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tort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44초

레토르트 파우치 추어탕과 우렁 된장국의 세균상 조사 (Bacteriological Examination of Retort Pouched Loach Soup and Soybean Paste Soup Containing Mud Snail)

  • 박일웅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31-436
    • /
    • 1998
  • The present study is concerned with the bacteriological examination of retort pouched loach soup and soybean paste soup containing mud snail. It was found that before sterilization, viable cell counts (c.f.u/ml) in their media were for the loach soup 3.80${\times}$106 on TSA, 2.27${\times}$102 Endo agar, 5.20${\times}$102 on SS agar. With the culture media, SDA and TCBS, no microorgarnisms were isolated from the both soups. Sixteen species of microorgarnisms were identified for the unsterilized soups. In the loach soup on TSA, B. pantothenticus was the dominant species, followed by S. dysenteriae, C. sporogenes and some others were also identified, such on TSA, B. marinus was the dominant species, followed by S. aureus, S. saccharolytics and P. tetradius, S. adorifera, E. ictahuri, E. gergoviae, E. coli were also identified. On Endo agar, the two soups showed a similar bacteriological pattern, in which entrobacterium such as E. gergoviae and E. coli were identified. Particularly K. subsp. rhinoscleromatis for the loach soup. On SS agar, S. ficaria and P. prevotii in the loach soup, S. ficaria and P. tetradius in the soybean paste soup were identified respectively. Bacteriological examination was also carried out for the spoiled retort pouched soup in the market, in which thirteen microorgarnisms were isolated and its pattern almost similar to that before sterilzation. They were B. pantothenticus, S. dysenteriae, C. sporogenes, P. gergoviae, E. ictaluri, S. ficaria, K. subsp. rhinoscleromatis in the loach soup and B. marinus, S. aureus, S. saccharolytics, P. tetradius, E. ictaluri, S. ficaria, S. adorifera in the soybean soup.

  • PDF

레토르트 카레 소스 생산을 위한 최적살균 조건의 설정 (Determination of Optimum Sterilization Condition for the Production of Retort Pouched Curry Sauce)

  • 정명수;차환수;구본열;안평욱;최춘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723-731
    • /
    • 1991
  • 레토르트 카레 소스를 생산하기 위한 최적 살균 조건을 산출하기 위하여, $3^{2}{\times}2^{1}$ 요인 실험을 통하여 살균 온도, 시간 및 방법을 변화시켜 18개 조건에 대한 살균 공정이 행하여졌다. 살균 전후의 제품에 대한 품질평가 항목은 비타민(niacin) retention, pH, 색차 및 관능 검사(맛, 색상, 점도)등 이었다. 각 살균 조건에 대한 $F_{o}$ 값도 측정되었다. 살균 후 제품의 품질은 주로 살균 온도 및 시간에 의해 영향을 받았으며, 살균 방법에 의해서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품질을 저하시키는 영향에 있어 살균 시간의 연장이 살균 온도의 상승보다 큰 영향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고온 단시간 살균의 장점을 제시해준 결과라 하겠다. 반응 표면 분석에 의해 추정된 최적 살균 범위는 $123.5^{\circ}C$, 21.5분-$127.5^{\circ}C$, 17분 부근이었다. 이 범위에서 측정된 냉점에서의 $F_{o}$ 값은 15분 정도였다.

  • PDF

레토르트 곡물 두유 내 Bacillus cereus, Escherichia coli O157:H7, Listeria monocytogenes의 내열특성 (Thermal Resistance Characteristics of Bacillus cereus, Escherichia coli O157:H7, and Listeria monocytogenes in a Multi-grain Soy Milk Product)

  • 김남희;구재명;이민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593-598
    • /
    • 2015
  • This study determined the thermal resistance of Bacillus cereus, Escherichia coli O157:H7, and Listeria monocytogenes in multi-grain soymilk and proposes processing conditions that meet the national standard for retort food products in Korea. D and z values were calculated from thermal inactivation kinetic curves after heating at 55, 60, and $65^{\circ}C$. The D value for B. cereus at $55^{\circ}C$ was the highest (22.8 min), followed by that for E. coli O157:H7 (18.8 min) and L. monocytogenes (17.6 min). At $60-65^{\circ}C$, the order was L. monocytogenes ($D_{60-65^{\circ}C}=3.4-0.9min$), E. coli O157:H7 (3.0-0.3 min), and B. cereus (1.2-0.3 min). The z values for these species were 5.2, 5.5, and $7.7^{\circ}C$, respectively. The Korean national standard for retort food products was achieved by thermal processing at $124{\pm}2^{\circ}C$ for 0.3-2.2 min. This study provides useful data for ensuring both the microbiological safety and product quality of multi-grain soymilk products.

레토르트 파우치 계육 모형식품의 휘발성분 분석 (Analysis of Volatile Components of a Chicken Model Food System in Retortable Pouches)

  • 최준봉;정하열;공운영;문태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772-778
    • /
    • 1996
  • 레토르트 처리시 일어나는 휘발성분 변화를 관찰하고자 닭고기 50%, 식염 1%, 닭고기 육수 49%로 구성된 모형식품을 설정하고, 가열살균에 따른 휘발성분변화를 GC (gas chromatography)로 조사하고, GC-MS (mass spectrometry)로 각 GC peak의 휘발성분을 분석하였다 살균 전, 후의 모형식품에서 NPT (Nitrogen purge and trap)방법으로 휘발성분을 포집한 후 이를 분석한 결과 총 53개 peak가 검출되었고 그 중 42개 peak를 동정하였다. 동정된 42개 peak는 aldehyde류 17종, hydrocarbon류 9종, alcohol류 8종, ketone류 7종 및 furan과 terpene이 각 1종씩이었다. 살균에 따른 휘발성분의 변화량을 비교하고, 동정된 휘발성분의 향기특성 등을 고려해 볼 때 레토르트취에 관여하는 화합물은 2-heptanone, 2-pentyl furan 및 ketone류인 것으로 추정 되었다.

  • PDF

레토르트식품에 함유되어 있는 당 함량 분석 (Sugar Contents Analysis of Retort Foods)

  • 정다운;임준;김천회;김영경;박윤진;정윤화;엄애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1호
    • /
    • pp.1666-167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서울 및 경기 지역에서 유통되고 있는 레토르트식품 중 카레류 21건, 짜장류 16건, 소스류 17건, 고기류 16건인 총 70건을 수거하여 당 함량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값과 제품의 영양성분표에 표시된 당 함량을 비교하여 제품에 표시된 당 함량이 소비자에게 신뢰성 있는 영양정보를 제공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식품공전의 방법에 따라 실험하였다. 분석 결과 카레류, 짜장류, 소스류, 고기류 제품의 전체 당 함량 분포는 $0.35{\pm}0.02{\sim}25.44{\pm}0.78g/100g$을 보였으며, 그중 소스류가 $0.35{\pm}0.02{\sim}25.44{\pm}0.78g/100g$으로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함량 분포를 보였고, 고기류 $1.98{\pm}0.08{\sim}11.07{\pm}0.10g/100g$, 짜장류 $1.76{\pm}0.02{\sim}5.16{\pm}0.00g/100g$, 카레류 $1.05{\pm}0.03{\sim}4.63{\pm}0.03g/100g$의 순서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제품에 표시된 영양성분 함량 대비 소스류 18~118%, 고기류 70~119.8%, 짜장류 29~118%, 카레류 40~119.5%였으며, 분석 결과는 제품에 표시된 당 함량 대비 120% 미만으로 레토르트식품 70건 모두 허용 오차 기준을 준수하고 있어 소비자에게 신뢰성 있는 영양성분표시 정보를 제공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가공식품의 선택 및 구매 시 제품의 영양성분표에 표시된 당 함량을 확인하여 WHO의 하루 당 섭취 권고량인 50 g의 범위를 넘지 않도록 당 함량이 적은 제품을 선택하도록 하고, 산업체에서도 물엿이나 설탕과 같은 당 성분의 사용을 줄이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이상의 결과로 소비자들이 식품에 표시된 당 함량의 확인을 통하여 건강에 적합한 식품을 구매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지속적으로 영양표시의무 식품을 대상으로 하여 영양성분 함량 표시 조사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전자코를 이용한 가열 중 레토르트 파우치로부터 발생한 휘발성분의 분석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from retort pouches during heating using an electronic nose)

  • 정효연;박은영;최진영;이수진;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14-1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전자코를 사용하여 가열 시 레토르트 파우치와 내용물 간의 상호반응으로 발생하는 휘발성분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레토르트 파우치와 물의 상호반응에 의해 포장재의 휘발성분이 용기 내 물 쪽으로 이행되어 물의 휘발성분이 증가하였고 포장재 자체의 경우에는 휘발성분의 농도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포장재 내 식품의 결과에서도 마찬가지로 20분 이상 가열 시 휘발성분의 변화가 나타났다. GC/MS 분석 결과, 이러한 휘발성분의 변화는 헵탄알, 옥탄알, 노난알, BHT 등에 의한 것으로 식품의 지방성분에 의한 휘발성분의 증가와 포장재로부터 이행되는 휘발성분의 변화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자코 분석으로 얻어진 이온분획을 비교하였을 때 GC/MS 분석에서 검출된 노난알과 BHT의 추적이 가능하였다. 포장재로부터 이행되는 이취는 식품의 관능적 품질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레토르트 파우치 내 식품을 가열하여 섭취 시에 방치시간을 20분 내로 하여야 할 것이다.

레토르트파우치 식품의 가공 및 품질안정성에 관한 연구 (4) 레토르트파우치 조미바지락의 제조 및 저장중의 품질안정성 (Studios on Processing and Keeping Quality of Retort Pouched Foods (4) Preparation and Keeping Quality of Retort Pouched Seasoned Baby Clam)

  • 이응호;김정균;차용준;오광수;구재근;권칠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499-505
    • /
    • 1984
  • 수산물을 이용한 레토르트파우치 식품제조의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우리 나라에서 많이 생산되는 바지락을 원료로 레토르트파우치 조미바지락의 가공조건을 검토하고 저장중 품질안정성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가공조건은 원료 바지락을 $3\%$ 식염수에서 11시간 토사를 배출시켜 증자 탈각한 후 설탕 $3\%$, sorbitol $12\%$, 식염 $2.5\%$, 글루탐산나트륨 $0.5\%$의 혼합조미료를 살포혼합하여 $5^{\circ}C$에서 12시간 조미한 다음 30분간 예비건조 ($35{\sim}40^{\circ}C$)하고 훈액처리($10\%$ Smoke EZ 훈액, 30초)하여 가볍게 건조한 다음($35{\sim}40^{\circ}C$, 2.5hr) 레토르트파우치필름(polyester/nylon/unoriented polypropylene : $12{\mu}m/15{\mu}m/50{\mu}m,\;15{\times}17cm$) 주머니에 충전하고, 진공포장하여 열수순환식레토르트르써 $120^{\circ}C$ 12분간 가열살균한 다음 냉각하는 것이 좋았다. Smoke EZ 훈액처리는 제품의 색조와 풍미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었으며 산패방지효과도 있었다. 그리고 제품은 실온에서 120일간 품질이 안정하게 유지되었다.

  • PDF

레토르트 삼계탕의 포장 개선을 위한 연구 (Studies on the Improvement of Packaging of Retorted Samgyetang)

  • 이진환;이근택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49-54
    • /
    • 2009
  • 레토르트 삼계탕은 장기간 저장되는 제품이므로 포장 불량률을 가능한 한 최소화하는 것이 품질 안전과 소비자 식중독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중요한 사안이다. 따라서 업계에서는 현행 사용되는 삼계탕용 포장재를 이용하여 저장 시험을 병행하되 기존 포장재의 물성을 표준화하고, 아울러 포장작업시 가능한 한 포장내 잔존산소량이 낮게 유지되는 포장방법을 동원하고, 봉함부위가 오염되지 않도록 유의하며 멸균 후 열봉함강도가 낮아지는 것을 감안하여 포장재 스펙을 결정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가능한 한 포장내 잔존산소량을 줄이기 위하여 포장내 headspace를 줄이거나 질소 등 비활성기체를 주입 후 포장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그러나 현행 업계에서 삼계탕을 질소치환포장하는 것이 공정의 속도와 운용비용 등을 고려할 때 쉽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삼계탕 포장시 육수의 충진온도는 최소한 85이상 가열된 상태로 주입하고, 주입시 열봉함부위가 오염되지 않도록 유의하며, 필요하면 guide bar등과 같은 보조 장치를 설치하거나 파우치 밀봉 전 headspace를 압착하는 기술, 그리고 파우치 하부의 유사핀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대를 설치하여 육수를 충진하는 기술 등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멸균 처리 후 봉함강도가 감소하는 만큼 이를 감안하여 포장재의 선택과 포장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Retort Pouch 김치의 전열특성(專熱特性)과 살균조건(殺菌條件)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Heat Penetration and Pasteurization Conditions of Retort Pouch Kimchi)

  • 변유량;신승규;김주봉;조은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14-420
    • /
    • 1983
  • 1. 김치의 주 산패균인 L. plantarum을 김치로부터 분리하고 내열성시험을 행한 결과 D 값은 $61{\sim}69.5^{\circ}C$에서 $1.08{\sim}0.18$분이었으며 z 값은 $10.5^{\circ}C$ 이었다. 2. 김치의 살균시 열전달 속도에 미치는 인자를 검토한 결과 탈기는 $80^{\circ}C$ 에서 10분, 두께는 $1{\sim}1.5cm$, 고형물대 국물비는 9 대 1 의 조건이 적정조건임을 알수 있었고, 밀봉시 가능한 한 봉입공기량이 최소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3. 김치의 열확산도는 생김치일 때 $1.15{\times}10^{-3}cm^{2}/s$ 이었으나 탈기할수록 점차 증가하여 $80^{\circ}C$, 15분 탈기 하였을 때 $1.44{\times}10^{-3}cm^{2}/s$ 이었다. 4. 김치의 살균온도 및 시간에 따른 저장실험을 행한 결과 살균온도 $80{\sim}90^{\circ}C$ 에서는 10분 이상, $95^{\circ}C$ 에서 7분 이상의 조건이 장기보존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5. 회분열수식 살균기에서 파우치 김치를 살균할 때는 $95^{\circ}C$ 이상의 고온살균은 부적당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열수의 공급과 회수 및 냉각수 공급시간이 김치의 살균에 큰 영향을 미쳤다.

  • PDF

열수식 살균기의 온도 분포에 관한 연구 (Temperature Distribution in Water Cascading Horizontal Retort)

  • 정명수;안태회;이용갑;유무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827-833
    • /
    • 1995
  • 살균 매체로서 스팀에 의해 가열된 열수와 공기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열수식 살균기에 대하여 1회 살균시 파우치의 투입량을 달리 하면서 온도 분포 시험을 행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살균 tank의 부피는 5,900 liter정도이며 190g 용량의 레토르트 파우치를 최대 6000개까지 한번에 살균할 수 있다. 설정 살균 온도 및 시간은 $122^{\circ}C$ 및 23분이었고 살균중 압력은 $1.8{\sim}2.0\;kg/cm^2$로 유지시켰다. 살균중 평균 온도가 가장 높았던 부분은 살균기 윗부분이었고 중간 부분과 아fot부분은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예비 살균 시간과 냉각 시간을 뺀 실제 살균 시간중 최대 평균 온도차는 파우치를 투입하지 않았을때(P-0)와 3000개의 파우치를 투입하였을 때(P-3000)에는 $1.7^{\circ}C$ 이하로 양호한 수준이었으나 6000개의 파우치를 투입하였을 때(P-6000)에는 $1.9^{\circ}C$ 이상으로 다소 높은 수준이었다. 평균 온도에 대한 표준 편차도 위치에 따라 다소간의 차이는 있었지만 6000개의 파우치를 살균할때에는 상대적으로 큰 편이었다. 즉석 카레 소스는 살균시 broken heating curve의 경향을 나타내었고 살균중 평균 온도가 가장 높은 부분과 가장 낮은 부분에서 측정된 즉석 카레 소스의 살균도(F값)의 차이는 10.93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10.93의 차이는 즉석 카레 소스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