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hizoctonia blight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3초

Mycelial Melanization of Rhizoctonia solani AG1 Affecting Pathogenicity in Rice

  • Kim, Heung-Tae;Chung, Young-Ryun;Cho, Kwang-Yu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7권4호
    • /
    • pp.210-215
    • /
    • 2001
  • The phenotype of Rhizoctonia solani KR-13 was randomly segregated to both melanin-producing (M+) and non-producing (M-) types through successive cultures on PDA. M+type with dark melanin showed strong pathogenicity to rice and self-anastomosis. Meanwhile, M- type with white or less-melanized mycelia showed very weak pathogenicity and non-self-anastomosis. Melanin production of R. solani was affected by incubation temperature in both M+ and M- types, but not by light treatment. The application of tricyclazole, an inhibitor of fungal melanin biosynthesis, showed no controlling effect on R. solani causing rice sheath blight.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melanization of mycelia of R. solani is an important pathogenicity factor in rice.

  • PDF

Selection of Natural Materials for Eco-friendly Control for Blight of Wood-Cultivated Ginseng(Panax ginseng)

  • Lee, Chong-Kyu;Yu, Chan-Yeol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2호
    • /
    • pp.9-13
    • /
    • 201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ntrol the disease of wood-cultivated ginseng(panax ginseng) using natural materials. Four fungi spices such as Pythium ultimum, Alternaria alternata, Fusarium oxysporum and Rhizoctonia solani which caused disease of the wood-cultivated ginseng were investigated. The infection of these fungi causes symptom on roots, stems and leaves. The leaves became dry and die. The disease caused by Pythium ultimum can be prevented by using friendly environmental materials like Chamaecyparis obtuse essential oil and Wormstop. Alternaria alternata and Fusarium oxysporum might be prevented by using wormstop extracted from Neem tree(Azadirachta indica). No substance tested effectively prevents the growth of Rhizoctonia solani.

New Sources of Resistance and Identification of DNA Marker Loci for Sheath Blight Disease Caused by Rhizoctonia solani Kuhn, in Rice

  • Pachai, Poonguzhali;Ashish, Chauhan;Abinash, Kar;Shivaji, Lavale;Spurthi N., Nayak;S.K., Prashanthi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8권6호
    • /
    • pp.572-582
    • /
    • 2022
  • Sheath blight disease caused by the necrotrophic, soilborne pathogen Rhizoctonia solani Kuhn, is the global threat to rice production. Lack of reliable stable resistance sources in rice germplasm pool for sheath blight has made resistance breeding a very difficult task. In the current study, 101 rice landraces were screened against R. solani under artificial epiphytotics and identified six moderately resistant landraces, Jigguvaratiga, Honasu, Jeer Sali, Jeeraga-2, BiliKagga, and Medini Sannabatta with relative lesion height (RLH) range of 21-30%. Landrace Jigguvaratiga with consistent and better level of resistance (21% RLH) than resistant check Tetep (RLH 28%) was used to develop mapping population. DNA markers associated with ShB resistance were identified in F2 mapping population developed from Jigguvaratiga × BPT5204 (susceptible variety) using bulk segregant analysis. Among 56 parental polymorphic markers, RM5556, RM6208, and RM7 were polymorphic between the bulks. Single marker analysis indicated the significant association of ShB with RM5556 and RM6208 with phenotypic variance (R2) of 28.29 and 20.06%, respectively. Co-segregation analysis confirmed the strong association of RM5556 and RM6208 located on chromosome 8 for ShB trait. This is the first report on association of RM6208 marker for ShB resistance. In silico analysis revealed that RM6208 loci resides the stearoyl ACP desaturases protein, which is involved in defense mechanism against plant pathogens. RM5556 loci resides a protein, with unknown function. The putative candidate genes or quantitative trait locus harbouring at the marker interval of RM5556 and RM6208 can be further used to develop ShB resistant varieties using molecular breeding approaches.

참깨 입고병에 대한 종자 소독제의 효과 (Effects of Seed Sterilization on Seedling Blight in Sesame (Sesamum indicum L.))

  • 이정일;강철환;이승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8-83
    • /
    • 1982
  • 우리나라 참깨 수요와 재배면적은 해를 거듭할수록 증가하고 있으나 병해에 의한 저수량성은 참깨 증산에 큰 문제점이 되어 왔다. 참깨 병해중에도 입고병은 참깨발아 및 생육초기에 발생함으로써 입묘확보가 어려운 실정에 있었다. 현재까지 저항성 유전자원이 발견되지 않아 내병성품종 개발이 되어있지 않은 현실에서 약제처리로라도 방제할 수 있는 효과를 거두기 위하여 본시험을 실시하였다. 이에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참깨 입고병균인 Fusarium oxysporum f. vasinfectum과 Rhizoctonia solani의 접종은 밀배지를 사용하여 28$^{\circ}C$ C에서 20일간 균배양한 밀배지 10g을 토양 1kg에 골고루 섞어 포장 전면에 접종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종자소독 처리약제 중에서는 Benlate-T가 이병주율 4%, 10a당 종실중 40.7kg으로서 무처리의 이병주율 96%, 10a당 종실중 6.4kg에 비하여 높은 방제효과를 보였다. 2. 실내에서 풋트시험한 결과에서도 포장시험에서와 같이 Benlate-T는 이병주율 7%로써 무처리 100%에 비하여 높은 방제효과를 보였다. 3. 발아후 방제약제 분무처리 효과에서 Topsin M이 이병주율 19%로서 무처리 38%에 비하여 낮았으나 종자소독제 처리와 같은 입고병 방제효과는 없었다. 4. 종자소독제 처리후 25일에 살균제 분무처리한 종합처리 효과는 Benlate-T+Difolatan 처리구가 이병주율 3%로서 무처리 96%에 비하여 높은 효과를 보였으나 여기에서의 주효과는 Benlate-T의 종자소독처리 효과였다.

  • PDF

Methanesulfonamide와 phenylhyazone 유도체의 살균활성에 대한 parameter focusing (Parameter focusing on the fungicidal activity of methanesulfonamide and phenylhydrazone derivatives)

  • 성낙도;김선영;최중권;옥환석
    • 농약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86-89
    • /
    • 1999
  • 일련의 methanesulfonamide(Ia-Ig)와 phenylhydrazone(IIa-IIh) 유도체를 합성하고 식물성 병원균인 잿빛 곰팡이병균(BC: Botrytis cinerea), 고추 역병균(PC: Phytophthora capsici) 및 문고병균(RS: Rhizoctonia solani)에 대한 살균활성을 한천 희석법으로 측정하였다. 살균활성은 (I)보다 (II)가 다소 큰 영향을 미쳤으며 (I)과 (II) 모두 PC=BC>RS의 순서로 살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다루어진 화합물 중에서 3-chlorophenyl 치환체, IIg가 PC균에 대하여 가장 강한 활성 ($pI_{50}=3.96$)을 보였다. 또한, parameter focusing을 통하여 검토된 살균활성에 미치는 요인들로는 Ovality, 극성 및 logP상수 등이었다.

  • PDF

Growth Promoting Rhizospheric and Endophytic Bacteria from Curcuma longa L. as Biocontrol Agents against Rhizome Rot and Leaf Blight Diseases

  • Vinayarani, G.;Prakash, H.S.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4권3호
    • /
    • pp.218-235
    • /
    • 2018
  • 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a and endophytic bacteria were isolated from different varieties of turmeric (Curcuma longa L.) from South India. Totally 50 strains representing, 30 PGPR and 20 endophytic bacteria were identified based on biochemical assays and 16S rDNA sequence analysis. The isolates were screened for antagonistic activity against Pythium aphanidermatum (Edson) Fitzp., and Rhizoctonia solani Kuhn., causing rhizome rot and leaf blight diseases in turmeric, by dual culture and liquid culture assays. Results revealed that only five isolates of PGPR and four endophytic bacteria showed more than 70% suppression of test pathogens in both assays. The SEM studies of interaction zone showed significant ultrastructural changes of the hyphae like shriveling, breakage and desication of the pathogens by PGPR B. cereus (RBacDOB-S24) and endophyte P. aeruginosa (BacDOB-E19). Selected isolates showed multiple Plant growth promoting traits. The rhizome bacterization followed by soil application of B. cereus (RBacDOB-S24) showed lowest Percent Disease Incidence (PDI) of rhizome rot and leaf blight, 16.4% and 15.5% respectively. Similarly, P. aeruginosa (BacDOB-E19) recorded PDI of rhizome rot (17.5%) and leaf blight (17.7%). The treatment of these promising isolates exhibited significant increase in plant height and fresh rhizome yield/plant in comparison with untreated control under greenhouse condition. Thereby, these isolates can be exploited as a potential biocontrol agent for suppressing rhizome rot and leaf blight diseases in turmeric.

벼잎집무늬마름병균 및 고추역병균에 대한 N-Phenyl-O-phenyl-thionocarbamate 유도체들의 살균활성에 관한 비교분자 유사성 분석 (Comparative Molecular Similar Indice Analysis on Fungicidal Activity of N-phenyl-O-phenylthionocarbamate Derivatives against Rice Sheath Blight and Phytophthora Blight)

  • 성민규;유재원;장석찬;성낙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3호
    • /
    • pp.187-191
    • /
    • 2007
  • 벼잎집무늬마름병균(RS: Rhizoctonia solani) 및 고추역병균 (PC: Phytophtora capsici)에 대한 N-phenyl-O-phenylthionocarbamate 유도체 중, N-phenyl 치환체(X)들의 살균활성에 관한 비교분자 유사성 지수분석(CoMSIA) 모델을 유도하고 기질분자와 ${\beta}-tubulin$ 사이의 수소결합성을 정량적으로 검토하였다. CoMSIA 모델들의 기여도로부터 두 균주에 대한 살균활성은 공통적으로 수소결합 받게장이 가장 크게 기여하였다. 두 균주 사이의 살균활성에 있어서 선택성은 N-phenyl 고리상 para- 및 meta-치환기로서, RS에서는 수소결합 주게가 아닌 작용기를 그리고 PC에서는 수소결합 받게가 아닌 작용기들의 역할에 기인하는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RS에서는 meta-위치에 입체적으로 작고 음하전을 선호하는 치환기(X)가 그리고 PC에서는 para-위치에 수소결합 받게가 도입된다면 두 균주에 대한 살균 활성이 증가 할 것이다.

과거 50년간 고려인삼 병 방제 변천사 (History of Disease Control of Korean Ginseng over the Past 50 Years)

  • 조대휘
    • 인삼문화
    • /
    • 제6권
    • /
    • pp.51-79
    • /
    • 2024
  • 인삼 병해 방제 연구 초기 단계였던 1970~1980년대에는 병원균을 분리하고 동정한 후 병원균의 생리와 발병 특성을 구명하였다. 그에 따라 지상부 주요 병해인점무늬병, 탄저병, 역병, 그리고 주요 토양 병해인 모잘록병, 모썩음병, 균핵병, 잘록병 등에 대한 경종적(耕種的) 예방법과 화학적 방제를 병행하는 방제법이 수립 될 수 있었다. 1980년대에 해가림 피복물이 기존의 볏짚 대신 polyethylene(P.E) 차광망으로 바뀌었다. 이에 따른 병 방제법 개선 연구가 1987~1989년에 진행되었다. 이때의 연구를 통하여 점무늬병 발병 억제를 위한 빗물 누수 최소화 4중직 P.E 차광망 소재가 도입되었다. 1990년부터는 줄기속무름병균을 동정하였고 발병을 억제하는 화경제거법이 수립되었다. 또한 연작장해 원인균인 뿌리썩음병균을 구명하고 연작지 재활용을 위한 토양 훈증방법, 성토방법의 기초 및 응용연구가 진행되었다. 2000년에 들어서는 급속한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방제법 수정과 보완 연구가 수행되었는데 출아기 강우 과다에 의한 줄기점무늬병의 작물보호제 방제법과 잿빛곰팡이병의 경종적 예방법이 수립되었다. 또한 모잘록병, 잘록병의 방제법 개선 방안이 확립되었다. 지난 50년 동안 초기에는 인삼 병의 원인과 방제법의 개발에 주력하였고, 후기에는 개발된 방제법의 개선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경험삼아 앞으로 기후변화, 인삼 초작지 고갈, 인건비 상승, 소비자의 안전성 의식제고 등과 같은 여건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인삼 재배법과 병해 방제법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Zoysiagrass에 Waitea circinata에 의한 Waitea Ring Patch 발생 (First Report of Waitea Ring Patch caused by Waitea circinata on Zoysiagrass)

  • 김경덕;홍성철;장공만;한무호;피재호;박대섭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4호
    • /
    • pp.378-381
    • /
    • 2014
  • Zoysiagrass는 대표적인 난지형 잔디로 Curvularia leaf spot, Large patch, Rhizoctonia blight, Spring dead spot, 그리고 Dollar spot 등의 다양한 병에 직면해 있으며 최근에는 많은 병원균들의 복합 감염에 의한 잔디병 양상을 보이고 있다. 최근에 패취형태의 병반을 가진 zoysiagrass 엽조직으로 부터 Rhizoctonia 속과 유사한 곰팡이를 분리하였다. 리보소옴 D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Waitea circinata 균주들과 98% 이상의 상동성을 보였고, Koch's 법칙에 따라 zoysiagrass에서 병원성을 확인하여 이 병의 주 원인균은 Waitea circinata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본 병은 zoysiagrass에서 Waitea circinata에 의해 최초로 국내에서 발생한 병으로 사료되며, 기본 병명과 동일하게 Waitea ring patch로 사용하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벼 잎집무늬마름병의 생태학적 연구 IV. 균핵의 접종시기와 발병 (Ecological Studies on Rice Sheath Blight Caused by Rhizoctonia solani IV. Inoculation Time of Sclerotium and Disease Development)

  • 김장규;나동수;민홍식;이영희;이은종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권3호
    • /
    • pp.169-172
    • /
    • 1985
  • Rhizoctomia solani 자연균핵을 6월 15일부터 7월 15일까지 10일 간격으로 이천소재 병리시험포장에서 접종하였다. 이병경율, 병반높이, 병반고율은 후기접종구보다 조기접종구에서 높았다. 그러나 성숙기의 피해도 및 수량에 있어서는 접종시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같은 양의 전염원이 존재할 때에는 잎집무늬마름병 초기병반의 출현시기의 조만이 성숙기의 피해도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