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gp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44초

인산기를 함유한 Glycidylmethacrylate-Divinylbenzene 공중합체의 제조와 우라늄 흡착특성(제2보) - RGP수지에 대한 우라늄의 흡착평형과 흡착속도 - (Preparation of Glycidylmethacrylate-Divinylbenzene Copolymers Containing Phosphoric Acid Groups and Their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Uranium(II) - Adsorption Equilibrium and Kinetics of Uranium on RGP Resins -)

  • 허광선;박상욱
    • 공업화학
    • /
    • 제9권5호
    • /
    • pp.689-697
    • /
    • 1998
  • 가교도와 희석제량을 변화시켜 제조한 인산기를 갖는 MR형 양이온 교환수지(RGP)에 대하여 우라늄의 흡착평형, 흡착속도 및 흡착 율속 단계를 고찰하였다. RGP 수지에 대한 우라늄의 흡착 평형은 가교도, 희석제량 및 흡착온도 변화 모두 Freundlich 등온식과 Langmuir 등온식으로 잘 나타났다. RGP수지에 대한 우라늄의 흡착량과 흡착속도는 흡착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이때 흡착열은 ${\Delta}H=11kcal/mol$ 이었다. RGP 수지에 대한우라늄의 흡착속도는 가교도의 영향인 경우 RGP-10(50)>RGP-1(50)>RGP-2(50)>RGP-5(50)RGP-0(50)>이며, 희석제량의 영향인 경우 RGP-2(75)>RGP-2(100)>RGP-2(50)>RGP-2(30)>RGP-2(0) 순으로 증가하였다. RGP수지에 대한 우라늄의 확산저항은 분자확산<세공확산<표면확산 순이었으며, 수지내의 우라늄의 확산 율속은 세공 확산보다 표면 확산이 율속이었다.

  • PDF

각막 이심률과 RGP 렌즈의 중심안정위치와의 상관관계 (A Relationship between Corneal Eccentricity and Stable Centration of RGP Lens on Cornea)

  • 박은혜;김소라;박미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73-380
    • /
    • 2012
  • 목적: 본 연구에서는 각막 이심률과 RGP 렌즈의 중심안정위치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각막 이심률이 0.28~0.78인 각막 84안을 대상으로 구면 및 비구면 RGP 렌즈를 피팅 상태를 달리하여 착용시키고 각막에서의 중심안정위치를 초고속 카메라로 촬영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구면과 비구면 RGP 렌즈의 수평방향 중심안정위치는 이심률이 작은 각막에서는 귀쪽으로의 치우쳐짐이 컸으나 이심률이 큰 경우는 각막 중심에 더 가까이 위치하였다. 구면 및 비구면 RGP 렌즈 모두 피팅 상태가 플랫할수록 이심률에 따른 중심안정위치의 차이가 커졌으며, 비구면 RGP 렌즈의 경우 각막 이심률이 작은 경우와 큰 경우 모두 중심안정위치의 차이가 구면 RGP 렌즈 보다 더 적었다. 구면 및 비구면 RGP 렌즈 착용 시 수직방향으로의 중심안정위치는 피팅 상태에 상관없이 모두 각막 중심을 기준으로 아래쪽에 위치하였으며 각막 이심률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심률이 클수록 RGP 렌즈가 상안검에 맞닿는 경우가 많았다. 결론: 각막 이심률에 따라 구면 RGP 렌즈뿐만 아니라 비구면 RGP 렌즈의 중심안정위치가 달라졌으므로 RGP 렌즈의 피팅 및 제조 시에 이러한 점들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인산기를 함유한 Glycidylmethacrylate-Divinylbenzene 공중합체의 제조와 우라늄 흡착특성(제1보) - 인산기를 함유한 GMA-DVB 공중합체의 제조와 물성 - (Preparation of Glycidylmethacrylate-Divinylbenzene Copolymers Containing Phosphoric Acid Groups and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Uranium(I) - Preparation of Glycidylmethacrylate-Divinylbenzene Copolymers Containing Phosphoric Acid Groups and Their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Uranium -)

  • 허광선;신세건
    • 공업화학
    • /
    • 제9권5호
    • /
    • pp.680-688
    • /
    • 1998
  • 친수성 단량체 glycidylmethacrylate (GMA)에 가교제인 divinylbenzene (DVB)과 세공형성제인 2,2,4-trimethylpentane (TMP)량을 각각 0~10 mol %과 0~100 vol %로 변화시켜 현탁중합법으로 macroreticular (MR)형 GMA-DVB 공중합체 (RG라 칭함)을 합성하였다. 이들 공중합체를 벤젠 존재하에서 인산으로 인산화시켜 인산기를 갖는 거대망상형 양이온 교환수지 (macroreticular type cation exchange resins containing phosphoric acid groups, RGP)을 제조하였으며, 이들 수지에 대한 물성과 우라늄의 흡착능을 고찰하였다. RGP수지들의 물성은 합성시 가교도와 희석제량에 따라 영향이 있었으며, 우라늄의 흡착능은 가교도 영향인 경우 $$RGP-10(50){\sim_=}RGP-1(50)>RGP-2(50)>RGP-5(50)>RGP-0(50)$$ 이며, 희석제량의 영향인 경우는 RGP-2(100)>RGP-2(75)>RGP-2(50)>RGP-2(30)>RGP-2(0)순이였다. RGP수지들의 물성과 우라늄의 흡착능에서 가교도의 영향인 경우 RGP 수지의 세공구조, 양이온 교환 용량 및 팽윤비에 의존하며, 희석제량의 영향인 경우는 양이온 교환 용량보다도 비표면적과 세공구조에 더 영향이 있었다.

  • PDF

관리 용품에 따른 RGP 렌즈의 세척효과 및 습윤성 차이 (The Difference of the Cleaning and Wettability-maintaining Efficacy of Lens Care Solution to RGP Lens)

  • 김명혜;박미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7-34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RGP 렌즈에 부착된 누액 성분의 세척효과 및 RGP 렌즈의 습윤성 유지에 대한 RGP 렌즈 관리용액, 소프트콘택트렌즈(SCL) 관리용액, RGP 렌즈-SCL 겸용관리용액 및 생리식염수의 작용의 차이를 알아 보았다. 단백질 세척력을 알아보기 위해 Lowry protein assay와 주사현미경 관찰을 하였으며, 지질 세척력을 알아보기 위해 High Pressure Liquid Chromatology(HPLC)를 사용하였고, 습윤성은 water-in-air 방법으로 접촉각을 측정하여 알아 보았다. RGP 렌즈관리용액으로 RGP 렌즈를 세척 및 보관하였을 때 부착된 단백질의 62%가 제거되었으며, 이러한 단백질 부착물 세척력은 생리식염수나 겸용 관리용액에 비해 약 4배 우수한 것일 뿐만 아니라 SCL 관리용액에 비해 2배 우수한 것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소프트 콘택트렌즈에서의 SCL 관리용액의 단백질 세척력이 가장 우수하다는 것과 상이한 결과로, 세척 효과가 단순히 계면활성제의 활성만의 차이에 의해 나타나는 것은 아니며 RGP 렌즈 관리용액에 들어있는 점성증가제와 같은 성분들이 RGP 렌즈와 용액의 접촉을 증가시켜 세척효과가 강화되는 것과 같이 다른 요인들이 작용하여 나타나는 결과로 여겨진다. RGP 렌즈에 부착되어 있는 지질 또한 RGP 렌즈 관리용액이 가장 우수한 지질세척 효과를 가져 렌즈에 잔존하는 cholesterol의 양이 50%로 감소하였다. RGP 렌즈의 편안한 착용감을 위한 중요한 평가 지료인 렌즈 표면의 습윤성은 RGP 렌즈 관리용액에 의해 가장잘 유지되었다. 겸용 관리용액의 경우 세척력 및 습윤성 유지력이 모두 RGP 렌즈 용액에 못 미쳤다.

  • PDF

각막형상과 난시도에 따른 구면 RGP 렌즈와 비구면 RGP 렌즈의 플루레신 염색 패턴 비교 (The Comparison of Fluorescein Patterns between Spherical RGP Lens and Aspherical RGP Lens by Corneal Type and Astigmatic Degree)

  • 박은혜;김소라;박미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7-45
    • /
    • 2012
  • 목적: 구면 RGP 렌즈 및 비구면 RGP 렌즈를 양호하게 피팅할 때 중심부와 주변부의 플루레신 염색 면적이 난시도 및 각막형상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 지를 비교하여 렌즈와 각막과의 정렬상태가 렌즈의 디자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직난시를 가진 19~30세($25.12{\pm}3.52$세)의 90안을 대상으로 구면 및 비구면 RGP 렌즈를 착용시키고 플루레신 염색 패턴을 분석하였으며, 이의 정량적인 평가를 위하여 중심부와 주변부의 면적을 계산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양호한 피팅이 되는 렌즈의 베이스커브가 구면 RGP 렌즈와 비구면 RGP 렌즈가 동일한 경우는 72%에 달하였으나, 대칭나비형 각막과 높은 난시도를 가진 경우에는 동일한 베이스커브에서 구면 RGP 렌즈와 비구면 RGP 렌즈가 양호한 피팅이 될 가능성이 적어졌다. 양호하게 피팅된 비구면 RGP 렌즈의 주변부 플루레신 염색 면적은 구면 RGP 렌즈보다 더 작았으며, 두 디자인의 렌즈 모두 난시가 심해질수록 주변부 면적은 감소하였고 원형 각막보다도 대칭 나비형 각막에서의 주변부 면적이 더 작았다. 동일한 난시도의 각막에서는 두 각막 형상 모두에서 양호하게 피팅된 비구면 RGP 렌즈의 주변부 플루레신 염색 면적이 더 작았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RGP 렌즈의 각막과의 정렬상태의 달라지는 정도가 렌즈 디자인, 각막의 난시도, 각막 형상에 의해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렌즈 디자인과 각막의 정렬상태의 정량적인 고찰을 통한 본 연구결과는 RGP 렌즈의 피팅 가이드라인 설정, 적합한 디자인 개발, 부분별 누액양에 대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목적 용액 및 세척제를 이용한 RGP 렌즈 소독방법의 비교 (A Comparision of Disinfection Efficacy for RGP Lens by Using Multi-purpose Solution and Cleaner)

  • 박미정;곽재숙;박상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7-41
    • /
    • 2007
  • 본 연구는 RGP 렌즈용 다목적용액과 세척제를 이용한 RGP 렌즈 관리방법의 정립을 위해 수행하였다. 각 RGP 렌즈를 녹농균주 용액에서 배양한 후 RGP 렌즈용 다목적용액과 계면활성제 성분이 함유된 세척제로 처리한 후 렌즈에 남아있는 녹농균 수를 측정하였다. 30분 동안 다목적 용액에 침윤시키는 것만으로도 녹농균의 수가 50% 감소되었다. 4시간 동안 침윤시켰을 경우는 95%의 균이 제거되었으며, 6시간 동안 침윤시켰을 경우 녹농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세척제만을 사용하여 관리한 경우에는 79%의 녹농균이 제거되어 세척제를 사용하는 것이 30분간 침윤시키는 것보다 소독효과가 월등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척제를 사용한 후 30분간 RGP 렌즈용 다목적 용액에 침윤하였을 때의 녹농균의 수는 30분간 다목적 용액으로 침윤만 하였을 때의 녹농균 수의 36%에 불과하여 짧은 시간 동안 침윤에 의한 소독효과의 미비가 세척제를 이용한 관리로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RGP Contact Lens 표면 미세구조에 대한 사용 효과의 연구 (A Study of the Effects of Use upon RGP Contact Lens Surface Ultrastructure)

  • 김덕훈;성아영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71-75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용한 RGP 콘택트렌즈의 표면 미세구조의 분석을 한 것이다. 조사를 위해 RGP콘택트렌즈는 피검자에 의해 1개월, 6개월 그리고 1년 사용한 것을 선택하였다. 이러한 RGP 콘택트렌즈의 전후 표면은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RGP 콘택트렌즈 사용 1개월 후 전면과 후면의 표면은 선명하고 깨끗하였다. 2. 6개월 사용 렌즈의 전방 표면은 심한 반흔, 상처 자국, 파손 그리고 긁힘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후방 표면은 심한 이물질과 미생물 등이 나타났다. 3. 1년 사용렌즈는 좀더 심한 큰 반흔 손상과 많은 이물질들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RGP 콘택트렌즈의 연장착용은 렌즈표면의 미세구조의 증가된 물리적인 손상과 심한 이물질의 누적을 나타내었다.

  • PDF

각막형상 및 각막난시도가 RGP렌즈와 각막사이의 눈물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rneal Type and Corneal Astigmatism on Tear Volume between Rigid Gas Permeable Lens and the Cornea)

  • 김지혜;김소라;박미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41-150
    • /
    • 2015
  • 목적: 구면 및 비구면 RGP렌즈의 양호한 피팅상태에서 각막형상과 각막난시도에 따른 각막과 렌즈 사이의 부분별 눈물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30대 77명(135안)을 대상으로 양호한 상태로 피팅된 구면 및 비구면 RGP렌즈를 중심부, 중간주변부, 주변부로 나눠 플루레신으로 염색된 눈물의 농도를 분석하여 눈물양을 정량화하였다. 결과: 모든 각막형상에서 구면 RGP렌즈는 부분별 눈물양의 차이가 존재하였다. 비구면 RGP렌즈 피팅 시 대칭나비형과 비대칭나비형 각막에서는 부분별 눈물양의 차이가 있었으나, 원형과 타원형 각막은 중심부에서 주변부까지 눈물이 고르게 분포하였다. 1.25 D 이하의 각막난시군에 구면 RGP렌즈를 피팅하였을 때는 중심부와 주변부, 중간주변부와 주변부간의 눈물양 차이가 존재하였으나 1.50 D 이상의 각막난시군에서는 부분별 눈물양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각막난시가 증가할수록 구면 및 비구면 RGP렌즈 모두 중심부 및 중간주변부의 눈물양이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비구면 RGP렌즈의 경우가 증가폭이 더 컸다. 결론: 본 연구 결과, 구면 RGP렌즈에 비해 비구면 RGP렌즈와 각막 사이의 눈물양 차이가 적었으며, 각막형상과 난시도에 따라 각막과 렌즈사이의 눈물양에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정립된 RGP렌즈와 각막사이의 상대눈물양을 측정하는 방법이 콘택트렌즈와 각막 사이의 눈물양 평가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구면 및 비구면 RGP 콘텍트렌즈가 시력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pherical and Aspherical RGP Contact Lenses on Visual Performance)

  • 김수현;김현정;김재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1-38
    • /
    • 2009
  • 목적: 본 연구는 구면 렌즈에 비해 후면 비구면 RGP(Rigid Gas Permeable) 렌즈의 각막 지형도 변화, 시력의 질 그리고 임상 증상을 평가하고자 시행하였다. 방법: 전체 37명을 대상으로 우안에는 구면 RGP 렌즈, 좌안에는 후면 비구면 RGP 렌즈를 피팅하여 2개월 동안 착용 후 각막지형도와 대비감도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결과: 37명의 대상자 중 34명이 성공적으로 2개월 동안 렌즈를 착용하였다. 각막 지형도는 구면과 비구면 RGP 렌즈 사이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비구면 렌즈를 착용한 눈이 구면 렌즈를 착용한 눈과 비교해서 밝은 조도에서 대비감도가 현저하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착용감과 눈 건강에서도 구면 렌즈를 선호하는 대상자가 많았다. 결론: RGP 렌즈의 구면과 후면 비구면 렌즈를 비교한 결과, 각막지형도에는 대상자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밝은 조도에서 시력의 질과 선호도는 구면 RGP 렌즈가 비구면 RGP 렌즈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콘택트렌즈 디자인에 의해 유발되는 수차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시력의 질에 대한 차이를 설명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RGP콘택트렌즈 착용 시 나타날 수 있는 증상과 관련된 안경사의 교육에 관한 연구 (The study for the Education of Optometrists Related a Symptoms which can Show as Wearing RGP Contact Lens)

  • 주경복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71-76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RGP콘택트렌즈 착용 시 나타날 수 있는 증상에 관한 안경사의 이해도를 조사하는 것인데, RGP 콘택트렌즈 착용 시의 나타날 수 있는 증상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면 적응증상과 이상증상을 구분하고 해결하여 RGP콘택트렌즈의 착용성공률을 보다 높여 줄 것이기 때문이다. 96명의 안경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RGP콘택트렌즈 처방에 사용되는 기기 사용방법 및 경험, RGP콘택트렌즈 착용 시 나타날 수 있는 증상 등에 대한 이해수준을 조사하였다. 결과는 RGP콘택트렌즈 착용 시 증상에 대한 정확한 이해력이 상당히 낮은 수준으로 조사되었고, 정확한 처방을 위해 이론교육 및 실습교육 등이 더 강화되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