Lee, Byoung-Hee;You, Young-Hyun
    • Mycobiology
    • /
    • 제49권3호
    • /
    • pp.235-248
    • /
    • 2021
  •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whether the geo-ecological segregation of native plant species affects the root-associated fungal community. Rhizoplane (RP) and rhizosphere (RS) fungal microbiota of Sedum takesimense native to three geographically segregated coastal regions (volcanic ocean islands) were analyzed using culture-independent methods: 568,507 quality sequences, 1399 operational taxonomic units, five phyla, and 181 genera were obtained. Across all region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hyla distribution and ratio were confirmed. The Chao's richness value was greater for RS than for RP, and this variance coincided with the number of genera. In contrast, the dominance of specific genera in the RS (Simpson value) was lower than the RP at all sites. The taxonomic identity of most fungal species (95%) closely interacting with the common host plant was different. Meanwhile, a considerable number of RP only residing fungal genera were thought to have close interdependency on their host halophyte. Among these, Metarhizium was the sole genus common to all sites. These sugges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otential symbiotic fungi and their host halophyte species evolved with a regional dependency, in the same halophyte species, and of the same natural habitat (volcanic islands); further, the fungal community differenced in distinct geographical regions. Importantly, geographical segregation should be accounted for in national culture collections, based on taxonomical uniqueness.

고창·부안 갯벌에 자생하는 염생식물 칠면초 근권 및 근면으로부터 내 염성 세균 분리와 그 특성화 (Isolation of salt-tolerant bacteria from rhizosphere and rhizoplane of halophyte plant Suaeda japonica in Gochang·Buan tidal flat)

  • 기민규;이혜리;조아현;운노타쯔야;이지훈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2호
    • /
    • pp.125-131
    • /
    • 2017
  • 고창 부안 갯벌에 자생하는 칠면초의 근권 및 근면으로부터 내염성을 지니는 9 균주를 분리하였다. 16S rRNA 유전자를 이용한 계통분석으로 분리된 균주는 Vibrio 속과 Bacillus 속으로 분류되었다. 분리된 균주 중 Vibrio와 Bacillus로 나누어 각각 대표성을 나타낼 수 있는 균주를 선택하여 염 농도에 따른 최적 생장조건을 평가한 결과, 균주 JRS-1 (Vibrio neocaledonicus)은 총 염분 4-6%에서 높은 생장률을 보였다. 균주 JRL-2(Bacillus thuringiensis)는 염분 농도 증가에 따라 생장이 증가하였으며, 7%에서 최대 생장률을 보이고 8%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분리된 균주들은 기존에 서식하던 토양의 염 농도인 3% (w/v) 보다 더 높은 염분에도 견딜 수 있는 내염성을 보였다. 또한 분리균주에 대한 생화학적 기질 이용 형태에 분석을 통해 triglyceride, ${\rho}$-nitrophenyl-${\alpha}$,$\text\tiny{D}$-glucoside, ${\rho}$-nitrophenyl-${\beta}$, $\text\tiny{D}$-glucoside 이용 등 식물과의 특이적인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는 반응들을 확인하였다.

약초 근권토양 내 다당 생성세균 분리 및 계통학적 특성 (Isolation and Phylogenetic Characteristics of Exopolysaccharide Producing Bacteria in a Rhizosphere Soil of Medicinal Herbs)

  • 이혜란;김기광;황경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78-285
    • /
    • 2010
  • 국내에 자생하는 당귀, 삽주, 쇠무릎, 지모, 황기의 근권토양내 EPS 생성균주의 분포율을 조사한 결과 당귀로부터 분리된 균주의 56%가 EPS 생성 균주로 가장 높은 분포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당귀 근계 (근권, 근면, 근 내부) 내 EPS 생성 세균의 밀도를 측정한 결과, 근권 토양 내에는 $9.0{\times}10^6$ CFU/$g{\cdot}soil$, 근면에는 $7.0{\times}10^6$ CFU/$g{\cdot}soil$, 그리고, 근 내부에는 $1.4{\times}10^3$ CFU/$g{\cdot}soil$로 확인되어, 다수의 EPS 생성 세균이 분포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당귀 근권으로부터 분리된 EPS 생성세균은 Alphaproteobacteria (4 strains), Betaproteobacteria (6 strains), Firmicutes (2 strains), Actinobacteria (3 strains), 그리고 Bacteroidetes (1 strain) 계통군에 속하는 균주였다. 근면으로 부터 분리된 EPS 생성세균은 Alphaproteobacteria (7 strains), Betaproteobacteria (3 strains), Actinobacteria (2 strains), Bacteroidetes (3 strains), 그리고 Acidobacteria (1 strain) 계통군으로 나타났으며, 근 내부에서 분리된 EPS 생성세균은 모두 Bacteroidetes 계통군 Chitinophaga에 속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약초 근권토양으로부터 분리된 EPS 생성세균 112균주중에서 Burkholderia caribiensis DR14 (1,547 mpa.s), Terriglobus sp. DRP35균주(2,136 mpa.s), Rhizobium hainanense SAP110균주(1,680 mpa.s)를 최우수 EPS 생성 균주로 선발하였다. 분리 정제된 EPS를 Bio-LC로 분석한 결과 glucose, galactose, mannose의 중성당과, galactosamine, glucosamine의 아미노당이 나타났다. 특히 Rhizobium hainanense SAP110 균주는 주요 중성당으로 glucose (60-89%)를 그리고 주요 아미노당으로 glucosamine (8.5%)을 생성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비병원성 Bacteriocin 생성 Pseudomonas solanacearum을 이용한 담배 세균성마름병 방제 (Protection of Tobacco Plants from Bacterial Wilt with Avirulent Bacteriocin-Producing Strains of Pseudomonas solanacearum)

  • 이영근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42-47
    • /
    • 1991
  • Control effect of an avirulent bacterlocin-producing strain(ABPS) Y6l-1 of Pseudomonas solanacearum on bacterial wilt was 58.8 % when the bacterial suspension had poured onto the rhizosphere soil of tobacco cultivar NC82 on one day before transplanting to the field and of hilling time. Until eight weeks after inoculation, survival of the strain on rhizoplane and in stem of the plants inoculated was better than that of other four strains tested. It suggested that survival of the ABPS in and on the plants should be supported for the sufficient protection.

  • PDF

비병원성 Bacteriocin 생성 Pseudomonu solonueomm의 저온성 균주를 이용한 담배 세균성마름병 방제효과 (Biological Control Effect of Treating Avirulent Bacteriocin-Producing Strain of Pseudomonas sozanacearum Adapted to Low Temperature on Tobacco Bacterial Wilt)

  • 이영근;손준수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6-33
    • /
    • 1993
  • Effect of an avirulent bacteriocin-producing strain(ABPS) of Pseudomonas solanacearum adapted to low temperature on the control of tobacco bacterial wilt was examined under the natural field conditions. The ABPS of p. solanacearum were succeeding-cultured at gradually low temperature, 3$0^{\circ}C$ to 13$^{\circ}C$. The isolates adapted to low temperature grew faster than the wild type either in artificial media or on the tobacco rhizoplane. The control effect of one of the isolates on bacterial wilt was higher than that of the wild type when the bacterial suspension had been poured onto the tobacco rhizosphere soil on 1 day before and 15 days after transplanting to the field. It was suggested that ABPS of p. solanaceamm adapted to the low temperature, might be more effective biological control agent than the wild type.

  • PDF

인삼 근권 토양에서 분리한 Stenotrophomonas sp. 4KR4의 Ginsenoside Rb1 전환능 및 분류학적 특성 (Conversion of Ginsenoside Rb1 and Taxonomical Characterization of Stenotrophomonas sp. 4KR4 from Ginseng Rhizosphere Soil)

  • 전인화;조건영;한송이;유선균;황경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69-376
    • /
    • 2013
  • 인삼 근계(근권, 근면, 근내부)로부터 ginsenoside Rb1 전환효소인 ${\beta}$-glucosidase 생산 균주(BGB)를 분리하였다. 인삼 근계부터 분리된 BGB 28균주의 계통학적 특성을 확인한 결과, 근권에서 Stenotrophomonas 속(3균주), Pseudoxanthomonas 속(1균주), Bacillus 속(1균주)로 확인되었다. 근면로부터 분리된 BGB는 Stenotrophomonas 속(16균주), Streptomyces 속(1균주), Microbacterium 속(1균주)이며, 근내부는 Stenotrophomonas 속(3균주), Lysobacter 속(2균주)를 포함하는 다양한 계통군이 확인 되었다. 특히 인삼 근계로부터 분리된 BGB 균주의 90%가 Stenotrophomonas 계통군에 속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근권으로부터 분리된 4KR4 균주는 108.17 unit의 ${\beta}$-glucosidase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ginsenoside Rb1을 Rd, Rg3 그리고 minor ginsenoside Rh2로 전환되었다. 4KR4 균주는 Stenotrophomonas rhizophila e-$p10^T$ (AJ293463)와 99.65%의 높은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분리된 ginsenoside 전환세균 4KR4 균주의 계통학적 위치와 표현형적 특징, 균체 지방산조성, 생리 생화학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 Stenotrophomonas sp. 4KR4 (=KACC 17635) 균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