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ubjectivity Study on Decision Making Elements for Firefighting of Firefighters: An Investigation Utilizing Q Methodology

소방관의 화재대응의사결정요인에 관한 주관성 연구: Q방법론을 활용한 조사를 중심으로

  • Junghoon Kim (Dong-A Univ. Department of Disaster and Emergency Management) ;
  • Seung Hoon Ryu (Dong-A Univ. Department of Disaster and Emergency Management) ;
  • Dongkyu Lee (Dong-A Univ. Department of Disaster and Emergency Management)
  • 김정훈 (동아대학교 대학원 재난관리학과) ;
  • 류승훈 (동아대학교 대학원 재난관리학과) ;
  • 이동규 (동아대학교 대학원 재난관리학과)
  • Received : 2023.08.24
  • Accepted : 2023.10.27
  • Published : 2023.12.31

Abstract

This study originated from recognition of importance of firefighters' decision-making in fire response, coupled with existing gap in research. By utilizing Q-methodology, the study aimed to categorize firefighters' subjectivity in fire response decision-making. Through this categorization, the study sought to highlight insights into the current technological and data limitations, as well as potential directions for future R&D in the field of firefighting. The findings of the study revealed that firefighters' subjectivity could be classified into three factors: "emphasis on direct information related to rescue," "emphasis 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target property," and "emphasis on information related to command and coordination." The study theoretically confirmed that the subjectivity of firefighters' decision-making in fire response is partially influenced by their experiences and job. Additionally, the study's significance lay in its approach of collecting specific decision-making factors in fire response, moving beyond general theoretical models. Furthermore, from a policy perspective, the typification of decision-making factors contributed to connecting the identified data-based administrative needs from prior studies. Insights from the stud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leveraging on-site experience in Korea to aid decision-making, calling for the development of equipment and data collection methods that can rapidly and accurately assess on-site conditions.

본 연구는 화재 대응에서 소방관의 의사결정이 중요하지만 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점에서 시작하였다. 다양한 경험과 서로 다른 임무를 가진 소방관의 화재대응 의사결정요인을 Q방법론을 통하여 유형화함으로써, 현재의 기술 및 데이터 수준에서의 한계와 향후 미래 소방 R&D 영역을 확인하는데 시사점을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소방관의 주관성은 「구조 관련 직접 정보 중시형」, 「대상물 정보 중시형」, 「지휘 관련 정보 중시형」 3가지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 소방관의 화재 대응시 의사결정요인에 대한 주관성은 소방관의 경험이나 직무에 따라서 부분적으로 차이가 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일반 이론의 수준에서 보편적인 의사결정과정이나 의사결정요인이 아닌 화재대응의 구체적 의사결정요인을 수집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정책적 관점에서 의사결정요인에 대한 소방관의 주관성을 유형화함으로써 소방의 데이터기반 행정을 위하여 필요한 데이터 수요를 발견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었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의 현장 경험에 기반한 의사결정과정에 대한 선호는 소방관이 해당 경험을 제대로 할 수 있도록 현장의 상황을 더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돕는 장비의 개발이나 실시간 데이터 수집 지원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동아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사업임을 밝힙니다.

References

  1. 김정훈 (2023). Q 방법론을 활용한 재난 거버넌스의 구성요소에 대한 주관적 인식 연구: Ansell & Gash (2008) 의 협력적 거버넌스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정책연구, 23(2), 179-203. 
  2. 김정훈, 이동규 (2022). 경찰과 소방조직의 통합적 사고대응을 위한 결정적 사고관리에 관한 주관성 연구: 척도 창조 (Scale Creation) 를 적용한 Q 방법론과 질문지법의 결합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56(3), 245-282. 
  3. 김흥규 (2007). P 표본의 선정과 Q 소팅. 주관성연구, (15), 5-19. 
  4. 민금영, 정덕훈 (2013). 빅데이터 속성이 재난대응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전자거래학회지, 18(3), 17-43. 
  5. 백민호, 임사환, 염무열 (2016). 재난사례분석을 통한 소방지휘관의 의사결정요인 및 방식에 관한 고찰.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6(1), 313-314. 
  6. 염무열, 구원회, 최윤정, 박소연, 백민호 (2016). 재난현장 대응시 소방조직의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6(1), 113-114. 
  7. 윤지찬, 박도형 (2023). 가상 인간에 대한 우리들이 원하는 모습: Q방법론을 기반으로 한 연령대에 따른 소비자 기대 가치 분류. 지식경영연구, 24(2), 137-159. 
  8. 이동규, 김정훈, 김예슬, 임난영 (2023). 스마트 소방 단계별 필요한 데이터는 무엇인가?: 경기도 소방공무원의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융합과학회지, 12(5), 219-231. 
  9. 이혜선, 홍상기, 이강복. (2020). 공간정보 및 화재안전정보를 이용한 규칙 기반 화재 대응 의사결정 지원 방법.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7(2), 634-636. 
  10. 정주용, 이철주 (2010). 책임성의 분산과 위기상황에서의 의사결정: 숭례문 화재사건의 재구성. 정부학연구, 16(1), 243-272. 
  11. 정창욱, 류상민, 홍성호 (2019). 재난대응을 위한 빅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기술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학술대회, 1196-1198. 
  12. 조민상 (2022). 위기상황에서의 현장대응력 향상 방안 모색-지역사회 의사결정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융합과학회 국제학술대회자료집, 2022, 84-86.
  13. Brown, S. R. (1980). Political subjectivity: Applications of Q methodology in political science.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4. Curnin, S., Brooks, B., & Owen, C. (2020). A case study of disaster decision-making in the presence of anomalies and absence of recognition. Journal of Contingencies and Crisis Management, 28(2), 110-121. 
  15. Hamins, A. P., Bryner, N. P., Jones, A. W., Koepke, G. H., & Raghunathan, A. (2014). Smart firefighting workshop summary report. 
  16. Kapucu, N., & Garayev, V. (2011). Collaborative decision-making in emergency and disaster manag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34(6), 366-375. 
  17. Watts, S., & Stenner, P. (2012). Doing Q methodological research: Theory, method & interpretation. SAGE.
  18. 대한민국정부 (2022). https://www.president.go.kr/affairs/gov_proj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