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in-based composite

검색결과 311건 처리시간 0.025초

디지털 이미지 상관법을 이용한 Methacrylate기질과 Silorane기질 복합레진의 치아 수복 시 중합수축거동 (Polymerization Shrinkage Behavior Measured by Digital Image Correlation for Methacrylate-based and Silorane-based Composites During Dental Restoration)

  • 박정훈;최낙삼
    • Composites Research
    • /
    • 제33권3호
    • /
    • pp.125-132
    • /
    • 2020
  • 치과용 복합레진 Filtek P90 (3M ESPE, USA)과 Clearfil AP-X (Kuraray, Japan)를 대상으로 디지털 이미지 상관법을 이용하여 광중합 시 발생하는 수축거동을 관찰하고 등가탄성계수를 적용한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시편표면의 응력분포를 산출하여 수축률분포와 비교하였다. 광조사 중과 광조사 후의 촬영 조건을 달리하여 CCD 카메라를 이용한 시편의 변형사진을 획득하고 디지털 이미지 상관분석을 하였다. DIC 분석 결과 상기의 복합레진 모두에서, 비균일한 수축변형률 분포가 관찰되었으며 링시편 내부의 레진 중심부가 자유로운 유동성으로 레진/링의 계면부보다 큰 수축 변형률이 발생하였다. 레진의 중심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반경방향 평균수축률은 감소하였으며, 광조사동안에 발생한 반경방향 평균수축률은 경화시험종료(10 min) 후 발생한 반경방향 평균수축률 값을 기준으로 P90은 33%, AP-X는 57% 수준이었다. P90과 AP-X가 광조사 중의 수축거동이 크게 달랐음을 확인하였다. 레진/링의 계면부에 가까운 레진에서는 광조사 후에 인장변형률이 급격히 커져서 계면부가 인장응력을 받아 취약하게 됨을 확인하였다.

자연치와 복합레진의 색분포에 관한 연구 (STUDY ON COLOR DIFFERENCE BETWEEN NATURAL TEETH AND COMPOSITE RESINS)

  • 김희선;이인복;엄정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6권2호
    • /
    • pp.180-187
    • /
    • 2001
  • The structure of current guides is largely illogical and without any rational use of color ordering. The shade guides are generally made of plastic (rather than the actual composite material) and do not accurately depict the true shade. translucency. or opacity of the composite resin after polymerization. To solve this problem, information based on evaluations of natural teeth and material that use the same method and experimental conditions is necessary. The present investigation measured the color of natural maxillary anterior teeth in vivo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those of composite resins. 269 Korean subject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Intact central incisor. lateral incisor. and canine were selected. The clinical crowns were free of caries or restorations. The middle site of the coronal portion on the labial surface of the tooth was measured by Chroma Meter. The five light activated. resin-based materials (Amelogen, Denfil, Elitefil, Spectrum, Z100) were used in this study. Resin composite was condensed into plastic mold with a diameter of 8mm and a thickness of 4mm. pressed between glass plates to flatten the surfaces. and polymerized using a Visilux II visible light activation unit. The surfaces were polished sequentially on wet sandpaper. Color measurements of each specimen were accomplished by Chroma Meter. A computer program that compares each tooth color with each composite resin color was written and the minimum CIELAB color difference ($\Delta$E$^*$) between tooth and each material was calculated. Under the conditions of this study: 1. Teeth tend to become darker with advancing age. 2. Canines were darker. more yellow. and less green than incisors. 3. The teeth from the women were lighter. more green. and less yellow than the male teeth. 4. In general. composite resins were lighter. more green. and less yellow than teeth. Deficiencies were noted in Hues in YR range. 5. Mean color differences between the five composite resin products and teeth were detectable to the naked eye($\Delta$E$^*$>1.0). 6. In comparing the mean $\Delta$E$^*$ values of materials. Spectrum showed the least followed by Z100, Elitefil, Amelogen, Denfil in increasing order.

  • PDF

BiodentineTM의 경화시간에 따른 미세누출과 전단결합강도 (Microleakage and Shear Bond Strength of Biodentine at Different Setting Time)

  • 송용호;이난영;이상호;지명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44-353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mineral tiroxide aggregate의 긴 경화시간과 치아변색 등의 단점으로 인해 이를 대체하고자 최근 주목받고 있는 재료인 tricalcium silicate를 기반으로 한 치수복조제 중 Biodentine의 미세누출과 최종수복제로 가장 많이 쓰이는 composite resin간의 전단결합강도에 대하여 경화시간에 따른 차이를 비교 평가하는 것이다. 미세누출 평가를 위해 소 치아 70개를 이용하여 순면에 와동을 형성한 후 Biodentine을 충전하고 무작위로 10개씩 하위 군으로 나누어 12분, 45분, 24시간, 48시간, 1주일, 2주일, 1개월로 경화시간을 달리한 후 상방에 composite resin을 적용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미세누출 평가를 위해 표본을 24시간 동안 0.5% fuchsin 용액에 침적한 뒤, 수세하고 건조하여 각 표본을 수주 하 디스크를 이용해 절반으로 나누어 20배의 비율로 실체현미경(Olympus SZ61, Olympus, Tokyo, Japan)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전단결합강도 평가를 위해 중심구를 가진 아크릴 레진 블록을 210개를 제작하고 중심구에 Biodentine을 채운 후 각각 30개씩 7개 군으로 나누어 12분, 45분, 24시간, 48시간, 1주일, 2주일, 1개월 경화시간 경과 후 상방에 composite resin을 적용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Universal testing machine을 이용하여 경화시간에 따른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미세누출에 있어서 24시간 이상 Biodentine 경화 후 상방에 composite resin 수복을 시행한 경우 미세누출을 최소화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단결합강도에 있어서도 Biodentine의 경화시간이 24시간 이상일 경우 composite resin의 중합수축을 상쇄할 수 있는 전단결합강도가 측정되었다. composite resin 수복 전 Biodentine을 24시간 이상 경화시키는 것이 임상적으로 더 나은 결과를 나타낼 것이다.

에폭시 수지 적용 아라미드 및 탄소섬유 복합재료의 물성연구 (Property Evaluation of Epoxy Resin based Aramid and Carbon Fiber Composite Materials)

  • 서대경;하나라;이장훈;박현규;배진석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1-17
    • /
    • 2015
  • Recently, super fiber reinforced composite materials are widely used in many industries due to high mechanical properties. In this study, 2 different types of composite materials were manufactured in order to compare their mechanical properties. Carbon and Aramid fibers were used for reinforcement materials and Bisphenol-A type epoxy resin was for matrix. Two kinds of fiber-reinforced materials were manufactured by RIM(Resin Injection Molding) method. Before manufacturing composite materials, the optimal manufacturing and curing process condition were established and the ratio of reinforcement to epoxy resin was discussed. FT-IR analysis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structure of epoxy resin.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y test were also carried out. The cross-section of composite materials was observed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The selection criteria of temporary or permanent luting agents in implant-supported prostheses: in vitro study

  • Alvarez-Arenal, Angel;Gonzalez-Gonzalez, Ignacio;deLlanos-Lanchares, Hector;Brizuela-Velasco, Aritza;Ellacuria-Echebarria, Joseba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8권2호
    • /
    • pp.144-149
    • /
    • 2016
  • PURPOSE. The use of temporary or permanent cements in fixed implant-supported prostheses is under discussion. The objective was to compare the retentiveness of one temporary and two permanent cements after cyclic compressive loading. MATERIALS AND METHODS. The working model was five solid abutments screwed to five implant analogs. Thirty Cr-Ni alloy copings were randomized and cemented to the abutments with one temporary (resin urethane-based) or two permanent (resin-modified glass ionomer, resin-composite) cements. The retention strength was measured twice: once after the copings were cemented and again after a compressive cyclic loading of 100 N at 0.72 Hz (100,000 cycles). RESULTS. Before loading, the retention strength of resin composite was 75% higher than the resin-modified glass ionomer and 2.5 times higher than resin urethane-based cement. After loading, the retentiveness of the three cements decreased in a non-uniform manner. The greatest percentage of retention loss was shown by the temporary cement and the lowest by the permanent resin composite. However, the two permanent cements consistently show high retention values. CONCLUSION. The higher the initial retention of each cement, the lower the percentage of retention loss after compressive cyclic loading. After loading, the resin urethane-based cement was the most favourable cement for retrieving the crowns and resin composite was the most favourable cement to keep them in place.

섬유 플라즈마 처리에 따른 복합재료의 수지 함침성 및 기계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Resin Impregna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omposites Based on Fiber Plasma Treatment)

  • 양성백;이동현;이용석;권동준
    • Composites Research
    • /
    • 제36권6호
    • /
    • pp.388-394
    • /
    • 2023
  • 복합재료 제조 시 수지의 함침성을 높이는 것은 제조 공정속도와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핵심 방법이다. 수지 개선은 중요하지만, 간단한 섬유 표면 처리로도 수지의 흐름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탄소섬유 직물에 다양한 플라즈마 처리 시간을 적용함으로써 수지와 섬유 간의 함침성을 향상하게 하였다. 플라즈마 처리에 따라 변화된 섬유 내 수지의 분산을 평가하기 위해 전기저항 측정법을 사용했다. 섬유 표면처리가 수지 함침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었다. 수지에 탄소섬유 토우를 삽입할 때 토우에 스며든 수지의 양을 측정하여 수지 함침성을 객관적으로 비교하였다. 5분 동안의 플라즈마 처리로 복합재료의 인장과 압축 강도가 50% 이상 향상되었으며, 보이드 함유율을 감소시키고 소화점 임계열류량을 증가시켰다. 마지막으로 건축용 복합재료 부품으로 사용되는 일부분을 활용하여 동적 굴곡피로시험을 실시했고, 3 kN하중 백만 회에도 복합재료 부품은 파손되지 않았다.

어린이 제 1 대구치 복합 레진 수복물의 5년 후 임상평가 (5 YEARS EVALUATION OF COMPOSITE RESIN RESTORATION ON PERMANENT FIRST MOLAR IN CHILDREN)

  • 김인영;김재문;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10-117
    • /
    • 2008
  • 치과용 복합레진(Resin-based composite material)의 임상적 결과는 증례의 선택, 기술적인 완성도, 술자의 숙련도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어린이의 제 1 대구치 복합레진 수복은 치아의 맹출 정도와 환아의 협조도 등에 따라 성인의 경우에 비하여 임상적으로 많은 제약을 가지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어린이에 시행된 복합 레진 수복물에 대한 5년 후의 평가를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2001년 1월 1일부터 1년 간 부산대학교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하여 제 1 대구치 복합레진 수복을 받은 16명 환자의 35개 치아에 대하여 modified USPHS criteria에 근거하여 정밀 평가를 시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35개 치아 중 6개(17.1%)는 재수복되어 복합 레진 수복물의 5년 후 생존율은 82.9%로 나타났다. 2. 평가기준별 관찰 결과, 색조의 조화, 마모도, 표면 조도, 민감성 혹은 불편감의 측면에서 이상적인 상태인 A등급은 각각 86.2%, 93.1%, 86.2%, 86.2%로 나타났고, 임상적으로 수용가능한 수준인 B등급은 각각 13.8%, 0%, 13.8%, 10.3%를 보였다. 변연적합성과 변연부 변색의 측면에서 A등급은 각각 13.8%, 44.8%를 보였고 B등급은 79.3%, 34.5%로 나타났으며, 이차 우식의 발생율은 20.7%를 나타내었다. 3. 69.1%인 20개 치아는 7개 항목 모두에서 임상적으로 수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다공성 탄소나노튜브 섬유를 이용한 차세대 복합소재 연구 (A Study on the Next-generation Composite Based on the Highly Porous Carbon Nanotube Fibers)

  • 이균배;정연수;이상복;김태훈
    • Composites Research
    • /
    • 제35권3호
    • /
    • pp.139-14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CNT섬유에 적합한 복합소재 공정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CNT섬유가 아직 초기 연구단계로 생산성이 낮아 직조나 스티칭된 UD필름 제작이 어려운 점을 감안, 연구단계에서 적용 가능한 CNT섬유 복합소재 제조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CNT섬유 기반 복합소재는 생산성 이슈 및 공정 적용의 어려움으로 인해 주로 single filament composite의 형태로 제조하거나 filament winding법을 이용하여 제조되고 있었으나, 본 연구를 통해서 필름 형상으로 준비된 CNT섬유에 수지를 함침한 후 바로 복합소재화 할 수 있는 공정을 개발할 수 있었다. CNT섬유에는 내부에 수많은 나노포어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 부분에 수지가 함침됨에 따라 성형된 복합소재에서 수지의 비율이 과도하게 올라가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는 것이 가장 핵심적인 이슈라 할 수 있다. VaRTM을 통해서 가해지는 압력은 과량의 수지 제거에는 충분하지 않았으며, 높은 힘으로 누르는 hot press 공정과, 섬유는 고정하면서 과량의 수지를 제거할 수 있는 폼 소재를 도입함으로써 높은 섬유비율을 가지는 CNT 섬유 복합소재를 제조할 수 있었다. 최종적으로 희석된 수지까지 이용하였을 때, 58.5 wt%의 질량비의 섬유로 구성된 CNT섬유 복합소재를 제조할 수 있었고, 비강도는 0.525 N/tex를 달성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CNT섬유 복합소재 제조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공정 방법을 제시하였다.

Epoxy Resin 첨가 및 제조공정에 따른 MDF 시멘트 복합재료의 수분안정성 연구 (The Study of Water Stability of MDF Cement Composite by Addition of Epoxy Resin and Manufacturing Process)

  • 노준석;김태진;박춘근;최상홀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71-377
    • /
    • 1998
  • HAC/PVA계 MDF 시멘트 복합재료의 수분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용성 epoxy resm을 시멘트 중량에 대해 5wt% 에서 15wt%까지 첨가하고 calendering법, extruding법, warm pressing법으로 성형하여 epoxy resin첨가량 및 제조공정이 수분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제조된 시편은 건조상태 및 3일, 7일, 14일간 물 속에 침적 후 습윤강도를 3점 곡강도로 측정하고 SEM으로 표면 가까운 부분의 파단면을 관찰하고 수은압입법으로 기공분포 및 기공율을 분석하여 침수 재령벌 MDF 시멘트 복합재료의 미세조직 변화를 살펴보았다. 적량의 epoxy resin 첨가에 의해 건조강도는 감소하였으나 전반적으로 수분안정성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epoxy의 함량이 많아지면 초기건조강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나었으며 epoxy 첨가량이 7wt% 이상일 경우에서는 수분안정성 역시 별다른 효과를 볼 수 없었다. 제조공정별로는 warm pressing법에 의해 성형된 경우 epoxy 첨가에 의한 강도 및 수분안정성 향상 효율이 다른 방법보다 월등히 뛰어났으며 epoxy resinmdmf 5wt%, 7wt% 첨가하였을 때, 최적의 강도 및 수분안정성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Comparison of fracture strength, surface hardness, and color stain of conventionally fabricated, 3D printed, and CAD-CAM milled interim prosthodontic materials after thermocycling

  • Mesut Yildirim;Filiz Aykent;Mahmut Sertac Ozdogan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6권2호
    • /
    • pp.115-125
    • /
    • 202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in vitro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racture resistance, surface hardness, and color stain of 3D printed, CAD-CAM milled, and conventional interim material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80 specimens were fabricated from auto polymerizing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bis-acryl composite resin, CAD-CAM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milled), and 3D printed composite resin (printed) (n = 20). Forty of them were crown-shaped, on which fracture strength test was performed (n = 10). The others were disc-shaped specimens (10 mm × 2 mm) and divided into two groups for surface hardness and color stainability tests before and after thermal cycling in coffee solution (n = 10). Color parameters were measured with a spectrophotometer before and after each storage period, and color differences (CIEDE2000 [DE00]) were calculated. The distribution of variables was measured with the Kolmogorov Smirnov 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Tukey HSD, Kruskal-Wallis, Mann-Whitney U tests were used in the analysis of quantitative independent data. Paired sample t-test was used in the analysis of dependent quantitative data (P < .05). RESULTS. The highest crown fracture resistance values were determined for the 3D printed composite resin (P < .05), and the lowest were observed in the bis-acryl composite resin (P < .05). Before and after thermal cycling, increase in mean hardness values were observed only in 3D printed composite resin (P < .05) and the highest ΔE00 value were observed in PMMA resin for all materials (P < .05). CONCLUSION. 3D printing and CAD-CAM milled interim materials showed better fracture strength. After the coffee thermal cycle, the highest surface hardness value was again found in 3D printing and CAD-CAM milled interim samples and the color change of the bis-acryl resin-based samples and the additive production technique was higher than the PMMA resin and CAD-CAM milled resin samp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