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tention period

검색결과 518건 처리시간 0.031초

대학 신입생들의 교우관계를 통한 학업유지 예측 (Predicting the Retention of University Freshmen Using Peer Relationships)

  • 이연주;최승원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8권1호
    • /
    • pp.31-48
    • /
    • 2021
  • 본 연구는 특정 학과에 입학한 대학 신입생들의 학과 내 교우관계가 향후 해당 학과에서의 학업유지를 예측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학업유지 상태는 측정한 기간 동안 학생이 대학에 등록을 하여 재적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본 연구는 교우관계를 측정하기 위해 자신과 타인의 지각을 집단에서 파악할 수 있는 사회연결망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관계를 정량화하는 방법으로 사회적 요인을 구체화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2017년, 2018년, 2019년 신입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름 생성기 방식을 통하여 교우관계를 양적으로 나타내는 네트워크 변인들을 조사하였고 이를 독립변인으로 하여 2020년 1학기까지의 학업 중단 경험 유무를 통해 학업유지 정도를 예측하였다. 분석 방법은 Cox 비례위험모형 분석을 사용하였으며 결과는 내향 연결정도 중심성이 학생들의 학업유지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과 동기 사이의 교우관계가 학업유지 및 중단을 예측하여 조기선별과 학업유지를 위한 개입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결과를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다만 연구대상이 하나의 학과 신입생으로 제한되기 때문에 일반화를 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Effects of Supplementation of Probiotics on the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Faecal Microflora in Growing-finishing Pigs

  • Giang, Hoang Huong;Viet, Tran Quoc;Ogle, Brian;Lindberg, Jan Eri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5호
    • /
    • pp.655-661
    • /
    • 2011
  •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Bacillus, Saccharomyces and lactic acid bacteria (LAB) on performance and nutrient digestibility in grower and finisher pigs. In Exp. 1, 80 pigs (32 females and 48 males), $28.7{\pm}0.9\;kg$ body weight (BW), were randomly divided into 4 treatment groups balanced for sex and weight (5 pigs per pen, 4 pens per treatment). They were fed one of four diets: a basal grower (20-50 kg BW) and finisher (>50 kg BW) diet without any addition of probiotic or antibiotic (diet C), the basal diet supplemented with Bacillus subtilis H4 (diet B), diet B supplemented with Saccharomyces boulardi Sb (diet BS) and diet BS supplemented with a LAB complex (diet BSL). The LAB complex consisted of Enterococcus faecium 6H2, Lactobacillus acidophilus C3, Pediococcus pentosaceus D7, and Lactobacillus fermentum NC1. In Exp. 2, 16 male pigs, $29.2{\pm}0.8\;kg$ BW, were kept in individual pens and divided into 4 groups (4 pigs in each group). All 4 groups were given exactly the same growing-period diets (diet C, B, BS and BSL) as in Exp 1. The total faeces and urine were collected during 5 days (day 20-24) to determine nitrogen retention and total tract digestibility. In the growing period, average daily feed intake (ADFI), average daily gain (ADG) and feed conversion ratio (FCR) were not affected by diet B and BS (p>0.05), but ADG increased (+5.9%) (p<0.05) and FCR improved (+5.9%) (p<0.05) on diet BSL compared with the control, although ADFI was not different (p>0.05). Digestibility of crude protein and organic matter was higher (p<0.05) in diet BSL and digestibility of crude fibre was higher (p<0.05) in diet BS and BSL than in diet C. Nitrogen retention was not affected by diet (p>0.05). The faecal LAB counts were increased in grower pigs fed diet BSL (p<0.05) and faecal E. coli counts were decreased in pigs fed diets BS and BSL (p<0.05). In the finishing period, no effects of diet were found in ADFI, ADG, FCR, nutrient digestibility, and nitrogen retention (p>0.05). Faecal LAB and E. coli counts in the finisher pigs were not affected by diet (p>0.05). In conclusion, the current study demonstrates that a mixture of bacteria and yeast has the potential to be used as a probiotic dietary supplement in grower pigs.

The Optimum Methionine to Methionine Plus Cystine Ratio for Growing Pigs Determined Using Plasma Urea Nitrogen and Nitrogen Balance

  • Qiao, Shiyan;Piao, Xiangshu;Feng, Zhanyu;Ding, Yuhua;Yue, Longyao;Thacker, P.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3호
    • /
    • pp.434-442
    • /
    • 200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um ratio of methionine to methionine plus cystine for growing pigs. A nitrogen balance trial was conducted using a total of 21 barrows (Large WhiteLandrace) over two replicates. The initial body weight was $20.36{\pm}1.22kg$ (mean${\pm}$SD) in the first replicate and $23.54{\pm}1.02kg$ (mean${\pm}$SD) in the second. For each replicate, the 21 pig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seven dietary treatments with three observations per treatment. The diets included a methionine and cystine-deficient basal diet with all other essential nutrients meeting nutrient requirements and six diets formulated with graded levels of DL-methionine (0.00, 0.03, 0.06, 0.10, 0.13, 0.16%) and $L-Cystine{\cdot}HCl{\cdot}H_2O$ (0.19, 0.15, 0.11, 0.07, 0.04, 0.00%). This resulted in ratios of methionine to methionine plus cystine of 41.3, 29.6, 35.3, 41.2, 46.0, 51.6 and 57.5%. Each experimental period lasted 12 days consisting of a seven-day adaptation period followed by a five-day total collection of urine and feces. During the collection period, pigs were fed 900 g/day for the first replicate and 1,200 g/day for the second replicate. The feed was provided in three equal portions at 0800, 1500, and 2200 h daily. Pigs had ad libitum access to water after feeding. There was a linear (p<0.01) and quadratic (p<0.01) effect on daily gain and feed conversion as the ratio of methionine to methionine plus cystine increased. Pigs receiving the diets providing a methionine to methionine plus cystine ratio of 51.6% had the best daily gain and feed conversion. Plasma urea nitrogen was also lowest for this treatment. Nitrogen retention increased (p<0.01) as the relative proportion of methionine increased up to 51.6% and then a downward trend occurred at 57.5%. The quadratic regression model, as well as one- and two- slope regression line models, were used to determine the optimum ratio of methionine to methionine plus cystine. Eliminating the 35.3% methionine to methionine plus cystine treatment resulted in $R^2$ values in excess of 0.92. The optimal ratio of methionine to methionine plus cystine was estimated to be 54.15% for nitrogen retention and 56.72% for plasma urea nitrogen.

The Effect of Soybean Galactooligosaccharides on Nutrient and Energy Digestibility and Digesta Transit Time in Weanling Piglets

  • Zhang, Liying;Li, Defa;Qiao, Shiyan;Wang, Jituan;Bai, Lu;Wang, Zongyi;Han, In 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11호
    • /
    • pp.1598-1604
    • /
    • 2001
  • Eight $12.4{\pm}0.6kg$ initial body weight crossbred barrows were us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soybean galactooligosaccharides on nutrient and energy digestibility, and digesta transit time. Four dietary treatments were utilized in this trial. Treatment one was a corn-soybean meal based diet (SBM) containing raffinose and stachyose at the levels of 0.16% and 0.75%, respectively. Treatment two (control) was a corn-HP300 (soybean concentrate protein) diet. In treatments three and four, 1.1% and 2.2% commercial stachyose was added to the control diet to provide total dietary stachyose at the levels of 1% and 2%, respectively. The soybean galactooligosaccharides (raffinose + stachyose) level in treatment one was slightly lower compared to that in treatment three. Three collection periods were run with two pigs for each treatment/period. There was a 4 d adjustment period followed by a 3 d collection peri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itrogen retention (86.79%) of pigs fed treatment two diet was higher than that of pigs fed treatment one by 5.2% (p<0.05). The nitrogen retention of treatment three was intermediate 83.09%. The apparent fecal digestibility of all amino acids in treatment two was numerically highest, followed by treatments three and four.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p>0.05). The dry matter (DM), organic matter (OM), crude protein (CP), and crude fiber (CF) digestibility numerically decreased as the soybean galactooligosaccharides level increased, bu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Chromium content in feces (from the inclusion of 0.3% chromic oxide in the diets) differed among treatments (p<0.05) at 15 h, 18 h, and 21 h after eating. This showed that the digesta transit time was differed significantly among treatments. Treatment four was the shortest, followed by treatment three, SBM and control.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in the absence of antinutritional factors and soybean antigen protein, inclusion of 1% and 2% stachyose in corn-HP300 diet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digestibility of DM, OM, CP, CF and amino acids. When the soybean galactooligosaccharide level in diet one and diet three were adjusted to be almost the same, antinutritional factors such as trypsin inhibitor and soybean antigen protein could decrease the nutrient digestibility and nitrogen retention rate of diet. High levels of soybean galactooligosaccharides shortened the digesta transit time in the intestinal tract. This trial suggested that the total level of soybean galactooligosaccharides (stachyose+raffinose) in the weanling piglet diet is better not to exceed 1% when common soybean meal is used as main protein source.

치주 질환을 동반한 상악 정중이개(diastema)환자에 있어 치주-교정-보철 치료의 치험 증례 보고

  • 김태훈;이승희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36권11호통권354호
    • /
    • pp.794-799
    • /
    • 1998
  • Many references report that abnormal diastema except temporary diastema existing in mixed dentition period is caused by maxilary heavy labial frenum, malocclusion, progressive periodontal disease, and loss of posterior teeth. We can diagnose patient as diastema caused by periodontal disease, especially, in case of accompanying progressively destructed anterior maxillary alveolar bone defect, and interseptal bone defect. We report Multiple disciplinary approach for diastema associated with periodontal disease. Periodontal treatment(Guided Tissue -Regeneration, alveoloplasty, bone graft), or thodontic treatment (space closure, redistribution), and the final proshodontic restoration for retention were used.

  • PDF

스포츠용 다단구조, USGA구조 및 약식구조 지반에서 한국잔디 및 한지형 잔디의 녹색기간 비교 (Comparison of Green Color Retention of Zoysiagrass and Cool-season Grass under Multilayer System, USGA System, and Mono-layer System of Sports Field)

  • 김경남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2호
    • /
    • pp.342-353
    • /
    • 2016
  • 본 연구는 스포츠용 다단구조, USGA구조 및 약식구조에서 난지형 및 한지형 주요 초종의 연중 녹색 유지 기간을 비교하고자 수행하였다. 공시 초종은 전체 9종류로 들잔디 세 품종과 한지형 잔디 조합종 및 혼합구가 각각 세 종류이었다. 잔디지반 및 초종 별로 연중 색상 품질 및 녹색 유지 기간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지반 간 차이는 약식구조에 비해 다단 및 USGA 구조에서 잔디의 색상이 우수하였으며, 녹색 기간도 더 길게 나타났다. 초종 간 색상 차이는 계절적으로 12월 하순부터 녹화가 시작되는 이른 봄까지 크게 나타났다. 녹색 유지 기간은 한지형 잔디가 난지형 들잔디에 비해 더 길게 나타났다. 들잔디의 평균 녹색유지 기간은 약 6개월 정도였고, 이른 봄 녹화 시점은 5월 1일-5월 14일 사이, 가을에 휴면에 들어가는 시점은 10월 28일-11월 8일 사이로 나타났다. 한지형 잔디는 3월 초순-4월 초순 사이 녹화가 완료되어 동절기인 12월 중순-2월 초순까지 색상이 유지되어 초종에 따라 전체 지반 평균의 푸른 기간이 약 8.5-11개월 사이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잔디지반 유형에 따라 한지형 잔디의 녹색기간은 퍼레니얼 라이그래스의 경우 10-11개월 정도로 가장 길었고, 반면 톨 훼스큐가 8.5-9개월 정도로 가장 짧았다. 켄터키 블루그래스는 9-10개월 정도로 퍼레니얼 라이그래스와 톨 훼스큐의 중간 정도의 녹색 기간을 나타냈으며, 한지형 혼합구의 푸른 기간은 퍼레니얼 라이그래스가 많이 혼합 될수록 길어지고, 톨 훼스큐가 많이 섞일수록 짧아지는 경향이었다. 지반에 따른 초종별 녹색기간 차이는 난지형인 들잔디의 '야지', '중지' 및 '제니스'간의 차이는 2-6일로 짧은 반면, 한지형 잔디는 최소 7일-최대 36일 까지 상당히 크게 나타났다. 즉 초종 및 지반에 따라 녹색 유지 기간 차이가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정원, 공원, 경기장 및 골프장 등 잔디밭 조성 시 컨셉에 의한 초종 및 지반 선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다양한 결과는 경기장 및 골프장 등 스포츠 잔디밭 설계 시 기대하는 녹화기간에 따라 지반선정 및 초종 선택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사료급여체계가 재래종 및 교잡종 흑염소의 영양소 이용율, 질소축적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Feeding Systems on Nutrient Availability, Nitrogen Retention and Blood Characteristics in Native or Crossbred Korean Black Goats)

  • 정기웅;조익환;황보순;이성훈;송해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41-350
    • /
    • 2008
  • 본 시험은 흑염소의 효율적인 사양관리체계의 확립에 기여하기 위하여, 재래흑염소 10두(male)와 교잡흑염소(재래흑염소$\times$호주야생염소 교잡종; 50:50%) 10두(male)를 공시하여, 시판 배합사료와 조사료를 급여하는 관행사료와 TMR 사료를 각각 급여하였을 때, 흑염소의 사료섭취량, 영양소소화율, 질소축적율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실험기간은 사료 적응기간 14일 예비기간 10일을 거친 후, 14일간의 본 실험 기간을 두어 총 38일간 실시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1일 두당 건물의 섭취량은 TMR을 급여한 교잡종이 가장 높았고(p<0.05), 품종간에서는 재래종 보다 교잡종지, 사료급여체계간에는 관행구보다 TMR구가 높았다(p<0.05). 일당증체량은 재래종 관행구, 재래종 TMR구, 교잡종 관행구, 교잡종 TMR구의 순으로 유의하게 높아졌다(p<0.05). 건물 소화율은 사료급여체계간에서는 TMR구가 관행구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품종간에도 교잡종이 재래종 보다 높았다(p<0.05). 질소축적량 및 질소축적율은 교잡종 TMR구가 가장 높았고, 재래종 관행구가 가장 낮았다(p<0.05). 혈중 glucose의 함량과 PUN(plasma urea nitrogen)은 교잡종이 재래종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TMR 형태의 사료급여가 재래종 보다는 교잡종에 흑염소의 생산성과 사료섭취량, 소화율, 질소축적을 및 혈액성상에 양호한 영향을 나타내어, 효율적인 사양관리체계의 확립과 함께 흑염소 생산농가에 경제적 이득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전통채소 밑반찬의 Recipe 개발 및 저장성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Recipe for the Korean Typical Wild-Vegetable Preparations and Their Storage)

  • 임숙자;장기숙;김계옥;이홍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1-27
    • /
    • 1991
  • Recipe for Korean typical wild.vegetable preparations were developed and changes in pH, total acidity and ascorbic acid were measured during the storage period at 4~$5^{\circ}C$. Crude fiber and minerals were also analyzed and sensory evaluation was conducted. Changes in pH and total acidity were not significant in most of the samples and the results reveal that the vegetable preparations were in good conditions throughtout the storage period at 4~$5^{\circ}C$. The contents of ascorbic acid have been gradually reduced during the first 10-day storage showing 30~70% retention and continuous loss to 30~40% left on 20th-day. Crude fiber and mineral (Ca, p, Fe, K, Mg) contents were relatively higher in the wild-vegetables than in the everyday use vegetables. The results of the sensory evaluations revealed that the tested samples were in good scores (overall scores>6) except sancho-seed pickles.

  • PDF

치아이동 후 고정방법이 성견 치주인대 섬유의 재배열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plinting Methods on the Rearrangement of Periodontal Fibers after Tooth Movement in Adult Dogs)

  • 이기헌;황현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825-837
    • /
    • 1997
  • 실험적 치아이동 후 보정기간 동안 고정방법이 치주인대 섬유의 재배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체중 20kg 내외의 성견에서 상악 제 3절치와 견치 사이에 견인 스프링을 이용하여 120 gm의 교정력을 3주간 가한 후 좌측에는 유연성 고정장치로 0.0215 인치 multistrand wire를, 우측에는 견고성 고정장치로 폴리 에틸렌 리본을 레진 접착제로 각각 장착한 다음 4주, 8주, 또는 12주 후 희생시켜 치주조직의 변화를 방사선 사진, 광학 현미경 관찰을 통하여 분석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치아이동 후 압박측에서는 치주인대 공간의 압축과 함께 치주인대섬유가 굵어진 소견을 보였으며 인장측의 치주인대섬유는 신장되어 보였다. 2. 보정 4주 후 유연성 고정군에서는 치주인대섬유의 재배열이 관찰되었으나 견고성 고정군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3. 보정 8주 후부터는 두 군 모두에서 치주인대섬유의 재배열 소견이 관찰되었으며, 두 군간 치주인대섬유의 재배열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4. 보정기간 동안 치주인대섬유의 재배열은 압박측 보다 인장측에서 빠른 소견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치아이동 후 견고하게 고정한 보정방법에서도 치주인대섬유의 재배열이 일어남을 보여주었고, 치아 보정시 폴리에틸렌 리본으로 고정한 보정장치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 PDF

복합 치관-치근 파절의 교정적 정출술을 이용한 심미적 수복 (Esthetic Restoration of Complicated Crown-Root Fractures Utilizing Orthodontic Extrusion)

  • 김민지;김진영;김수현;임수민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60-69
    • /
    • 2016
  • 영구 전치의 복합 치관-치근 파절은 심미적, 기능적 문제 뿐 아니라 심리적 문제도 발생시킨다. 그러므로 파절에 대한 치료는 매우 중요하며, 여러 분야에 걸친 종합적 치료가 요구된다. 본 증례는 두 환자에서의 외상으로 인한 상악 전치의 복합 치관-치근 파절에 대한 임상적 치료 과정을 서술하였다. 근관치료와 근첨형성술이 각 환자에게 시행되었으며, 파절선을 치은 상방으로 노출시키고 생물학적 폭경을 재확립하기 위해 교정적 정출을 시행하였다. 이후 유지기간을 두었고, 그 기간 동안 치아에 임시수복을 시행하였다. 최종적으로 CAD/CAM을 이용한 세라믹 크라운 수복을 시행하였다. 이후 정기 검진 때에도 해당 치아들은 만족스러운 기능적, 심미적 결과를 보였으며, 두 환자 모두에서 재발은 나타나지 않았다. 치주조직 또한 건강한 상태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