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ponse fire administration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19초

시뮬레이션을 통한 주거공간 단독경보형감지기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the the Single Alarm Detector in the Rooms of Single Houses by Computer Simulation)

  • 임근주;박상천;백은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4권4호
    • /
    • pp.29-35
    • /
    • 2020
  • 본 연구는 단독주택에 설치된 단독경보형감지기의 성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1층 주택 2개 및 2층 주택이 포함된 세 가지 유형의 주택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주거 공간에서 경보음 발생에 따른 음압 레벨을 예측하기 위해 컴퓨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시뮬레이션에 적용된 음원의 특성을 직접 측정하여 입력 데이터로 사용했다. 시뮬레이션 결과, 부엌과 거실에서의 음압레벨이 탐지기의 경보음이 발생했을 때 기준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침실에서의 음압레벨은 미국화재방지협회 기준인 75 dB(A)보다 최소 20 dB(A) 낮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따라서 주택 내부의 침실 공간에서 충분한 음압레벨을 유지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해야 하며, 관련 표준을 제정하여 화재시 안전한 대피를 보장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소방학의 학문적 정체성 확립을 위한 소방정책론 정립방안 (Fire Service Policy Theory for Establishing Fire Science)

  • 류상일;이재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421-432
    • /
    • 2010
  • 한국의 소방학 관련 학과는 전국에 80여개가 운영되고 있지만, 교육과학기술부가 인정하는 학문분류체계표상의 분과 학문으로 등록되어 있지 않고, 한국연구재단의 학문 연구 분야별 분류표에도 등재되어 있지 못하다. 이에 최근 소방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확립하여 소방학 전반에 걸친 학문적 발전 및 성숙과 소방정책의 발전을 도모하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소방정책에 대한 기존 선행 연구 및 이론서의 부족으로 인해 소방정책론 정립에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행정학, 경찰행정학, 정치학 등 인접학문의 논의를 기초로 소방정책의 특수성을 감안한 소방정책론 정립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기존의 화재진압, 화재예방, 구조 및 구급 정책에 국한하지 않고, 최근 소방정책 분야의 패러다임 변화를 적극 반영하여, 대국민 안전예방정책, 소방보험정책 등을 포함하는 소방정책론이 요구되고 있다. 이 연구는 소방정책론의 바람직한 정립 방향을 논의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소방학에서의 소방정책론 정립의 필요성과 소방정책론 구성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하여, 바람직한 소방정책론 구성의 방향을 총론 및 각론으로 구분하며, 소방정책론 정립을 통하여 향후 한국소방정책의 발전방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비상재난 발생 시 외부 VHF 장비와 연동하는 소형선박용 재난자동속보장치 (Automatic Distress Notification System Working with an External VHF Device in Small Ship)

  • 정헌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7권1호
    • /
    • pp.14-19
    • /
    • 2013
  • 본 논문은 소형 선박의 비상재난 발생 시 외부 VHF 장비와 연동하여 재난 상황을 자동으로 속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소형 선박용 재난자동속보장치에 대한 내용이다. 재난자동속보장치는 소형 선박의 재난 발생을 방지 또는 신속 대응하기 위한 시스템인 소형 선박재난분석시스템의 일부 장치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선박재난분석시스템으로부터 재난 인지 신호와 GPS 위치 정보를 입력 받는다. 비상 상황 발생 시 위치 정보를 구조 요청의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 VHF 장비를 통해 송출한다. VHF 장비와 재난자동속보장치가 물에 잠기기 전까지 계속적인 음성 구조 신호를 송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소형선박에 발생할 수 있는 갑작스런 재난상황의 대응과 인명손실을 예방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소방관의 화재대응의사결정요인에 관한 주관성 연구: Q방법론을 활용한 조사를 중심으로 (Subjectivity Study on Decision Making Elements for Firefighting of Firefighters: An Investigation Utilizing Q Methodology)

  • 김정훈;류승훈;이동규
    • 지식경영연구
    • /
    • 제24권4호
    • /
    • pp.23-42
    • /
    • 2023
  • 본 연구는 화재 대응에서 소방관의 의사결정이 중요하지만 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점에서 시작하였다. 다양한 경험과 서로 다른 임무를 가진 소방관의 화재대응 의사결정요인을 Q방법론을 통하여 유형화함으로써, 현재의 기술 및 데이터 수준에서의 한계와 향후 미래 소방 R&D 영역을 확인하는데 시사점을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소방관의 주관성은 「구조 관련 직접 정보 중시형」, 「대상물 정보 중시형」, 「지휘 관련 정보 중시형」 3가지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 소방관의 화재 대응시 의사결정요인에 대한 주관성은 소방관의 경험이나 직무에 따라서 부분적으로 차이가 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일반 이론의 수준에서 보편적인 의사결정과정이나 의사결정요인이 아닌 화재대응의 구체적 의사결정요인을 수집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정책적 관점에서 의사결정요인에 대한 소방관의 주관성을 유형화함으로써 소방의 데이터기반 행정을 위하여 필요한 데이터 수요를 발견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었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의 현장 경험에 기반한 의사결정과정에 대한 선호는 소방관이 해당 경험을 제대로 할 수 있도록 현장의 상황을 더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돕는 장비의 개발이나 실시간 데이터 수집 지원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지진기록 사용에 따른 고층 면진건물의 동적 응답 (Dynamic Response of Seismically Isolated High-Story Buildings according to Earthquake Records)

  • 이현호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643-651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면진장치 설계 절차 체계화에 따른 면진건물의 응답특성을 사용지진 기록에 따라 평가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대상 건물은 면진에 적합한 기초 면진 적용한 20층 주거 건물로, 지진기록 사용에 따른 응답특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면진건물의 시간이력해석을 위한 지진파의 선정은 응답 결과에 많은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관련기준의 제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지진기록을 이용한 면진구조물의 시간이력해석 결과, 면진층 변위, 층간변위비, 면진장치의 거동이 적절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지진기록 및 면진장치 선정 결과, 설계된 면진건물의 지진저항 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재난 대비 임시거주시스템 활용을 위한 비상 대응 시나리오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Emergency Response Scenario Using Temporary Residential Housing System of Disaster)

  • Ham, Eun-Gu;Koh, Jae-Sun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521-531
    • /
    • 2013
  • 재난 대비 임시거주시스템 활용을 위한 비상대응 시나리오 설계를 통하여 신속한 비상사고 유형 파악과 그에 따른 적절한 비상대응절차의 적용은 사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난 발생 시 예상되는 비상사고의 잠재 가능성을 분석하여 발생 가능한 비상사고 시나리오를 도출하였고 이러한 재난 대비 임시거주 비상 시나리오를 기본으로 하여 시나리오에 따른 비상대응 및 복구 방안을 도출 하였다. 또한 비상대응시나리오의 각 이벤트별로 비상대응 시 취해져야할 비상대응에 필요한 요구사항을 행동 주체별 대응 단계별로 정의하였다. 또한 비상대응 주체별 단계별 시나리오 구성을 통해 재난 발생 시 신속하고 종합적인 비상대응이 이루어 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재난 현장 대응 및 상황 정보 관리 모델에 관한 연구 (A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model for the disaster field response and situation information management)

  • Lee, ChangYeol;Kim, TaeHwan;Lee, ChangSeong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36-42
    • /
    • 2018
  • 대부분의 재난 상황 관리 시스템의 목표는 재난안전대책본부 지휘자의 정확한 상황 판단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센서, CCTV, 기상 등으로부터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현장 담당자로부터 현장 상황 정보를 받아서 판단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모델은 현장 담당자의 세부 임무 관리 및 임무 수행 상황에 대한 관리가 부족하여 현장 대응력 부족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이러한 현장 임무 수행 능력의 관리와 상황 관리를 통합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모델 개발에 초점을 두었다.

영국 안전규제체계의 분석을 통한 국내 다중이용업소 안전관리체계의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Safety Management System of Publicly Used Establishments Through Analysis of the UK Regulatory Regime)

  • 박수형;윤명오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768-783
    • /
    • 2020
  • 연구목적: 국내 다중이용업소는 업종의 특수성 등으로 인하여 화재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며, 이에 따라 2006년에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어 현재까지 운용 중이나 그간 다수의 개정에도 불구하고 개선할 점이 여전히 상존한다. 본 연구는 규제체계의 구축과 운영에 있어 모범국가인 영국의 안전규제체계를 분석함으로써 국내의 다중이용업소 안전관리체계를 근본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수행되었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비교연구법을 활용하여 국내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체계와 영국의 화재안전 관리체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이러한 정성적 분석의 결과, "관계인", "화재위험평가", "화재안전감사" 등 국내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체계를 개선하기 위해 주목할 만한 제도들을 선정하였고, 이에 추가로 국내의 제반여건을 고려하여 "국내 다중이용업소 소방안전관리체계(안(案))"를 고안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다중이용업소의 안전체계를 민간 중심으로 재편하고 특히 화재예방분야에서 정부의 개입을 최소화하는 영국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국내의 다중이용업소 안전관리체계를 보다 합리적이고 실효성있는 체계로 개선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재난상황 대응에 관한 발전방안 서울종합방재센터를 중심으로 (A Study on Development Plans on Response of Disaster Situations -Focused on the Seoul Disaster Management Center-)

  • 김우성;이정일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03-111
    • /
    • 2013
  • Disaster management is successful if the situation in the event of an accident to minimize casualties and property damage, and commitment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personnel and material, and further the administration site conditions promptly reported to the director or the people. transmit from one generation to the next the stability of the society could seek would be. In this respect.

재난안전로봇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시나리오 개발 및 그 활용의 효과분석 (Development of Scenario for Utilization in Education of Disaster Response Robots and Effective Analysis of its Application)

  • 강웅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160-16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화재, 붕괴, 특수사고, 산불 등의 4개의 재난·재해 중 화재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재난안전로봇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이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로봇 활용 교육에 따른 효과분석을 목표로 한다. 시나리오는 현직 소방대원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통해 방향성, 현실성 및 합리성 내용을 중심으로 시나리오를 개발하였다. 또한 재난안전로봇의 활용 교육 및 훈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로봇 개발연구진, 현직소방대원,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반복적인 로봇 조종 훈련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로봇조종은 직접조정, 모니터조종, 시뮬레이터조종으로 구분하여 테스트를 5회 실시하여 하였다. 로봇조정 테스트분석결과 각 그룹별로 소요된 평균시간은 대학생이 28초로 가장 빨랐으며 연구개발팀(30초), 소방대원(38초) 순으로 나타났다. 개인별 분석결과를 보면 직접조정의 경우에는 소방대원이 (최대 35초), 모니터 조정에는 연구개발팀이 (최대 14초), 시뮬레이터 조종에서는 소방대원 (최대 22초)의 조종시간 단축의 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재난·재해 현장에서 로봇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반복적인 로봇 조종 교육 및 훈련이 필요함을 입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