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olution

검색결과 15,139건 처리시간 0.041초

Feasibility Study of CNN-based Super-Resolution Algorithm Applied to Low-Resolution CT Images

  • Doo Bin KIM;Mi Jo LEE;Joo Wan HONG
    • 한국인공지능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6
    • /
    • 2024
  • Recently, various techniques are being appli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medical AI, and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application of super-resolution AI models. In this study, evaluate the results of the application of the super-resolution AI model to brain CT as the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 Acquiring CT images of the brain, algorithm for brain and bone windowing setting, and the resolution was downscaled to 5 types resolution image based on the original resolution image, and then upscaled to resolution to create an LR image and used for network input with the original imaging. The SRCNN model was applied to each of these images and analyzed using PSNR, SSIM, Loss. As a result of quantitative index analysis, the results were the best at 256×256, the brain and bone window setting PSNR were the same at 33.72, 35.2, and SSIM at 0.98 respectively, and the loss was 0.0004 and 0.0003, respectively, showing relatively excellent performance in the bone window setting CT image. The possibility of future studies aimed image quality and exposure dose is confirmed, and additional studies that need to be verified are also presented, which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above studies.

인지갈등 해소 지연이 중학생의 과학 개념변화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he Delayed Resolution of Cognitive Conflict on Middle School Students' Conceptual Change in Science)

  • 최한용;김지나;최혁준;권재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408-415
    • /
    • 2004
  • 이 연구는 인지갈등전략을 사용한 중학생들의 작용과 반작용에 관한 수업에서 인지갈등 해소 지연에 따른 학생들의 개념변화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인지갈등이 일어나고 있는 동안 학습자는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인지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여러 정신 과정과 육체적인 활동이 이루어지리라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에 대한 연구는 별로 이루어진 바가 없었다. 이 연구에서는 인지갈등을 유발한 후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한 다음 인지갈등을 해소하는 것이 개념변화에 효과적인가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대상을 즉시해소 집단, 2일지연해소 집단, 7일지연해소 집단으로 나누었다. 세 집단에 대해서 작용과 반작용에 관한 문항으로 사전개념검사와 해소직전개념검사, 사후개념검사, 지연개념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지연해소 집단의 학생들이 인지갈등 해소를 지연하는 기간 동안 인지갈등 해소를 위해 어떠한 활동을 하였는지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즉시해소 집단이 지연해소 집단보다 개념변화 정도가 유의미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즉, 즉시해소 집단이 2일지연해소 집단과 7일지연해소 집단보다 사전개념검사에서 오개념을 가졌던 학생들이 지연개념검사에서 과학적 개념으로 더 많이 바뀌었다. 둘째, 지연해소 집단의 학생들은 인지갈등 해소를 위해 동료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셋째, 지연해소 집단 내에서 인지갈등 해소를 위해 시간을 소모한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개념변화가 유의미하게 큰 것으로 냐타났다. 위의 연구결과를 볼 때, 인지갈등전략을 사용한 중학생의 과학수업에서 인지갈등 해소를 지연시키는 것보다 불일치 상황을 인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즉시 해소기키려고 하는 것이 개념변화에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광신호의 공간 해상도 향상을 위한 초 분해능 알고리즘 연구 (A Study on Super Resolution Algorithm to Improve Spatial Resolution of Optical Signals)

  • 이병진;유봉국;김경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71-77
    • /
    • 2018
  • 현재 설치된 광섬유의 문제를 모니터링 하는데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은 Optical Time Domain Reflectometer(OTDR)이다. OTDR는 FTTx 네트워크를 테스트하기 위해 설계된 계측기이며, 전송 손실 및 접속 손실과 같은 광섬유의 물리적 특성을 평가한다. OTDR을 이용하여 광로상의 문제점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Spatial resolution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펄스폭이 두 반사체 사이의 거리 두 배보다 작을 때는 두 반사체에서 반사되는 신호는 상호간에 겹침 없이 반사되므로 반사되는 신호의 구분이 가능하지만 펄스폭이 두 반사체 사이의 거리 두 배보다 클 때에는 두 반사 펄스가 겹쳐져 반사되는 신호가 구분되지 못한다.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초 분해능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Spatial resolution 향상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시뮬레이션 결과, 초 분해능 알고리즘 적용 시에 분해능이 향상 되어 이벤트 구간을 더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었다.

영상 해상도 개선을 위한 다중 부족분 추정 방법 (Multiple Shortfall Estimation Method for Image Resolution Enhancement)

  • 김원희;김종남;정신일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1권3호
    • /
    • pp.105-111
    • /
    • 2014
  • 영상 해상도 개선은 저해상도 획득 영상의 해상도를 개선하여 고해상도 영상을 생성하는 기술이다. 영상 해상도 개선을 위해서는 저해상도 획득 영상의 열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손실된 화소 정보를 정확하게 추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영상 해상도 개선을 위한 다중 부족분 추정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획득 영상의 부영상 집합에 알려진 열화 및 복원 과정을 수행하여 서로 다른 형태의 다중 부족분을 추정하고, 추정된 부족분과 획득 영상의 보간 영상의 결합을 통해서 결과 영상을 생성하고, 디블러링을 수행하여 최종 복원 영상을 생성한다. 객관적 화질 측정 지표인 PSNR, SSIM, FSIM으로 비교한 결과 제안한 방법이 보간만을 사용하는 방법들보다 높은 값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결과 영상의 시각적 비교 결과 주관적 관점의 화질도 가장 뛰어난 것을 알 수 있었고, 보간만을 사용하는 방법들보다 빠른 계산시간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안하는 방법은 영상 해상도 개선을 위한 응용 환경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저해상도 얼굴 영상의 해상도 개선을 위한 영역 기반 복원 방법 (Region-Based Reconstruction Method for Resolution Enhancement of Low-Resolution Facial Image)

  • 박정선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4권5호
    • /
    • pp.476-486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영역 기반 복원 방법을 통하여 한 장의 저해상도 얼굴 영상으로부터 고해상도 얼굴 영상을 복원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예제 기반 복원과 얼굴 영상을 형태 정보와 질감 정보로 나누어 표현하는 변형 가능 얼굴 모형에 기반한다. 먼저, 예제 기반 복원 방법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전역 복원 결과와 국부적 복원 결과를 결합하는 영역 기반 복원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변형 가능 얼굴 모형의 장점을 해상도 복원에 적용하기 위하여, 확장된 변형 가능 얼굴 모형을 정의한다. 제안된 모형에서 얼굴 영상은 저해상도 얼굴 영상, 보간법을 통해 개선한 고해상도 얼굴 영상, 그리고 원래의 고해상도 얼굴 영상의 쌍으로 구성되며, 이는 다시 확장된 형태 정보와 확장된 질감 정보로 나뉜다. 다양한 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방법이 저해상도 얼굴 영상으로부터 고해상도 얼굴 영상을 효과적으로 복원함을 입증하였으며, 이 방법을 사용하여 원거리 감시 시스템에서 획득된 저해상도 얼굴 영상을 고해상도 얼굴 영상으로 합성함으로써, 얼굴 인식 시스템의 성능을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초등학생의 성별, 문화성향과 친구간 갈등해결전략 (Gender, Cultural Disposition and Peer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 김은진;이희영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1호
    • /
    • pp.181-191
    • /
    • 2013
  • In this study, characteristics of cultural disposition and peer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dispositions and peer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Firs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dispositions that children have? Secon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that children use? Third, what are the relationships between cultural dispositions and peer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64(283 male and 281 female) 5th and 6th graders. Research instruments used to collect data were INDCOL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Scal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s,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Cross-tabs and Two-way ANOVA. As a whole, children strongly showed collectivistic pattern and there were no sex differences in terms of cultural dispositions. The distributions of styles were in the order of HC>VI>VC>HI. The distribution of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generally were in the order of integrating and compromising>Avoiding>Dominating>Obliging for total sample and there were significant sex differences in the styles of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ultural dispositions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integrating/compromising and dominating style were different according to cultural dispositions but there were no interactive effect of sex and cultural dispositions in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on theory and practice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made.

영상콘텐츠의 표현밀도에 따른 감정의 변화 (Changes in the Emotion by the Expressive Definition of Visual Contents)

  • 김세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92-20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영상 콘텐츠의 표현밀도를 화면의 해상도와 피사체와의 거리감으로 정의하고, 표현밀도가 보는 이에게 미치는 감정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부산지역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61명에게 HDTV방송화면에서 캡처한 영상이미지를 제시하고, 즐거움, 흥분, 통제 3가지 차원의 감정측정을 위해 SAM평가를 실시하였다. 서로 다른 해상도에 대한 비교결과 저해상도보다 고해상도의 콘텐츠 이미지를 볼 때 즐거운, 흥분되는, 통제되지 않는 방향으로 나타났다. 또한 해상도가 연속해서 동일할 때보다 변화가 있을 때 감정 변화 폭이 크게 나타났는데, 고해상도를 보다가 저해상도 이미지를 볼 때 감정이 유쾌하지 않은, 차분해지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통제 감정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피사체와의 거리감에 대해 근거리, 중거리, 원거리를 사후다중비교 결과 근거리의 경우 다른 경우들 보다 즐거운, 흥분되는, 통제되지 않는 감정의 값이 더 높아졌다. 다변량 검증결과 해상도와 거리감에 대한 즐거움과 흥분 감정차원은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텍스처 분할을 이용한 위성영상 융합 프레임워크 (Image Fusion Framework for Enhancing Spatial Resolution of Satellite Image using Structure-Texture Decomposition)

  • 유대훈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21-29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구조-텍스처 분할 기법을 기반으로 위성영상을 분할 융합하여 공간 해상도를 개선시키는 프레임워크를 제시한다. 위성영상은 센서가 감지하는 파장에 따라 다양한 공간해상도를 가진다. 전정 영상 (panchromatic image)은 일반적으로 높은 공간해상도를 가지지만 단일 흑백컬러를 가지고 있는 반면, 다중분광 영상 (multi-spectral image)나 적외선 영상은 전정 영상에 비해 낮은 공간해상도를 가지지만 다양한 분광 밴드정보와 열 정보를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중분광 영상이나 적외선 영상의 공간 해상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영상의 디테일이 텍스처 영상에만 존재한다는 것에 착안하여 본 프레임워크를 고안하였다. 고안된 프레임워크에서는 저해상도 영상과 고해상도 영상이 구조 영상과 텍스처 영상으로 분할된 뒤, 저해상도 구조영상은 고해상도 구조 영상을 참조하여 가이디드 필터링 된다. 구조-텍스처 영상 모델에 따라 필터링된 저해상도 영상의 구조 영역과 고해상도 영상의 텍스처 영역을 픽셀 단위로 더해져서 최종 영상이 생성된다. 생성된 영상은 저해상도 영상의 밴드와 고해상도 영상의 디테일을 포함한다. 제시하는 방법은 분광해상도와 공간해상도를 모두 보존할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Effects of Resolution, Cumulus Parameterization Scheme, and Probability Forecasting on Precipitation Forecasts in a High-Resolution Limited-Area Ensemble Prediction System

  • On, Nuri;Kim, Hyun Mee;Kim, SeHyun
    •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 /
    • 제54권4호
    • /
    • pp.623-637
    • /
    • 2018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horizontal resolution, cumulus parameterization scheme (CPS), and probability forecasting on precipitation forecasts over the Korean Peninsula from 00 UTC 15 August to 12 UTC 14 September 2013, using the limited-area ensemble prediction system (LEPS)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solution, the control members of the LEPS with 1.5- and 3-km resolution were compared. Two 3-km experiments with and without the CPS were conducted for the control member, because a 3-km resolution lies within the gray zone. For probability forecasting, 12 ensemble members with 3-km resolution were run using the LEPS. The forecast performance was evaluated for both the whole study period and precipitation cases categorized by synoptic forcing. The performance of precipitation forecasts using the 1.5-km resolution was better than that using the 3-km resolution for both the total period and individual cases. The result of the 3-km resolution experiment with the CP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that without it. The 3-km ensemble mean and probability matching (PM) performed better than the 3-km control member, regardless of the use of the CPS. The PM complemented the defect of the ensemble mean, which better predicts precipitation regions but underestimates precipitation amount by averaging ensembles, compared to the control member. Further, both the 3-km ensemble mean and PM outperformed the 1.5-km control member, which implies that the lower performance of the 3-km control member compared to the 1.5-km control member was complemented by probability forecasting.

자기자비와 관계만족에서 갈등대처행동의 매개: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분석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 Actor effect and partner effect)

  • 박찬미;설경옥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9-46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role of self-compassion in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mong dating couples. Further, we examined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s mechanisms to explai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Method: Two hundred forty two dating couples were recruited. Actor and Partner Independence Model(APIM) was used to examine actor and partner effects of self-compassion on relationship satisfaction as well as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The total of 4 APIMs, two posi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i.e., positive emotional reactions, active coping) and two nega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i.e., negative emotional reactions and hostility, avoidance) were analyzed. Posi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had only actor effect in the link between self-compassion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That is, self-compassionate men and women were more likely to use posi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nd, in turn, led to their higher relationship satisfaction. Both actor and partner effects were found in the nega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models. In terms of actor effect self-compassionate men and women were less likely to use nega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nd that, in turn, led to their higher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terms of partner effects we found that women's negative emotional reactions and hostility mediated the link between women's self-compassion and their male partners' relationship satisfaction. Men's avoidance mediated the link between men's self-compassion and their female partners' relationship satisf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