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y-to-City Cooperation for the Megacity-Region Infrastructure and Planning

광역 도시계획 시설의 조성을 위한 국내외 도시 간 협력 방향에 관한 연구

  • Jo, Yoo-Jung (Korea Environment Institute(KEI)) ;
  • Chae, Eol (Dept. of Architecture, Sungkyunkwan University) ;
  • Kang, Dong-Wan (Dept. of Architecture, Sungkyunkwan University) ;
  • Kim, Do-Nyun (Dept. of Architecture.Dept. of Convergence Engineering for Future City, Sungkyunkwan University)
  • 조유정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 채얼 (성균관대학교 건축학과) ;
  • 강동완 (성균관대학교 건축학과) ;
  • 김도년 (성균관대학교 건축학과.미래도시융합공학과)
  • Received : 2016.05.16
  • Accepted : 2016.06.24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The City-to-City cooperation(C2C) in Korea has been made by economic needs based on industrial conditions. However, now it is necessary to cover environmental and social aspects as well as economic in order to respond to the realization of the international value, the domestic demands, and the changing comprehensive conditions. In particular, inter city cooperation is important because the efforts for solving environmental problems are impossible individually in each local government. In Korea, C2C have promoted in various ways by complex interests between cities. C2C build a creative environment by catalysis in the process of exchanges between different cities. And its purpose and the process and results appeared in environmental, social and economic sustainability of the green city. Therefore, this study analyze the C2C cases in Korea by pursuing value typ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waken to the importance of C2C and seek a direction for its successful realization and activ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a guide for the success of C2C.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도시 간 연계는 산업적 여건을 기반으로 한 경제적 요구에 의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국제적 가치실현에 대한 고려와 국내외 수요와 여건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경제뿐만 아니라 환경과 사회적 측면을 포괄하는 방안마련이 필요하다. 특히 환경적인 문제는 개별 도시의 노력만으로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지방정부 간의 협력이 중요하다. 국내에서는 도시 간 복합적인 이해관계에 의해 다양한 방법으로 도시 간 연계가 추진되고 있다. 도시 간 연계는 서로 다른 도시 간 교류에 의해 창조적인 환경을 조성하는 촉매 작용을 하고 있으며, 그 목적과 과정 및 결과가 도시의 환경 사회 경제적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도시 간 연계의 사례를 환경 사회 경제적 가치를 추구하는 유형별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이를 통해 도시 간 연계의 중요성에 대해 환기(喚起)하고 성공적인 도시 간 연계 실현과 활성화를 위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사업의 유형별로 성공적 도시 간 연계를 달성하기 위한 방향 설정에 길잡이가 될 수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Grant : 탄소저감 도시계획 시스템 개발 연구, 스마트 도시공간 및 시설물 통합운영관리 모델 개발 연구

Supported by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