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usable Code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7초

Deterministic Parallelism for Symbolic Execution Programs based on a Name-Freshness Monad Library

  • Ahn, Ki Y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2호
    • /
    • pp.1-9
    • /
    • 2021
  • 본문에서는 순수 함수형 언어인 하스켈로 작성된 심볼릭 실행의 병렬화를 위한 상태 모나드 기반의 라이브러리에 결정적 병렬화를 적용하기 편리한 API를 설계/구현하고 멀티코어 컴퓨터에서 벤치마크를 통해 실제 성능을 향상을 확인해 본다. 일반적으로 순수 함수형 프로그램은 병렬화가 쉽다고 알려져 있으나 실제 구현에서 핵심 알고리듬 외적인 부분에서 의도치 않은 순차적 데이터 의존성의 발생으로 병렬화가 어려워질 수 있다. 심볼릭 실행 구현에서는 지금껏 사용했던 변수와 겹치지 않는 새 이름을 생성함으로써 서로 다른 범위의 이름이 같은 변수끼리 혼동하는 착오를 피하는 방식을 종종 활용한다. 그런데 이를 순차적 상태 관리로 구현한 경우가 많아 병렬화에 걸림돌이 된다. 이 논문에서는 하스켈의 범용적 이름 관리 라이브러리인 unbound-generics의 새 이름 생성 기능에 순차적 의존성을 회피할 수 있는 확장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병렬적 심볼릭 실행 구현을 간소화하는 데 기여하였다. 우리가 구현한 병렬화 확장의 특징은 기존 unbound-generics 라이브러리의 내부 구현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의 확장이라는 점으로, 기존에 unbound-generics로 작성된 순차적 심볼릭 실행기의 성능 저하 우려가 전혀 없다는 점이다. 따라서 병렬화가 필요한 부분에만 확장 기능을 적용하는 방식으로 활용하여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MDA/PSM상에서 퍼베이시브 서비스를 지원하는 닷넷 컴포넌트의 명세 및 생성 기법 (A Technique to Specify and Generate .NET Components in MDA/PSM for Pervasive Service)

  • 금득규;김수동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4권7호
    • /
    • pp.635-645
    • /
    • 2007
  • 컴포넌트 기술은 재사용 가능한 컴포넌트를 조합하여 효율적으로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기술로 정착되어 왔으며, 마이크로소프트의 닷넷은 최근의 대표적 컴포넌트 기술 중의 하나이다. 모델기반 아키텍처(Model Driven Architecture, MDA)는 설계 모델을 점진적으로 변환하여 소프트웨어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새로운 개발 방식이다. MDA에서 구조적 모델 변환은 성공적으로 적용되었으나, 동적모델과 퍼베이시브 서비스(Pervasive Services) 특히, 트랜잭션 서비스, 보안 서비스, 동기화 서비스, 객체 풀링 둥과 같은 기능에 대한 모델 변환은 부족하다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은 다 계층 분산 아키텍처를 가지며 이러한 아키텍처에서 퍼베이시브 서비스는 필수적이다 닷넷 플랫폼은 코드상에서 애트리뷰트(Attribute) 코드를 명시함으로써 이러한 퍼베이시브 서비스를 지원하는 Component Object Model+ (COM+) 컴포넌트를 구현한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엔터프라이즈 시스템 개발에서 필수적인 퍼베이시브 서비스의 기능과 닷넷 컴포넌트 생성을 위한 요소를 명세화하여, 이를 UML 프로파일로 정의한다. 또한, 정의된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NET/C#용 플랫폼 종속적 모델(PSM)을 명세한 후 도구를 이용하여 코드를 자동 생성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정의된 UML 프로파일은 Meta Object Facility(MOF)를 준수한 UML 도구 및 MDA 도구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제안한 방법을 사용할 경우 퍼베이시브 서비스 기능을 지원하는 .NET 컴포넌트를 쉽게 자동 생성할 수 있으며 높은 개발 생산성, 확장성, 이식성 및 유지보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CORBA 환경에서 멀티미디어 컴퍼넌트 관리 시스템을 통한 프레임워크 구축 (Framework Construction with Multimedia Component Management System on CORBA)

  • 김행곤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217-229
    • /
    • 1999
  • 프레임워크는추상화된 클래스들의 집합또는특정 도메인에서 재사용가능한설계를구성하는상호연관된 클래스틀의 집합으로 도메인에 속한 애플리케이션들간의 공통된 아키텍쳐를 정의한다- 프레엄워크를 재사용 함으로 개발자들은 클래스 코드뿐만 아니라 도메인에 대한 폭넓은 도메인 지식을 재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프레임워크 재사용을 위해 컴퍼넌트기반의 방법론(COM; Component→Oriented M Methodology)을 제시하고 프레임워크 구축환경을 개발한다. 즉, 컴퍼넌트기반의 소프트웨어 생성을 위해 실세계의 도메인 지식을 입력으로 도메인을 분석하고 분석된 정보를 통해 hotspot을 식별하여 사용자와 개빌 자의 추가정보를 첨가하는 재설계 과정올 거친다. 이후 도메인에 따라 도메인 프레임워크와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를 생성한다 이러한 컴퍼넌트 지향 방법론은 내부적으로는 컴퍼넌트/패턴 라이브러리 저장소를 통해 정보를 검색, 이해하여 추출하거나 혹은 합성으로 얻어진 정보는 각각 컴퍼넌트와 패턴에 대한 정보로 분류되고 이것은 재설계시 추가정보로 사용되어진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멀티미디어 컴퍼넌트를 이용해 자신의 애플리케이션에 쉽게 적용가능한 개발 환경 즉, 본 논문에서는 CORBA(Common Object Request B Broker Architecture) 환경하에 컴퍼넌트/패턴 관리 시스템(Component Pattern Management System C CPMS)을 통해 멀티 미 디 어 컴 퍼 넌트를 추가 갱 신 삭제하는 기 반 환경 (infrastructure environment)을 구축함 으로 재사용성, 사용의 용이성과 이식성을 가질 수 있다.

  • PDF

소프트웨어 프로덕트 라인에서 핵심 자산으로서 요구사항을 관리하는 방법 (An Approach to Managing Requirements as a Core Asset in Software Product-Line)

  • 문미경;염근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1권8호
    • /
    • pp.1010-1026
    • /
    • 2004
  • 소프트웨어 프로덕트 라인 공학의 목표는 일련의 유사한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공통성과 구별되는 특성을 이해하고 제어함으로써 시스템의 체계적인 개발을 지원하는 것이다[1]. 이것은 소프트웨어 개발 시 나오는 산출물들을 핵심 자산으로 만들어 놓고 이를 체계적으로 재사용 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웍 역할을 한다. 현재 많은 기술들이 프로덕트 라인 공학 관련하여 연구되고 있지만, 그 초점이 소프트웨어 아키텍쳐나 상세 설계 또는 코드에 맞추어져 있다[2]. 소프트웨어 프로덕트 라인 공학에서는 컴포넌트의 공급, 조립뿐만 아니라 조립공정까지 특정 요구나 변화에 신속히 적응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는 요구사항 분석 단계에서부터 이루어져야 한다. 소프트웨어 프로덕트 라인 공학에서 요구사항은 전통적인 시스템 개발에서와 마찬가지로 모든 개발의 기초가 되는 부분이며, 다른 핵심 자산의 공통성과 가변성의 성질을 결정짓게 만들 수 있는 기준이 된다. 그러나 요구사항들을 다 반영하기도 전에 변경이 발생하는 수많은 경험을 해 온 것처럼, 올바른 요구사항을 획득하고 이를 분석, 관리한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특히, 여러 개의 시스템을 개발할 때 사용할 요구사항은 공통성과 가변성의 속성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계획할 수 있는 변화에는 충분히 안정적이면서, 반면에 예측하지 못하는 변화에 잘 적응하고 개조될 수 있도록 유연성을 지닌 핵심 요구사항을 개발, 관리하기 위한 체계적인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프로덕트 라인에서 핵심 자산의 하나인 도메인 요구사항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하여 제안한다. 이를 통해 도메인 요구사항에 대한 재사용성을 중대시키고 시스템의 목표를 정확히 세우는 데 투자되는 많은 시간과 노력을 감소시켜 준다. 이는 결과적으로 소프트웨어 개발 시간과 비용을 줄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등의 장점을 가져다준다.

객체 지향 CASE 도구에 대한 재구조화 실험 (An Experiment in Refactoring an Object-Oriented CASE Tool)

  • 조장우;김태균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932-940
    • /
    • 1999
  • 객체 지향 기법은 일반적으로 소프트웨어의 재사용성을 향상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실제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를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재구조화 과정이 필요하다는 사실이 점차 인식되고 있다. Refactoring은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의 재사용성과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구조를 정제하는 과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Refactoring 기법을 기존에 구현된 바 있는 객체 지향 CASE(Computer Aided Software engineering) 도구인 OODesigner 버전 1.x에 적용한 연구 결과를 제시한다. 버전 1.x는 Rumbaugh의 OMT(Object Modeling Technique) 모델 중에서 객체 모델을 지원하며, 객체도표 작성, 클래스 자원에 대한 문서화, 자동적인 C++ 코드생성, 클래스 재사용을 위한 정보 저장소, C++코드의 역공학 기능들을 지원한다. 비로 버전 1.x가 요구되는 기능과 신뢰성에 문제가 없었으나 구조적인 관저에서 문제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고 유지 보수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버전 1.x를 재구조화하여 보수 유지가 용이한 시스템 구조로 만들었다 본 논문에서는 재구조화의 필요성, 재구조화 과정, 재구조화 내용 그리고 재구조화 효과에 대해 기술하고, 기존의 OODesigner 버전 1.x 와 재구조화된 OODesigner 버전2.x를 소프트웨어 메트릭(metric)를 통해 비교 분석한 결과와 이 과정에서 얻은 경험들을 제시한다.

  • PDF

전국자연환경조사 데이터 정제와 표준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ata Cleaning and Standardization of National Ecosystem Survey in Korea)

  • 권용수;송교홍;김목영;김기동
    • 생태와환경
    • /
    • 제53권4호
    • /
    • pp.380-38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최근, 자연환경의 변화에 따른 생태계 예측과 지속가능한 개발과 보전의 정량적 근거 제시를 위해 전세계적으로 연구중요도와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는 생태 조사연구 데이터의 정제와 표준화 및 서비스 방안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1997년부터 매 10년 단위로 전국을 대상으로 수행된 제2차,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결과와 2014년부터 매 5년 단위로 수행된 제4차 전국자연환경조사 결과를 대상으로 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을 따라 별도 개발된 입력 오류 검증 프로그램을 통해 1차 정제 후 분야별 전문가의 검수를 거쳤다. 또한, 국내외 데이터 표준 사례들을 분석하여 국내의 자연환경과 생태조사 자료인 생태정보를 표준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전국자연환경조사 결과에 대해 (1) 조사자료인 데이터 용어의 표준화, (2) 유사한 유형의 데이터 테이블 통합 및 (3) 불필요한 속성과 입력오류를 제거하였고 (4) 현장 조사자 별로 상이한 입력항목의 단일화, (5) 데이터를 일련번호 코드로 정리하고 (6) 입력항목별 코드 매핑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자와 일반인들이 활용하기 쉽도록 전국자연환경조사 데이터를 정제하고 국내 최초의 생태데이터 표준안 마련의 기반을 수립하였다. 또한, 연구결과로 산출된 전국자연환경조사 데이터는 국내의 환경영향평가, 서식지 보전지역 설정, 멸종위기종 분포 예측,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계 위험 예측은 물론, 국외 생태정보 연계 등에 손쉽게 공유 및 활용가능하여 다양한 환경정책수립과 관련 연구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를 통해 정제된 전국자연환경조사 데이터는 국립생태원에서 국내 최초로 개발중인 생태정보포털서비스 시스템인 에코뱅크 (http://nie-ecobank.kr)를 통해 개방하여 누구나 온라인상에서 쉽게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시간 소프트웨어의 조절적${\cdot}$단위적 이해 방법 : ARSU(Architecture-based Software Understanding)와 SRE(Software Re/reverse-engineering Environment) (A Scalable and Modular Approach to Understanding of Real-time Software: An Architecture-based Software Understanding(ARSU) and the Software Re/reverse-engineering Environment(SRE))

  • 이문근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4권12호
    • /
    • pp.3159-3174
    • /
    • 1997
  • 본 논문은 매우 방대하고 복잡한 실시간 소프트웨어를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론과 도구의 개발 연구에 대하여 보고한다. 대부분 본 논문의 저자에 의하여 개발된 이 방법론과 도구는 ARSU(Architecture-based Real-time Software Understanding)과 SRE(Software Re/reverse-engineering Environment)이다. 재공학과정중에 실시간 소프트웨어의 이해한다는 것은 방대한 규모와 복잡성 때문에 일반적으로 매우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architecture에 근거하여 구조적 ${\cdot}$ 기능적 ${\cdot}$ 행위적 측면에서 3차원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이 방법을 통하여 실시간 소프트웨어를 점진적이며 체계적으로 재${\cdot}$역공학할 수 있게 한다. 첫째, 구조적인 관점은 부모-자식간의 관계에 기초한 상하 층충적으로 이루어진 소프트웨어의 전체적 구조, 그리고 명세와 알고리즘 뷰들을 통하여 관측할 수 있다. 여기에서 구조를 구성하는 기본단위는 SWU(Software Unit)이며 이 SWU는 특정 기준에 준하여 추출된다. 이 구조는 상하 또는 그 역방향으로 소프트웨어를 항해(navigation) 할 수 있게 한다. 이는 소프트웨어에 대한 개요와 상세에 관한 정보를 분리하여 상호간에 연관성이 있게 보여준다. 구조의 어떤 단계, 즉 어떤 추상화 단계에서라도 소프트웨어에 대한 기능적 ${\cdot}$ 행위적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게 한다. 둘째, 기능적 뷰는 자료와 제어의 흐름, 입력과 출력, 정의와 사용, 변수와 참조 등을 보여준다. 이 뷰의 각 사항들은 소프트웨어에 대한 특정 기능 정보를 제공하여 준다. 셋째, 행위적 뷰는 상태도, IEL(interleaved event list) 등을 들 수 있다. 이 뷰는 소프트웨어에 대한 실행시 동적 성질을 보여준다. 이 뷰들 외에도 각 측면과 뷰들을 위한 기능, 접속, 주석, 코드 등의 다수의 서류들이 제공된다. 본 연구의 가장 큰 장점은 구조를 항해하면서 여러 차원의 정보를 추상화하거나 세부적으로 확장할 수 있는 기능이다. 이러한 기능들은 이러한 실시간 소프트웨어를 이해 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 준다. 그리고 이러한 장점은 재사용 가능한 요소를 체계적으로 식별하거나 검증할 수 있게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