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onance

검색결과 11,080건 처리시간 0.046초

안와부 자가지방이식술 후 시력 저하에 대한 증례보고 (Visual Disturbance following Autologous Fat Injection into Periorbital Area)

  • 전영우;김성수;하상욱;이영대;설철환;탁관철;조을제;유원민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4권5호
    • /
    • pp.663-666
    • /
    • 2007
  • Purpose: Autologous fat injection into the facial area is a frequently used technique in aesthetic plastic surgery for augmentation of the soft tissue. Fat injection is a very safe procedure because of the advantage of being autologous tissue. Minimal foreign body reaction or infections are noted after fat injection. However, there may be some complications including those as severe as blindness. There have been some case reports on visual disturbances after autologous fat injection reported in the literature. Methods: A 21-year-old female patient underwent autologous fat injection into left eyebrow area to correct depression of soft tissue. Immediately after injection of autologous fat, she complained sudden visual loss on the left eye. She had come to our emergency room and ophthalmologic evaluation showed that the patient could only recognize hand motion. There was no abnormality of the optic nerve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Suspecting an ischemic optic neuritis from fat embolism of the central retinal artery, the patient was treated conservatively with occular massage, antiglaucomatic agent, anti-inflammatory drugs and antibiotics. Visual field examination showed visual defect of half the lower hemisphere. Results: While maintaining antiglaucomatic agents and non steroidal anti inflammatory drugs, fundoscopic examination showed no abnormalities on the second day of admission. Visual field examination showed an improvement on the fourth day along with decreased eyeball pain. Significant improvement of vision was noted and the patient was discharged on the fifth day of admission. The patient was followed-up 2 days afterwards with improved vision and visual field defect. Conclusion: We describe an unusual case of sudden unilateral visual disturbance following autologous fat injection into periorbital area.

건강권과 방사선사법 제정에 관한 고찰 (A Study on Enacting the Radiologic Technologist Act for the Civil Right to Health in Korea)

  • 임창선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0권4호
    • /
    • pp.313-320
    • /
    • 2007
  • [ $\ulcorner$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lrcorner$에는 다수 직종을 총괄하여 규정하고 있어 방사선사 업무의 전문성 향상과 방사선의료기술에 대한 국민의 건강권을 보장하기 어렵다. 따라서 방사선사에 관련된 법령을 개별적으로 제정하는것이 요청된다. 개별법으로서 방사선사법은 궁극적으로 국민의 건강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방사선사의 책임규제에 관한 법으로 제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전문방사선사에 대한 규정을 신설하고 보수교육과 면허관리제도의 강화를 통하여 국민들이 보다 수준 높은 양질의 방사선의료기술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방사선사의 역할과 업무를 명확히 규정하여 국민에게 제공되는 의료방사선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확보하여야 한다. 정부기관에는 의료방사선정책심의위원회를 두어 의료방사선의 안전관리와 방사선사 인력의 수급, 기타 의료방사선정책에 관한 중요한 사항이 검토되고, 심의되어야 한다. 그밖에 방사선조사선량의 기록, 관리를 통하여 방사선피폭으로부터 국민의 건강보호를 위한 규정도 필요하며, 팀의료의 일원으로서 방사선사의 지위가 보장되어야 한다.

  • PDF

충격 반향 기법을 이용한 숏크리트 배면 접착 상태 평가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Evaluation of bonding state of tunnel shotcrete using impact-echo method - numerical analysis)

  • 송기일;조계춘;장석부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105-118
    • /
    • 2008
  • 숏크리트는 터널에서 사용되는 중요한 지보재이다. 숏크리트와 암반의 접착상태는 터널의 안정성 및 사용성에 큰 영향을 끼치는 중요한 평가 요소이다. NATM공법을 이용한 터널 굴착시 굴착면 빛 벤치부에서 발파에 의해 숏크리트가 부착력을 잃고 암반으로부터 탈락되거나 공동이 형성되는 경우 숏크리트 자체의 파괴뿐만 아니라 터널의 전체적인 안정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숏크리트의 접착상태는 완전 접착, 접착력 상실, 그리고 공동으로 분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파괴 시험인 충격반향기법(Impact-Echo)을 이용하여 숏크기트와 암반의 접착상태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범용 유한요소 해석 프로그램인 ABAQUS를 이용하여 충격반향시험에 대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수치해석으로부터 획득된 신호를 시간영역, 주파수 영역 및 시간-주파수 영역에서 각각 해석하여 숏크리트와 암반의 접착상태에 따른 신호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능동적 신호 처리 기법인 Short-Time Fourier Transform(STFT)을 이용하여 숏크리트 배면의 접착상태를 효과적으로 예측할 수 있었다. 숏크리트 배면의 접착상태가 불량할수록 시간영역 신호의 최대 진폭 이후 첫 진폭이 커지며, 주파수 영역에서 최대 에너지가 커진다. 또한 뚜렷한 공진 주파수가 나타나므로 숏크리트의 두께의 역산이 가능해진다. 시간-주파수 영역에서 윤곽선은 시간축에 평행한 형상을 나타낸다. 또한 완전 접착조건에서 지반 종류에 따른 신호특성도 분석하였다. 지반조건이 불량할수록 시간-주파수 영역에서 시간축과 평행한 윤곽선의 길이가 길어지며 그 주파수 대역은 10 kHz 이하의 저주파수 영역에서 나타난다.

  • PDF

분자 자성체의 자기 특성과 양자역학적 효과 (The Magnetic Properties and Quantum Effects of Molecular Nanomagnets)

  • 장지훈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83-88
    • /
    • 2004
  • 자성의 양자 역학적 터널 효과의 발견 이후 학술적 관심이 증대된 분자 자성체의 자기적 성질과 양자역학적 효과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분자 자성체는 유기물 골격 구조 안에 자성 이온이 일정한 구조를 가지고 배열되어 있는 금속-유기물 분자로서,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분자들 간의 자기적 상호작용이 매우 작은 분자들이 거대한 분자-결정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기존의 자성 물질에 비해서 많은 특이한 성질들을 가지고 있는데 특히 거시적 측정의 결과가 미시적인 특성, 즉, 분자의 자기적 성질을 그대로 보여 준다는 점은 매우 흥미롭다. 분자 자성체의 자성에 대해 고찰함에 있어서 미시적인 연구 방법인 핵자기 공명법을 이용한 연구들에 중점을 두고 고찰하였다. Mnl2-ac에서 발견된 자성의 양자적 터널 현상을 핵자기 공명법으로 관측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고 그것을 이용한 양자역학적 터널 현상에 대한 미시적 연구도 고찰하였다. 또한 분자 자성체에서 핵자기 공명법으로 처음으로 발견된 레벨간의 교차효과도 그 물리적 의미를 실험 결과들을 가지고 고찰하였다. 이러한 분자 자성체 대한 연구는 향후 응용분야에서 필요할 자기 기억 소자의 크기의 한계에 대한 정보를 줄 수 있고, 양자 컴퓨터에의 응용에 필요한 기초 지식을 제공할 것이다. 학술적인 면에서는 지금까지 잘 이해되지 않고 실험적으로 검증이 되지 않았던 많은 양자역학적 이론들의 실험적 검증이 가능할 것이다.

흉막 및 폐를 침범한 전종격동 지방육종에서의 흉막외 폐전적출술 - 1예 보고 - (Extrapleural Pneumonectomy for the Anterior Mediastinal Liposarcoma with Invasion of Pleura and Lung -1 case report -)

  • 박천수;김영태;성숙환;김주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3호
    • /
    • pp.286-291
    • /
    • 2004
  • 원발성 지방육종은 종격동에서 매우 드물게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수술적 절제가 가장 효과적인 치료로 알려져 있다. 24세 남자 환자가 1개월 전부터 시작된 호흡곤란과 흉부 불편감으로 타 병원에서 좌측 혈흉을 의심하여 좌측 흉관삽관술을 시행받았다. 본원 입원 후 흉부 단순촬영에서 종격동 편위소견을 보였고 빈맥이 진행하였으며, 중심정맥압이 상승하는 양상보여 진단 및 혈괴제거를 위해 응급으로 좌측 개흉술을 시행하여 다량의 점액성의 혈성 흉수를 제거하였고, 조직검사 결과 골격계외 점액성 연골육종으로 진단되었다. 2주 후 좌측 개흉술로 횡격막 및 심낭의 일부를 포함하는 흉막외 좌측 전폐적출술과 함께 종격동 종양을 절제하였다. 조직검사에서 점액성/원형세포 지방육종으로 진단되었으며, 입원 54일만에 합병증 없이 퇴원하였다. 술 후 2개월째 1회의 항암화학요법(Ifosfamide+Adriamycin: IA) 후 종격동, 좌측 견갑골 부위 및 종격동 임파선에 재발하여, 약제를 바꾸어 (Etoposide+Ifosfamide+Cisplatin: VIP)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였으나 복강전이로 술 후 10개월째 사망하였다. 종격동에 발생하는 원발성 지방육종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수술적 절제 및 항암요법 후 추적관찰한 1예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척수연화증 개에서 전통 수의학적 방법을 이용한 치료 시도: 증례 보고 (Therapeutic Approach by Traditional Veterinary Medicine in a Case with Canine Myleomalacia: Case Report)

  • 전형규;오현욱;이현화;한지원;이병곤;박진호;이영원;정성목;김덕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608-612
    • /
    • 2007
  • 4년령의 중성화한 수컷 코커 스파니엘이 후지 마비와 진전 때문에 내원 하였다. 본 환축은 X-ray와 MRI를 이용하여 추간판탈출증이 합병된 척수연화증으로 진단되었다. 환축의 치료를 위하여 봉독 약침, 뜸 및 한약제의 투여를 이용하였다. 사용 혈위는 GV02-1, GV04, GV11, GV12, GV13, GV14, BL11, BL18, BL23, BL25, BL28, GB21, HT07, KI03, LI04, LU07, SI03, SI06, ST36, ST38, ST39, ST40, ST41, GB30, GB31, GB34, LIV03, SP06 및 압통점($T1{\sim}T4\;and\;T9{\sim}L1$) 이었다. 그 결과, 1차 치료 시 환축은 기립이 불가능하였으며, 사지를 움직이지 못하였다. 그러나 7차, 14차 및 21차 치료 시 점차적인 임상증상의 개선이 관찰되었다. 비록 한방수의학적 방법으로 임상 증상이 완치된 것은 아니지만, 21차 치료 후 임상증상이 일부 호전된 증례이었다.

새로운 5,6-dihydro-2-trifluoromethyl-1,4-oxathiincarboxanilide 유도체의 항균활성에 미치는 치환-phenylcarbamoyl group의 영향 (Influence of substituted phenylcarbamoyl group on the fungicidal activites of a new 5,6-dihydro-2-trifluoromethyl-1,4-oxathiincarboxanilide derivatives)

  • 성낙도;유성재;남기달;장기혁;한호규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64-69
    • /
    • 1998
  • 기질(S) 화합물로 30종의 5,6-dihydro-2-trifluoromethyl-1,4-oxathiin carboxanilide 유도체들을 합성하고 벼 잎집무늬 마름병균(Rhizoctonia solani)과 밀 붉은 녹병균(Puccinia recondita)에 대한 항균활성(in vivo) 값($pI_{50}$)을 측정하였다. (S)는 잘록병균보다 밀 붉은녹병균에 대하여 보다 큰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두 종의 균에 대하여 3-methoxy, 11, 3-iso-propyloxy, 13 및 3-iso-propyl 치환체, 25가 제일 큰 활성을 보였다. 그리고 치환(X)-phenylcarbamoyl group의 변화에 따른 물리-화학 파라미터와 항균활성($pI_{50}$)으로부터 구조-활성관계(SAR)를 검토 한 결과, 벼 잎집무늬 마름병균에 대하여는 공명효과에 따른 전자밀게(R<0)의 소수성이 큰(${\pi}>0$) m-alkyl 치환기(X)가, 그리고 밀 붉은녹병균에 대하여는 분자 분극율(Sp.Pol.)과 분자의 음하전(ABSQ<0)을 위시하여 HOMO에너지(e.v.)가 클수록(HOMO<0)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전하-조절 반응에 의한 수용체-(S)간의 상호작용과 높은 활성발현 조건들이 검토되었다.

  • PDF

비스 방향족 $\alpha, \beta$ -불포화 케톤 유도체중 2-pyridyl 및 phenyl 치환체의 항균성에 관한 치환 phenyl backbone의 영향 (Influence of substituted phenyl backbone on the fungicidal activity of phenyl or 2-pyridyl substituents in bis-aromatic ${\alpha},{\beta}$-unsaturated ketone derivatives)

  • 성낙도;유성재;최경섭;김현제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45-51
    • /
    • 1998
  • 방향족 고리로서 2-pyridyl이나 phenyl group이 치환($R_{1}$)된 비스 방향족 ${\alpha},{\beta}$-불포화 케톤 기질 유도체중 치환($R_{2}$) phenyl backbone의 변화에 따른 벼도열병균(Pyricularia oryzae)과 토마토 역병균(Phytophtora infestans) 및 보리횐가루병균(Erysiphe graminis)에 대한 항균활성과 물리화학 파라미터들 사이의 정량적 구조-활성관계(QSAR)를 검토하였다. phenyl 치환체, $1{\sim}11$의 벼도열병군에 대한 항균활성은 전자밀게에 의한 공명효과(R<0)와 소수성(${\pi}$>0), 토마토역병균의 경우에는 적정값의 STERIMOL 파라미터인 치환기의 길이$((L_{1})_{opt.}=5.69({\AA}))$ 그리고 보리흰가루병균은 적정값의 소수성((${\pi})_{opt.}=0.38$)에 의존적이었다. 또한, 2-pyridyl 치환체, $12{\sim}28$에 있어서 벼도열병균$(M_{R})_{opt.}=39(cm^{3}/mol)$과 토마토 역병$(M_{R})_{opt.}=8.04(cm^{3}/mol)$은 적정값의 분자굴절상수($M_{R}$)와 Taft의 입체효과(Es), 그리고 보리 흰가루병균의 경우에는 Es와 정전위(EP), 그리고 LUMO 에너지(e.v)가 항균활성에 각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그리고 보리흰가루병균의 경우 두 치환체들의 항균활성 관계는 서로 비례관계를 보이는 경향이었다.

  • PDF

요추간판탈출증 환자의 요천각, 요추중력중심선 및 요추전만각의 통계적 관찰 (Statistical Study of the Ferguson's Angle, Lumbar Gravity Line and Lumbar Lordotic Angle in HIVD Patients.)

  • 고동현;홍순성;이진호;정성엽;신준식
    •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7-32
    • /
    • 2007
  • Objectives : The lumbosacral joint is unstable area from an anatomical viewpoint, while it is also a very mobile area in ordinary life, so that clinically major causes of low back pain originate in this joi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difference of the Ferguson's angles, Lumbar gravity lines, Lumbar lordotic angles among Herniated of Intervertebral Disc(HIVD) patients. Methods : We analyzed the lateral view of lumbar spine checked at erect position on 88 patients who had been diagnosed as HIVD by Magnetic Resonance Imaging(MRI). We investigated the Ferguson's angle, Lumbar gravity line, Lumbar lordotic angle on X-ray film. Results and Conclusions : In the acute lumbago group the Ferguson's angle had a tendency to decrease, while in the chronic group it had a tendency to increase. In the acute lumbago group the Lumbar gravity line fell in front of the normal range(sacrum), while in the chronic group it fell behind the normal range(sacrum). In the acute lumbago group the Lumbar lordotic angle usually decreased, while in the chronic group it increased. The Ferguson's angle and the Lumbar gravity line, the Ferguson's angle and the Lumbar lordotic angle, the Lumbar gravity line and Lumbar lordotic angle each had a positive realtionship. The Ferguson's angle, the Lumbar gravity line and the Lumbar lordotic angle was less influenced by the level of HIVD and was more influenced by how long the patient had the pain. The correlationship between each factor was less in the chronic lumbago group than the acute group. In the chronic lumbago group the instability of the lumbosacral joint increased, while in the acute group the compression of the weight on the sacrum increased.

  • PDF

파랑 및 흐름중 모형 가두리 시설의 운동 특성 (Dynamic Motions of Model Fish Cage Systems under the Conditions of Waves and Current)

  • 김태호;김재오;류청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43-50
    • /
    • 2001
  • 규칙파, 불규칙파 및 파랑과 흐름이 공존하는 상태에서 프레임에 우리형 그물을 부착하여 구성되어 있는 가두리 시설의 운동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정사각형 및 원형 구조의 가두리 시설을 대상으로 예인 수조에서 수리 모형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규칙파중 운동 특성은 선형 포텐셜 이론에 의한 수치 해석의 그것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규칙파중 모형 가두리 시설의 상하 및 종 동요는 전후 동요와는 달리 그물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으므로 이 시설물의운동 특성중 가장 중요한 상하 동요를 해석하는 경우에는 그물을 제외하고 프레임만을 고려해도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2) 불규칙파중 및 파랑과 흐름이 공존하는 상태에서 모형 가두리 시설의 운동 특성은 입사파 주기의 2배 되는 고주파수에서 시설물의 고유 주기 등에 의해 동적 운동의 peak frequency가 나타남으로써 비선형 즉, 2nd order harmonic 성분이 존재하였다 3) 파동 및 흐름장에서 동요 특성이 정사각형에 비해 비교적 작게 나타난 원형이 파도, 조류 등 환경 조건이 거친 해역에 보다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