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onance

검색결과 11,061건 처리시간 0.049초

Gamma Knife Radiosurgery Using Co-Registration with PET-CT and MRI for Recurrent Nasopharyngeal Carcinoma with Previous Radiotherapy : A Single Center 14-Year Experience

  • Lee, Chaejin;Park, Seong-Hyun;Yoon, Sang-Youl;Park, Ki-Su;Hwang, Jeong-Hyun;Hwang, Sung-Kyoo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3권3호
    • /
    • pp.397-405
    • /
    • 2020
  • Objective :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the efficacy of Gamma Knife radiosurgery (GKS) for recurrent nasopharyngeal carcinoma (NPC) in patients who previously underwent radiotherapy, and analyzed the treatment outcomes over 14 years. Methods : Ten patients with recurrent NPC who had previously received radiotherapy underwent stereotactic radiosurgery using a Gamma Knife® (Elekta Inc, Atlanta, GA, USA) between 2005 and 2018. The median target volume was 8.2 ㎤ (range, 1.7-17.8), and the median radiation dose to the target was 18 Gy (range, 12-30).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18 months (range, 6-76 months). Overall and local failure-free survival rates were determined using the Kaplan-Meier method. Results : The NPCs recurred at the primary cancer site in seven patients (70%), as distant brain metastasis in two (20%), and as an extension into brain in one (10%). The recurrent tumors in seven of the 10 patients (70%) were found on the routine follow-up imaging studies. Two patients presented with headache and one with facial pain. Local failure after GKS occurred in five patients (50%) : two of whom died eight and 6 months after GKS, respectively. No adverse radiation effects were noted after GKS. The 1- and 3-year overall survival rates after GKS were 90% and 77%, respectively. The local failure-free survival rates at 6 months, 1 year, and 3 years after GKS were 80%, 48%, and 32%, respectively. The median interval from GKS to local failure was 8 months (range, 6-12). Univariate analysis revealed that using co-registration with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PET-CT)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was associated with a lower local failure rate of recurrent NPC (p=0.027). Conclusion : GKS is an acceptable salvage treatment option for patients with recurrent NPC who previously received radiation therapy. PET-CT and MRI co-registration for dose planning can help achieve local control of recurrent NPC.

Vitis amurensis Ruprecht root inhibited ${\alpha}$-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induced melanogenesis in B16F10 cells

  • Jin, Kyong-Suk;Oh, You Na;Hyun, Sook Kyung;Kwon, Hyun Ju;Kim, Byung Woo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8권5호
    • /
    • pp.509-515
    • /
    • 2014
  • BACKGROUND/OBJECTIVES: The root of Vitis amurensis Ruprecht, a sort of wild-growing grape, has been used in oriental medicine for treatment of skin ailments; however, its dermatological activity is not sufficiently understoo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yrosinase inhibitory and anti-melanogenic activities of V. amurensis Ruprecht root methanol extract (VARM) in B16F10 mouse melanoma cells and to attempt to isolate and identify the active compound issued from VARM. MATERIALS/METHODS: Anti-melanogenic activity of VARM was analyzed in ${\alpha}$-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MSH)-stimulated B16F10 cells through evaluation of antioxidative activity as well as inhibited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contents compared with those of kojic acid and arbutin. After anti-melanogenic analysis of VARM, serial fractionation,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and thin layer chromatorgraphy (TLC) were applied for identification of active compounds contained in VARM. RESULTS: VARM significantly inhibited oxidative stress and tyrosinase activity and attenuated ${\alpha}$-MSH-induced melanin production in B16F10 cells. For isolation of active compounds, VARM was fractionated using a series of organic solvents, including dichloromethane ($CH_2Cl_2$), ethyl acetate (EtOAc), and n-butanol (n-BuOH). Among fractions showing anti-melanogenic activity, the CH2Cl2 fraction induced the most potent attenuation of melanogenesis without cytotoxicity and the major compound in the $CH_2Cl_2$ fraction was identified as betulinic acid. Betulinic acid isolated from the $CH_2Cl_2$ fraction of VARM significantly attenuated ${\alpha}$-MSH-induced melanogenesis in a dose dependent manner, which was stronger than that of arbutin used as a positive control. CONCLUSIO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VARM inhibits oxidative stress, tyrosinase activity, and ${\alpha}$-MSH-induced melanogenesis in B16F10 cells, due primarily to the active compound, betulinic acid, in the $CH_2Cl_2$ fraction.

조영증강검사 시 생체 요인을 이용한 조영제 peak time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ontrast agent peak time using biomechanics factors experimental contrast medium infusion test using at contrast enhanced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 손순룡;김윤신;최관우;서성미;민정환;유병규;이종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786-792
    • /
    • 2013
  • 본 연구는 조영제 peak time에 영향을 주는 주된 생체 요인를 분석하여 검사에 적용함으로써 추가적인 조영제 주입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 하고 고해상도의 혈관영상을 유지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시험적조영제주입법을 이용한 4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검사 전과 검사 중 환자의 생체 요인을 측정한 후, 조영제 peak time과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회귀식을 이용해 산출한 조영제 peak time이 측정된 조영제 peak time과 일치하는지 Bland-Altman plot를 통해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검사 시 최저혈압과 심박동수가 조영제 peak time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1단계 증가할 때마다 평균적으로 조영제 peak time은 -0.018과 -0.159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일치도가 상당히 높아 두 방법의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회귀식을 이용하면 우수한 화질을 유지하면서 환자에게 투여되는 조영제 사용량을 줄일 수 있어 기존의 방법을 대체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FBAR 필터 응용을 위한 Al 하부전극 상에서 ZnO 박막 증착 및 온도가 ZnO 결정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ZnO Film Deposition on Aluminum Bottom Electrode for FBAR Filter Applications and Effects of Deposition Temperature on ZnO Crystal Growth)

  • 윤기완;임문혁;채동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255-262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FBAR(film bulk acoustic wave resonator) 필터 응용을 위해 Al 하부전극 상에서 RF magnetron sputtering 기술을 이용한 ZnO 박막 증착 및 공정온도가 ZnO 결정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한다 ZnO 박막의 압전특성은 FBAR 소자의 공진특성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고 압전성은 증착된 ZnO박막의 c축 우선배향성의 정도에 의해 결정된다는 사실을 고려한다면 ZnO 결정성장에 미치는 공정온도에 관한 연구는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본 실험을 통하여 ZnO 박막의 성장특성은 상온에서부터 35$0^{\circ}C$까지의 실험조건에서 c축 우선배향성의 정도에 따라 RF power에 관계없이 온도를 2개의 임계온도에 의해 나눠진 3개의 온도구간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20$0^{\circ}C$ 이하의 공정온도에서는 주상형 결정립을 가진 c축 우선배향의 ZnO 박막을 얻을 수 있었다. 이렇게 얻은 ZnO박막을 사용하여 FBAR 다층박막 구조를 구현하였다.

PET 기판상에 ECR 화학증착법에 의해 제조된 SnO2 투명도전막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Transparent Conductive Tin Oxide Thin Films on PET Substrate Prepared by ECR-MOCVD)

  • 김연석;전법주;주재백;손태원;이중기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3권1호
    • /
    • pp.85-91
    • /
    • 2005
  • ECR-MOCVD를 이용한 상온조건에서 투명전도성 고분자막이$(CH_3)_4Sn-H_2-O_2$ 분위기하에 $SnO_2$막이 제조되었다. 제조된 투명전도막의 전기적특성은 공정압력, 전자석/분사링/기판사이의 거리, 전자석의 전류, 마이크로파 출력, 증착시간과 같은 공정변수에 따라 조사되었다. 마이크로파 출력과 전자석의 전류가 증가함에 따라 낮은 전기적 저항을 갖는 $SnO_2$막이 형성되었다. 또한 이들 공정변수들이 증착된 막의 광학적특성에 미치는 영향은 중요하게 나타났다. ECR-MOCVD에 의해 제조된 막의 투과도와 반사도는 380-780 nm의 가시광영역에서 각각 93-98%, 0.1-0.5%였다. 증착된 막의 평균 grain 크기는 공정변수에 관계없이 20-50 nm범위의 값으로 일정하였다. 본 연구의 최적화된 조건에서 전기적저항은 $7.5{\times}10^{-3}ohm{\cdot}cm$, 투과도 93%, 반사도 0.2%를 갖는 막이 얻어졌다.

모멘트 정보와 표면거리 기반 다중 모달리티 의료영상 정합 (Multi-modality MEdical Image Registration based on Moment Information and Surface Distance)

  • 최유주;김민정;박지영;윤현주;정명진;홍승봉;김명희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1권3_4호
    • /
    • pp.224-238
    • /
    • 2004
  • 다중 모달리티 영상정합은 서로 다른 성격의 두 영상의 중요정보를 결합하여 복합적 정보를 얻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영상처리 기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합 대상 객체의 초기위치 및 방향에 종속적이지 않고, 낮은 정합오차 범위 내에서의 안정적인 정합을 지원하기 위하여 기존의 표면기반 정합 기법을 개선한 모멘트 정보 및 표면거리 기반의 정합 기법을 제시한다. 제안방법에서는 우선 정합대상객체의 표면 윤곽 점을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대상객체의 모멘트 정보를 추출하여, 표면거리 기반 상세 정합 이전에 모멘트 정보를 일치시키는 변환을 수행함으로써, 정합이전 대상객체의 위치 및 방향이 상이한 경우에 있어서도 정합이 안정적으로 수행되도록 한다. 또한 테스트 영상에 대한 표면 대표점 추출 시, 표면 코너추출법을 적용함으로써, 기존 표면 정보 기반 정합기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무작위 샘플링 및 일정간격 샘플링에 의한 취약점을 보완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기법의 검증을 위하여 뇌 부위 자기공명단층영상(MRI)과 양자 방출 단층 촬영 영상(PET)을 적용하고, 정합오류율과 정합결과에 대한 2,3차원 가시화 영상의 육안평가를 통하여 정확성 및 안정성 측면을 검증한다.

영아연축에서 추적자의 느린 점적주사를 이용한 발작기 SPECT (Ictal single-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with slow dye injection for determining primary epileptic foci in infantile spasms)

  • 허윤정;이준수;강훈철;박해정;윤미진;김흥동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7호
    • /
    • pp.804-810
    • /
    • 2009
  • 목 적 : 영아연축은 이차성 전신간질중의 하나로 간질 병소를 발견하기 힘든 질환중의 하나이다. 이에 저자들은 $^{99m}Tc-ECD$ 추적자의 느린 점적 주사를 이용한 발작기 SPECT를 통하여 영아 연축 환아에서 간질 병소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5년 3월부터 2007년 2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에 내원한 영아 연축 14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첫 연축이 발생하는 시점에 $^{99m}Tc-ECD$ 를 2분에 걸쳐 천천히 같은 속도로 주입하였다. 발작간기와 발작기 간의 SPECT 의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객관적인 비교를 위하여 SISCOM기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간질 병소를 발견할 수 있는 진단기법인 뇌파, 자기공명영상, 양전자단층촬영(PET) 등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전체 14례의 추적자의 느린 점적 주사를 이용한 발작기 SPECT 중 10례에서 간질 병소의 혈류가 증가하였다. 비디오 뇌파와 발작기 SPECT에서 간질병소의 일치율은 Kappa=0.57, 95% confidence interval: 0.18-0.96로 높게 나왔다. 이 중 6례에서 발작기 SPECT와 비디오 뇌파에 근거하여 간질 수술을 시행하였으며 수술적 예후가 Engle class I으로 좋은 결과를 보였다. 결 론 : 추적자의 느린 점적 주사를 이용한 발작기 SPECT는 간질 병소를 찾기 어려운 영아 연축 환아에서 간질 병소를 찾아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보다 큰 규모의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고자장 자기공명영상에서 효율적인 지방 정량화를 위한 필드 맵 측정 기술 (Field Map Estimation for Effective Fat Quantification at High Field MRI)

  • 은성종;황보택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58-574
    • /
    • 2014
  • 최근 복부비만,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과 같은 대사성 증후군에 속하는 질환이 급격히 증가하여 지방간 환자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를 위해 자기공명영상을 통한 검진이 요구되는데 관심 영역과 관심 영역이 아닌 영역의 intensity 값이 상당히 유사하거나 동일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전문적인 물, 지방 분리 방법을 통해서 분석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러한 분리법은 필드의 불균일성이 큰 고자장으로 갈수록 부정확한 결과가 도출하게 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기존 분리법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고자장에서도 적용이 가능한 필드 맵 측정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기존 IDEAL 시퀀스로 얻어진 에코 영상을 통해 필드 맵을 생성하고, 클러스터링 작업, 그리고 영역성장법 스키마 기반의 least square fit을 통한 필드 맵의 보정, 마지막으로 필드 맵의 homogeneity를 위한 경계선의 보정을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물과 지방을 분리한다. 실험결과 IDEAL방법이 평균 61.5%, Yu의 방법이 평균 62.6%, 제안 방법이 평균 86.4%의 지방 검출율로 제안방법이 월등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물 검출율 역시 제안 방법이 평균 98.4%의 물 검출율로 Fat saturation의 평균 88.6% 보다 높은 정확도를 확인 할 수 있었다.

MRI로 진단된 척추질환의 임상적 소견 (A Study on Clinical Findings about Vertebral Disease Diagnosed with MRI)

  • 김함겸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29권3호
    • /
    • pp.157-165
    • /
    • 2006
  • 자기공명영상에 의해 진단된 척추질환에 대하여 성별 및 나이별 발생빈도, 발생부위 등 임상적 특성을 분석하여 임상에서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수도권 소재의 B대학병원에서 2004년 1월부터 12월까지 척추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하여 척추질환 유소견자로 진단된 총 1,291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1.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의 조사대상자에 대한 일반적 특성은 총 1,291명 중 남자가 53.5%, 여자 46.5%이었다. 2. 척추질환의 부위별 발생빈도는 요추 65.6%, 경추 27.3%, 흉추 7.0% 순으로 나타났다. 3. 척추질환의 빈도가 높은 상위 10개 질환은 다음과 같다. 1) posterior bulging disc 65.8%. 2) narrowing of neural foramen 23.8% 3)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HIVD) 22.4% 4) spinal stenosis 16.7% 5) osteochondrosis 6.4% 6) compression fracture 6.4% 7) facet joint arthropathy 6.2% 8) spondylolisthesis 6.0% 9) spinal cord tumor 3.5% 10) inter body fusion 2.6%

  • PDF

Structural Origin for the Transcriptional Activity of Human p53

  • Lee, Si-Hyung;Park, Kyu-Hwan;Kim, Do-Hyung;Choung, Dong-Ho;Suk, Jae-Eun;Kim, Do-Hyung;Chang, Jun;Sung, Young-Chul;Choi, Kwan-Yong;Han, Kyou-Hoon
    • BMB Reports
    • /
    • 제34권1호
    • /
    • pp.73-79
    • /
    • 2001
  • Transcriptional activation domains are known to be inherently "unstructured" with no tertiary structure. A recent NMR study, however, has shown that the transactivation domain in human p53 is populated with an amphipathic helix and two nascent turns. This suggests that the presence of such local secondary structures within the overall "unstructured" structural framework is a general feature of acidic transactivation domains. These pre-existing local structures in p53, formed selectively by positional conserved hydrophobic residues that are known to be critical for transcriptional activity, thus appear to constitute the specific structural motifs that regulate recognition of the p53 transactivation domain by target proteins. Here, we report the results of a NMR structural comparison between the native human p53 transactivation domain and an inactive mutant (22L,23W$\rightarrow$22R,23S). Results show that the mutant has an identical overall structural topology as the native protein, to the extent that the amphipathic helix formed by the residues 18T 26L within the native p53 transactivating domain is preserved in the double mutant. Therefore, the lack of transcriptional activity in the double mutant should be ascribed to the disruption of the essential hydrophobic contacts between the p53 transactivation domain and target proteins due to the (22L,23W$\rightarrow$22R,23S) mut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