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hizome

검색결과 633건 처리시간 0.033초

조직배양생강과 한국재래종 생강의 유효성분 비교 (Comparison of Active Ingredients between Field Grown and In Vitro Cultured Rhizome of Korean Native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 조만현;함인기;이규희;이종국;이가순;박상규;김태일;이은모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04-41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생강의 유효성분을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한국재래종생강과 조직배양생강의 일반성분, 무기성분, 유리당, 지방산, 휘발성 성분, 그리고 6-gingerol과 6-shogaol 등을 분석하여 평가하였다. 일반성분(조회분, 조지방, 조단백질, 탄수화물)함량은 한국재래종 생강이 조직배양생강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무기성분(Cu, Fe, Mn, Zn) 함량은 조직배양생강이 한국재래종 생강보다 높게 나타났다. 무기성분 중에서 가장 많은 것이 K이었으며, P와 Mg, Na, Ca 순으로 많았다. 유리당(fructose, glucose, sucrose)은 조직배양생강이 한국재래종 생강보다 높게 나타났다. 생강은 C14 미만의 지방산이 주요 지방산이었다. Citral 성분은 한국재래종 생강이 조직배양생강 보다 생강의 고유향이 더 강하게 나타났으며, gingerol 함량은 경정배양에 의하여 증가하였다.

지황의 비대시기와 수확시기 구명 연구 (Investigation of Rhizome Enlargement Stage and Harvest Time in Rehmannia glutinosa (Gaertn.) Libosch. ex Steud.)

  • 이상훈;홍충의;이소희;구성철;허목;이우문;장재기;한종원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315-321
    • /
    • 2019
  • Background: There have been no studies to date on rhizome development and optimal harvest timing for Rehmannia glutinosa. We therefore, undertook this investigation. Methods and Results: R. glutinosa 'Jihwang 1' was sown in early May and harvested in early November. Growth investigations were carried out at intervals of 10 days between 90 and 180 days after sowing (DAS). Leaf length, leaf width, and number of leaves increased until 150 DAS but decreased after 160 DAS. Rhizome length increased until 120 DAS subsequently, rhizome diameter increased rapidly between 130 and 150 DAS. Thus, the key period for rhizome enlargement in R. glutinosa is thought to be 130 to 150 DAS. Fresh root yield increased sharply from 916 kg/10a to 1,914 kg/10a between 4 and 5 months after sowing (MAS). Dry matter ratio increased gradually from 19.2% at 4 MAS to 24.4% at 6 MAS. Finally, the level of catalpol, a key active ingredient, increased sharply from 0.41% to 4.21% between 5 and 6 MAS. Given the dry matter ratio, catalpol content and yield measured, we suggest that optimal R. glutinosa harvest time is 6 MAS. Conclusions: Based on our results, the key period for rhizome enlargement is 130 to 150 DAS and optimal harvest timing is 6 MAS. We anticipate that these and other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inform cultivation of R. glutinosa.

강원남부지역의 지황 재배 적정성 평가 (Appropriateness Evaluation of Cultivation of Rehmannia glutinosa (Gaertn.) Libosch. ex Steud. in the Region of Southern Gangwon Province, South Korea)

  • 이상훈;구성철;허목;이우문;장재기;한종원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71-477
    • /
    • 2019
  • 본 연구는 지황이 강원도 남부지역에서 재배가 가능한 대체 작목인지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수량의 경우 음성 1,848 kg/10a, 정선 1,571 kg/10a, 평창 1,485 kg/10a로, 2015년부터 2017년 지황 평균 단수인 838 kg/10a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지황은 근경 굵기가 15 mm 전후가 되면 상품(上品)의 등급으로 팔리는데, 강원도 재배지역 모두 15 mm가 넘어 상품성(商品性)에도 문제가 없었다. 그러므로 생산량과 품질 조건을 고려해 볼 때, 현재 강원도에서 지황 재배는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를 적용하기에는 강원도의 여러 제반 사항을 고려한 경제성 분석이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Sesquiterpenoids from the Rhizome of Curcuma zedoaria

  • Hong, Chai-Hee;Kim, Young-heem;Lee, Sang-Kook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4권5호
    • /
    • pp.424-426
    • /
    • 2001
  • In the course of searching for biologically active sesquiterpenoids from Curcuma genus, two sesquiterpenoids were isolated from the rhizome of Curcuma zedoaria (Zingiberaceae). Their structures were identified as ar-turmerone (1) and $\beta$-turmerone (2). The structure elucidation of compounds 1 and 2 was carried out by comparison of their physical and spectral data with previously reported values.

  • PDF

재배지모의 saponin 함량에 관한 연구 (The saponin contents of cultivated Anemarrhena asphodeloides B$_{UNGE}$ in Korea)

  • 박재주
    • 약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64-75
    • /
    • 1971
  • Optimum condition for cultivation of Anemarrhena asphodeloides B$_{UNGE}$ and seasonal variation of saponin and sapogenin contents in the rhizome were investigated. It is confirmed that the best harvest time is 3rd year. Average contents of saponin in rhizome was 8.5% and 5.0%, in fibrous roots, being highest in winter. The facotrs of saponin content variation were seemed to be temperature and humidity. It was also proved that asphonin was the mixture of timosaponin A-III, timosaponin A-I and mangiferin. Mangiferin and isomangiferin were isolated from the flower.

  • PDF

Studies on Antitumor and Immunopotentiation Activities of Polysaccharides from Trichosanthes Rhizome

  • Chung, Yeoun-Bong;Lee, Chong-Chull;Park, Soo-Wan;Lee, Chung-Kyu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3권3호
    • /
    • pp.285-288
    • /
    • 1990
  • The polysaccharide fraction from the rhizome of Trichosanthes kirilowii (Cu-curbitaceae) showed marked antitumor and cytotoxic activity with immunopotentiating activity. It was evidenced by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circulating leucocytes and peritoneal exudate cells and the recovery of lowered antibody forming activity in mice. The polysaccharide was mainly composed of glucose, galactose, fructose, manmose and xylose and a small amount of protein.

  • PDF

고추냉이의 재식 밀도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anting Density on Growth and Yield of Wasabia japonica Matsum.)

  • 변학수;허수정;임수정;서정식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00-303
    • /
    • 2004
  • 고추냉이 재식밀도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며 소식구$(30{\times}25\;cm)$와 밀식구$(30{\times}15\;cm)$로 정식하고 시험한 결과 지상부 생육은 초장, 엽병장, 엽수, 분지수 등 모든 형질에서 소식구의 생육이 양호하였다. 근경의 생육 및 수량에서 개체별 근경은 소식구에서 우수하였으나 10a당 수량은 밀식구에서 높았으며 상품근경중도 많았다. 그러나 상품율은 소식구에서 높았다. 근경장의 분포는 소식구에서는 비교적 큰 12 cm 이상이 50%가 분포하였으나 밀식구에서는 10 cm 이하에 65%가 분포하여 큰 대조를 이루었다. 근경폭의 분포도 이와 비슷하여 소식구에서는 27 mm 이상에 50%가 분포하였고, 밀식구에서는 27 mm 이하에 75%가 분포하였다. 그러나 등급별 분포는 소식구와 밀식구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폴드 개념을 이용한 환경설계방법 연구 - 도산공원 재설계를 사례로 - (Environmental Design Methods Based on the Idea of Fold : The Re-Design Proposal of Do-San Park)

  • 오창송;조경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50-62
    • /
    • 2002
  • From modernism to post-modernism, the practice in the design field often reduced the complexity of environment and to remove variety. However, contemporary ideas of space have been changed. The current thought premise is that the environment is mutable and is evolving according to inner and outer forces and elements. Therefore, leading designers recognize that the environment is complex in itself while anticipating a new theory explaining on-going trends. The idea of fold formulated by Gilles Deleuze can provide a theoretical base for new environmental design in constrat to current design practices. The fold is a hybrid by accommodating complex relations within an object. It carries a dynamic world view through continual process and yields a topological space against absolute space like Euclid geometry.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ld can be paraphrased as rhizome, stratification and smooth space. Rhizome forms a non-hierarchial connection like networking in internet space. Stratification is a kind of superimposition of autonomous potential layers within a single object. Smooth space is a free space and event oriented space keeping non-linear form. This study tried to incorporate the idea of fold to environmental design methods and design process in order to make space which can correspond with complex environment and topological form. In the design process adapted to fold theory, rhizome analysis accepts the complexity of environment and stratification strategy embraces the possibility of accidental use. As a result, the designed park carries a monadic image and produces an ambiguous space. Lastly, smooth space makes topological space unlike Euclid geometry and is free space comosed by the user themselves. Transporting the idea of fold into environmental design could be an alterative way for indeterminate and flexible design to accept new identity of place. Therefore, this study accepts the concept of incidental morphogenesis to make space based on the complexity of environment. The designed space based on the idea of fold searches to create free event space determined by user rather than designated by designer.

남부도서지역에서 차광처리가 울금(Curcuma aromatica Salisbury)의 주요형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hade-method on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Curcuma aromatica Salisbury in Southern Islands of Korea)

  • 최성규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03년도 제10차 국제학술회의 및 추계정기 학술발표회
    • /
    • pp.50-56
    • /
    • 2003
  • 우리나라 남부도서지역인 진도지방에서 울금 다수확의 기초 자료를 얻고자 차광재배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진도지역에서 울금을 4월 20일 정식할 경우 4주 지난 후에 출현되고, 출현율은 83~88%이었다. 초장은 129cm~147cm 이였고, 차광의 정도가 높을수록 초장이 커지는 경향이었다. 엽장은 47.5cm~49.4cm로 차광 30~60%에서 약간 양호하였다. 또한 엽폭은 16.9~17.9cm로 차광이 높을수록 짧아지는 경향이었으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울금의 1주 근경중는 941~993g로 비대가 잘 되었고, 10a당 3,980~4,200kg을 생산 할 수 있었으며, 15%와 30% 차광이 수량이 약간 증수되었으나 45%이상의 차광에서는 오히려 감소되는 경향으로 차광의 효과는 인정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울금을 재배할 경우 15%차광에서 생육이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고, 근경수량이 약간 증수되나 경제성으로 고려하여 재배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고려인삼근의 부위별 년근별 사포닌 함량 및 분포 (Distribution of Saponin in Various Sections of panax ginseng root and Change of Its Contents According to Root Age)

  • 김만욱;고성룡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1권1호
    • /
    • pp.10-16
    • /
    • 1987
  • 인삼제품의 품질관리와 효능연구의 시료사용에 참고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인삼근의 부위별, 연근별 사포닌 함량 및 분포를 조사하였다. 한국인삼 6년근의 부위별 조성은 뇌두(rhizome) 4.1%, 동체(main root) 47.7%, 지근(lateral)의 비는 대략 1:1이었으나 지근부는 2:1로 피층이 많았다. 사포닌분포는 동체와 세근부가 29% 정도로 거의 같고, 지근부 34.6%로 가장 많았고, 뇌두는 7% 수준으로 가장 적었다. 그러나 단위 중량당 함량에서는 세근>퇴두>지근>동체의 순으로 뇌두가 높은 반면 동체는 가장 낮았다. 연근별 사포닌 변화는 2년근 4.89%, 6년근 7.98%로서 본포이식후 4년간 약 3% 증가에 그쳤으나 뿌리의 비대성장을 고려할 때 계속적으로 합성축적 되었으며 연간 증가율은 5년근이 43.8%로 가장 왕성한 성장기임을 나타내고 4년근 19.8%, 6년근 21.1%로 비슷했다. 따라서 5년에 뿌리의 생장과 사포닌 합성축적이 최고 수준에 도달했다가 6년째 부터 쇠퇴기로 됨을 알았다. 개별 사포닌의 함량변화는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나 PT계 사포닌보다는 PD계 사포닌의 증가가 보다 큰 경향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