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view guide

검색결과 449건 처리시간 0.025초

광역 도시계획 시설의 조성을 위한 국내외 도시 간 협력 방향에 관한 연구 (City-to-City Cooperation for the Megacity-Region Infrastructure and Planning)

  • 조유정;채얼;강동완;김도년
    • 국제지역연구
    • /
    • 제20권2호
    • /
    • pp.195-214
    • /
    • 2016
  •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도시 간 연계는 산업적 여건을 기반으로 한 경제적 요구에 의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국제적 가치실현에 대한 고려와 국내외 수요와 여건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경제뿐만 아니라 환경과 사회적 측면을 포괄하는 방안마련이 필요하다. 특히 환경적인 문제는 개별 도시의 노력만으로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지방정부 간의 협력이 중요하다. 국내에서는 도시 간 복합적인 이해관계에 의해 다양한 방법으로 도시 간 연계가 추진되고 있다. 도시 간 연계는 서로 다른 도시 간 교류에 의해 창조적인 환경을 조성하는 촉매 작용을 하고 있으며, 그 목적과 과정 및 결과가 도시의 환경 사회 경제적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도시 간 연계의 사례를 환경 사회 경제적 가치를 추구하는 유형별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이를 통해 도시 간 연계의 중요성에 대해 환기(喚起)하고 성공적인 도시 간 연계 실현과 활성화를 위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사업의 유형별로 성공적 도시 간 연계를 달성하기 위한 방향 설정에 길잡이가 될 수 있다.

자연 고분자 : 상처 치료 재료로 활용 (Natural Origin Polymers: Applications as Wound Care Materials)

  • 파티 카라데니즈;성혜경;김한성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82-393
    • /
    • 2019
  • 상처 치료는 전세계 인류에 영향을 미치는 보건 산업계의 관심사다. 당뇨병과 같은 대사증후군 유병률 증가로 상처에 의한 합병증의 위험이 높아지고 상처치유의 복잡함 때문에 상처의 치료와 관리가 어렵다. 전통적 상처 드레싱은 제한된 보호기능을 제공하며, 상처 드레싱의 치료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생체고분자 기반의 드레싱들이 개발되고있다. 생체고분자는 생분해성이 뛰어나고 생체적합성이 좋으며 효과적인 상처 관리에 중요한 항균, 항염증, 지혈, 세포증식, 혈관성 활동 등 다양한 효과가 있다. 키토산, 셀룰로오스, 콜라겐, 히알루론산, 알긴산 등의 여러 생체고분자가 이미 상처치유제로 활용되고 있으며 생체고분자를 다른 고분자, 생체활성 분자 및 약물과 결합하여 생리학적 문제 없이 흉터를 최소화하는 새로운 상처 드레싱이 개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향후의 연구와 활용을 위한 현재의 생체고분자의 상처처리에 대해 알아보았다.

Korean Guideline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Glucocorticoid-induced Osteoporosis

  • Park, So Young;Gong, Hyun Sik;Kim, Kyoung Min;Kim, Dam;Kim, Ha Young;Jeon, Chan Hong;Ju, Ji Hyeon;Lee, Shin-Seok;Park, Dong-Ah;Sung, Yoon-Kyoung;Kim, Sang Wan
    • 대한골대사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95-211
    • /
    • 2018
  • Background: To develop guidelines and recommendations to prevent and treat glucocorticoid (GC)-induced osteoporosis (GIOP) in Korea. Methods: The Korean Society for Bone and Mineral Research and the Korean College of Rheumatology have developed this guideline based on Guidance for the Development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ver. 1.0 established by the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This guideline was developed by adapting previously published guidelines, and a systematic review and quality assessment were performed. Results: This guideline applies to adults aged ${\geq}19years$ who are using or plan to use GCs. It does not include children and adolescents. An initial assessment of fracture risk should be performed within 6 months of initial GC use. Fracture risk should be estimated using the fracture-risk assessment tool (FRAX) after adjustments for GC dose, history of osteoporotic fractures,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results. All patients administered with prednisolone or an equivalent medication at a dose ${\geq}2.5mg/day$ for ${\geq}3months$ are recommended to use adequate calcium and vitamin D during treatment. Patients showing a moderate-to-high fracture risk should be treated with additional medication for osteoporosis. All patients continuing GC therapy should undergo annual BMD testing, vertebral X-ray, and fracture risk assessment using FRAX. When treatment failure is suspected, switching to another drug should be considered. Conclusions: This guideline is intended to guide clinicians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GIOP.

3차원 프린팅 기술과 이를 활용한 골종양 수술 (Three Dimensional Printing Technique and Its Application to Bone Tumor Surgery)

  • 강현귀;박종웅;박대우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3권6호
    • /
    • pp.466-477
    • /
    • 2018
  • 정형외과는 인체의 모든 근골격계를 담당하기 때문에 3차원(3-dimensional, 3D) 프린팅 기술을 가장 많이 활용할 수 있는 분야이다. 구체적으로 관절염, 척추, 외상, 기형, 종양 등의 다양한 정형외과 질병에 대해 해부학적 모델, 수술용 가이드, 금속 임플란트, 바이오-세라믹 재건, 보조기 등의 형태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정형외과 종양 영역은 환자마다 종양의 발생 위치와 크기가 다양한 데 반하여 사지 보존 수술에 활용할 수 있는 기존의 수술 방법이 제한적이었기 때문에 3D 프린팅 기술의 활용이 매우 절실한 분야였다. 최근에 3D 프린팅 환자 맞춤형 임플란트를 짧은 시간 내에 쉽게 제작할 수 있게 되면서 기존 방법으로 골 재건이 어려웠던 부위에 대해서도 해부학적 재건이 가능하게 되었다. 3D 프린팅 기술을 의료 영역에서 더욱 폭넓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디자인, 출력, 검증 과정에 필요한 많은 전문가들과 함께 수평적 위치에서 긴밀히 협력해야 한다. 의료계에서 3D 프린팅을 활용을 선도함으로써 다른 분야의 전문가 양성 및 3D 프린팅 관련 산업의 발달을 촉진시킬 수 있다고 판단한 정부도 규제보다는 활성화에 역점을 두고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는 추세이다. 앞으로 정형외과가 전체 의료계에서 3D 프린팅 기술의 도입과 활용을 선도해 가기를 기대하면서 골종양 수술에서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하였던 저자의 경험을 소개하고자 한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역량 구현 양상과 실천 요인에 관한 교육과정 선도교원의 의견 분석 및 논의 (An Analysis of Curriculum Leading Teachers' Opinions on Competencie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its Implications)

  • 임유나;장소영;홍후조
    • 한국교육학연구
    • /
    • 제23권1호
    • /
    • pp.5-3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제시하고 있는 핵심역량과 교과역량에 대한 교육과정 선도교원들의 의견을 분석하고, 교육과정 개발과 역량교육 구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연구 결과, 선도교원들은 핵심역량의 도입, 담당 교과의 교과역량 설정과 구현 가능성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이었으며 총론의 핵심역량이 각 교과의 교과역량과 높은 관련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핵심역량과 교과역량이 교육과정 문서의 면면에 잘 구현되지는 못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역량교육의 구현에 있어서는 역량중심의 교과서 개발이나 컨설팅 장학과 같은 외부적 지원보다는 교사 공동체의 자발적 연구 노력을 가능하게 하는 문화 속에서 학생 참여 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교사 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가장 큰 관건이 될 것으로 인식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에서는 교육목표를 안내하는 항목들과 핵심역량의 관계 정비, 교과역량 설정의 재고, 교육내용-방법-평가에 역량교육의 구체화, 역량중심의 교과서 개발보다는 교사 역량 강화와 교과간 협력을 위한 자발적 노력을 가능하게 하는 지원과 정책의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연소-이온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한 크릴오일 중 불소 시험법 (Determination of fluorine in Krill oils by combustion-ion chromatography)

  • 정재학;김수빈;추의성;정정무
    • 분석과학
    • /
    • 제33권6호
    • /
    • pp.262-273
    • /
    • 2020
  • 식품 중 대표적인 오일 제형인 크릴오일 중에 불소 시험법 개발을 위해 식약처 "식품등 시험법 마련 표준절차에 관한 가이드라인"에 따라서 연소-이온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크릴오일 중 불소 시험법을 개발하였다. 기존 크릴오일 중 불소 시험법은 전통적인 습식 전위차법이 사용되었으나, 신뢰성이 높지 않았고 국내에서는 이러한 오일 제형에 대해서는 불소 시험을 하는 식품검사기관이 없는 상황이었다. 이에 할로젠 시험법 관련 국가 및 국제표준으로 개발된 시험규격을 확인하였으며, 이 중에 오일 제형에 충분히 적용 가능한 연소-이온크로마토그래프 장비를 선택하여 크릴오일에 적합한 시험법을 개발하였다. 오일 제형의 특성상 시료준비 및 도입 시에 손실 및 각종 방해 (interference) 관련 우려를 사전 검토하여 다양한 실험을 통해서 최적의 시험법을 확립하였다. 개발된 오일 중 불소 시험법을 활용하여 유통되는 크릴오일 제품 11 개를 구입하여 불소함량 시험을 하였으며, 1개 시료를 제외한 대부분 제품들은 시험법에서 제시한 보고서 검출한계 미만으로 불검출을 확인하였다. 또한 불소가 검출되는 부분을 확인하기 위해 진행한 크릴새우 자체 시험한 결과, 크릴 부위에 따라서 농도가 다르긴 하지만, 몸통을 제외한 크릴 껍질부는 약 2,000 mg/kg ~ 3,000 mg/kg의 높은 불소함량이 검출됨을 확인하였다. 이후 확립된 시험법을 국제공인 시험기관 (ISO/IEC 17025) 2 곳에 시료를 의뢰하여 본 수행기관과 시험결과를 비교해 본 결과, 3개 실험실 간에 분산분석 통계처리에서 결과의 유의차가 없음을 확인하였고, 이에 본 내용을 토대로 크릴오일 중 불소함량 분석법 관련 시험법으로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뇌졸중으로 인한 운동 관련 후유증의 한의 치료 연구에서 뇌졸중 시기 및 평가 척도에 대한 국내 문헌 고찰 (A Review of the Stroke Stage and Outcome Measures in Stroke Motor Sequelae Clinical Studies in Korea)

  • 이지은;천세은;전민결;신용진;임정태;신선호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656-679
    • /
    • 2022
  • Objectives: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fidelity of stroke stage reporting, the timeliness of the outcome measures, and the use of the core outcome set. Methods: We searched the literature using 6 domestic databases. We selected studies that used Korean medicine interventions and targeted stroke patients with motor sequelae. We examined whether the included studies reported the stroke stage and whether they used the outcome measures in the appropriate period based on the recommendations of the "Stroke Evidence Database to Guide Effectiveness". We also confirmed the use of the essential assessment tools suggested by the core outcome set. Results: Overall, 77 studies were finally selected, with 16 (21%), 55 (71%), and 6 (8%) published on the acute, subacute, and chronic phases, respectively. Only 11 of the studies directly mentioned the stroke stage. The most commonly used assessments were 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troke Scale, Modified Barthel Index, and Manual Muscle Testing. Only 5 studies failed to apply the stage-related outcome measures at the recommended period. The outcome variables used inadequately were 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troke Scale, Functional Ambulation Categories, 36-Item Short Form Health Survey, and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Among the core outcome set items, some studies used liver and renal function tests, but no herbal medicine safety reporting was conducted. Conclusions: In future studies, we propose to ensure accurate reporting of the stroke stage with reliable outcome measures to deliver better clinical and research outcomes. Furthermore, in future clinical studies on stroke, a standard protocol that reflects the core outcome set should be developed.

국외 질식재해 예방규정 비교를 통한 국내 규정 개선방안 (Comparison and Improvement of Domestic and Foreign Regulations for the Prevention of Suffocation Accidents)

  • 임대성;이승길;김치년;조기홍;이광용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83-93
    • /
    • 2021
  • Objectives: 'Confined space' was only defined in the Safety and Health Regulations as a place where oxygen deficiency and hydrogen sulfide must be dealt with at the time of the initial enactment (1982). The danger of fire and explosion were added in 2003. We will compare and review the regulations related to confined space work under the current safety and health rules alongside regulations in other countries and prepare a plan to improve the system through enhanced clarity and execution. Methods: In a comparison of systems for the prevention of suffocation in confined spaces in major countries (Germany, United States, Japan) different concepts of the definition of confined spaces in different countries apparently due to differences in each country's legal implementation system, accident analysis methods, the status of safety and health implementation in workplaces, the precautions against actual confined space work, and the definition of confined spaces were found to be not much different between Korea and the other foreign countries. Results: In the case of Germany and the United States, a confined space is defined as a contextual concept rather than a place, so more careful attention is needed from operators or enclosed space managers as it is often necessary to judge the actual workplace. In the case of Korea and Japan, the interior of the place is mainly defined as a place, especially in the case of Japan, which concentrates on oxygen deficiency and hydrogen sulfide poisoning. Conclusions: For measures to improve regulations on the prevention of suffocation accidents in Korea, I would like to propose three major measures to improve the system in the rules on domestic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standards.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d provide a guide to ensure that the 18 types of confined spaces currently defined as confined spaces are clearly understood by field management supervisors or workers.

Bright Internet 신뢰네트워크 도입에 따른 지능정보사회의 사이버 역기능 해소에 대한 인식 분석 (Analysis on the Perception of the Cyber Dysfunction in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According to the Introduction of the Bright Internet Trust Network)

  • 임규건;안재익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2권3호
    • /
    • pp.99-118
    • /
    • 2020
  • 현재 우리 사회는 4차 산업혁명의 물결 속에서 지능정보사회로 전개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모든 분야를 혁신시키는 긍정적 효과를 가져 올 것이다. 하지만 기술의 양면성으로 순기능과 동시에 역기능이 발생되고 있다. 지능화에 의해 해킹, 테러, 개인정보 침해, 불법콘텐츠 유통 등 사이버 역기능에 대한 위협은 더욱 심각해 질 것이다. 지금까지 인터넷의 보안 체계는 사후적(Proactive) 보안체계였으나 근래에 예방적(Preventive) 보안체계 방안인 신뢰네트워크에 대한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뢰네트워크 기술 중 하나인 Bright Internet에 대해서 지능정보사회의 사이버 역기능 해소 가능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능정보사회의 사이버 역기능을 정의하고 Bright Internet 5대 원칙 도입에 대한 지능정보사회의 사이버 역기능 변화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다. 연구결과 Brighit Internet 신뢰네트워크 도입으로 인한 지능정보사회의 역기능 해소가 가능하며 특히 사이버 범죄 및 테러, 권리침해 영역의 개선이 클 것으로 예측되었다. 5대 원칙 중에는 확인 가능한 익명성의 원칙과 국제 협력 조사 원칙이 역기능 해소의 기대치가 높게 나타나 효과가 클 것으로 분석되었다.

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 (SSI)과 위험교육의 통합적 접근의 필요성 및 교육 모형 탐색 (Exploring Educational Models for Integrating Socioscientific Issues (SSI) with Risk Education)

  • 이현주;박영신;이현옥;문공주;황요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13-323
    • /
    • 2024
  • 본 연구는 현대 과학기술 사회의 수많은 위험에 노출된 학생과 시민들이 과학기술의 본성을 제대로 이해하고, 과학기술로부터 야기되는 위험을 식별, 분석, 평가하는 역량을 함양함으로써 안전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문헌분석을 통해 위험의 의미와 위험교육의 필요성, SSI 교육과 위험 교육의 관계 등을 탐색한 후, SSI 맥락에서 위험을 체계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SSI-CURE 모형을 개발하였다. SSI-CURE 모형은 위험 자체에 대한 개념적 이해(위험지식), 위험상황에 대해 논의하거나 대처하는 데 필요한 역량(위험역량), 위험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과학 내용지식(과학지식), 위험이 발생하는 원인과 위험이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과학에 대한 지식)의 네 가지 내용요소에 기반하여, 쟁점발견, 쟁점 속 위험이해, 쟁점 속 위험분석, 쟁점대응 및 실천의 단계로 진행된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SSI-CURE 모형은 수업의 안내자로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SSI 맥락에서 위험을 교육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에도 대표적인 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