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in adhesive

검색결과 824건 처리시간 0.028초

혈액 오염 환경 하에서 접착된 교정용 브라켓의 전단 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HEAR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BRACKET UNDER BLOOD-CONTAMINATED CONDITIONS)

  • 신지선;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91-199
    • /
    • 2005
  • 본 연구는 매복된 치아를 교정력을 이용하여 견인할 때 견인의 대상이 되는 치아를 개창술로 노출시켜 브라켓을 부착하는 과정에서 혈액 오염이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을 실험실 환경에서 재현한 다음, 이와 같은 오염의 유무와 접착제의 종류가 브라켓의 전단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글래스 아이오노머의 전단 강도는 레진에 비해 모든 조건에서 낮은 수치를 보였으나 혈액 오염이 없거나 광조사 직전 오염된 경우 임상적으로 교정적 정출술에 적절한 전단 강도를 나타내었다. 두 재료 모두 접착제 적용 전에 치면이 혈액에 오염되었을 경우 다른 조건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전단 강도를 보였으나 광조사 직전에 혈액에 오염되었을 경우에는 오염되지 않은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 개창술을 통해 브라켓을 부착할 경우 접착제 적용 직전 혈액 오염을 주의한다면 산부식 과정 이 생략되어 술식이 비교적 간단하고 접착 파절 후 치면에 접착제가 남아 있지 않은 장점을 지닌 글래스 아이오노머 접착제의 사용을 추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우루시올과 아교를 배합한 천연 접착제의 투명성 및 접착 특성 연구 (A Study on Transparency and Characteristics of Natural Adhesives Made of Urushiol and Glue)

  • 김은경;안선아;장성윤
    • 보존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5-123
    • /
    • 2015
  • 본 연구는 옻과 아교를 배합한 천연 접착제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옻에서 추출한 우루시올과 아교를 배합하여 천연 접착제를 제조하고 물성 및 접착특성을 파악하였다. 우루시올과 아교를 배합한 천연 접착제는 아교의 배합비율이 증가할수록 아교 단백질과 관련된 N-H 피크들이 생성되고 강도가 증가하는데 반해 우루시올의 메틸렌 결합과 연관된 C-H 피크는 줄어들어 아교의 IR spectra와 유사해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배합에서 아교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색이 밝고 투명해지며 경화 과정 중에도 검게 산화하지 않아 투명성을 높이는 동시에 하루 이내에 건조하며 옻과 아교를 배합한 천연 접착제의 특성은 유지하였다. 배합비율에 따라 Cemedine C부터 에폭시 수지까지 다양한 범위의 점도와 접착 강도를 나타내며 그 중 토기를 피착재로 한 실험에서 우루시올과 아교를 6:4로 배합한 시료가 밝고 투명한 색을 가지는 동시에 Araldite AY103-1/HY956과 유사한 강도를 보여 토기 유물에 적용 가능한 천연 접착제로서의 가능성이 기대된다.

Effect of different chlorhexidine application times on microtensile bond strength to dentin in Class I cavities

  • Kang, Hyun-Jung;Moon, Ho-Jin;Shin, Dong-Hoon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7권1호
    • /
    • pp.9-15
    • /
    • 2012
  • Objectives: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2% chlorhexidine digluconate (CHX) with different application times on microtensile bonds strength (MTBS) to dentin in class I cavities and intended to search for ideal application time for a simplified bonding protocol. Materials and Methods: Flat dentinal surfaces with class I cavities ($4mm{\times}4mm{\times}2mm$) in 40 molar teeth were bonded with etch-and-rinse adhesive system, Adper Single Bond 2 (3M ESPE) after: (1) etching only as a control group; (2) etching + CHX 5 sec + rinsing; (3) etching + CHX 15 sec + rinsing; (4) etching + CHX 30 sec + rinsing; and (5) etching + CHX 60 sec + rinsing. Resin composite was builtup with Z-250 (3M ESPE) using a bulk method and polymerized for 40 sec. For each condition, half of the specimens were immediately submitted to MTBS test and the rest of them were assigned to thermocycling of 10,000 cycles between $5^{\circ}C$ and $55^{\circ}C$ before testing.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wo-way ANOVA, at a significance level of 95%.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nd strength between CHX pretreated group and control group at the immediate testing period. After thermocycling, all groups showed reduced bond strength irrespective of the CHX use. However, groups treated with CHX maintained significantly higher MTBS than control group (p < 0.05). In addition, CHX application time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bond strength among groups treated with CHX. Conclusion: Application of 2% CHX for a short time period (5 sec) after etching with 37% phosphoric acid may be sufficient to preserve dentin bond strength.

자가부식 프라이머의 적용시간이 법랑질 접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APPLICATION TIME OF SELF-ETCHING PRIMERS ON THE BONDING OF ENAMEL)

  • 진철희;조영곤;김수미;이명선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3권3호
    • /
    • pp.224-234
    • /
    • 2008
  • 이 연구의 목적은 6종의 자가부식 프라이머 접착시스템에서 제조사에서 추천한 프라이머 적용시간과 2배의 프라이머 적용시간에 따른 법랑질에 대한 미세전단 결합강도와 전자현미경적 소견을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법랑질에 대한 자가부식 프라이머 접착제의 결합강도는 제조사에서 추천한 프라이머의 적용시간보다 프라이머의 적용시간을 2배 증가시킨 경우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pH가 높은 프라이머를 사용하였을 때 통계학적으로 높은 결합강도를 나타내었다. 이는 법랑질에서 pH가 높은 프라이머를 사용할 경우, 제조사에서 추천한 시간보다 더 긴 시간동안 적용하는 것이 결합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탄소섬유쉬트로 보강된 RC보의 휨 부착성능 (Flexural Adhesive Performance of RC Beams Strengthened by Carbon Fiber Sheets)

  • 유영찬;최기선;최근도;김긍환;이한승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549-555
    • /
    • 2002
  • 탄소섬유쉬트는 철근의 약 10배에 달하는 인장강도를 지니고 있으나, 보강 특성상 접착제를 사용한 일체화가 선행되어져야하기 때문에 부착으로 인한 강도저감요인을 배제할 수가 없다. 결국 탄소섬유쉬트의 인장강도를 최대한 발휘하기 위해서는 부착파괴를 방지할 수 있는 합리적 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현재까지 부착성능과 관련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부착길이 결정하는 부착강도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였으며, 설계에 반영할 수 있는 기준 역시 미진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 규준 안 및 국내 제조사가 제시하고 있는 설계용 부착강도를 기준으로 부착길이를 검토하였으며, 부착성능에 영향을 미칠 젓으로 판단되는 프라이머 도포량 및 에폭시 강도를 변수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결과에 의하면, 현재 적용 강도는 모두 안전측으로 나타났으며, 설계용 부착강도는 최대 $\tau$a =8 kgf/$\textrm{cm}^2$ 까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Plasma arc curing system을 이용한 브라켓의 접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HEAR BOND STRENGTH BY PLASMA ARC CURING SYSTEM FOR BRACKET BONDING)

  • 김정윤;김종수;권순원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638-642
    • /
    • 2001
  • 최근에 소개된 Plasma arc lamp를 이용한 고광도 광조사기는 조사되는 광도를 크게 증가시켜 필요한 조사시간을 단축시키고자하는 연구의 결과중 하나이다. 교정 임상에서 브라켓의 접착시 고광도 광조사기를 사용하여 시술시간을 줄인다면 환자뿐만 아니라, 술자에게도 시간적이나 경제적으로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Plasma arc light를 사용하여 접착시킨 브라켓의 치면에 대한 전단강도를 측정하고 이를 기존의 할로겐 램프를 이용한 광중합 방법과 비교해보기 위함이다. I군은 할로겐 램프를 사용하는 $XL3000^{(R)}$을 이용하여 총 50초간 광중합하였고 II군은 plasma arc lamp를 사용하는 $Flipo^{(R)}$를 이용하여 2초간 광중합하였으며 III군도 $Flipo^{(R)}$를 이용하여 총 5초간 광중합하여 전단강도 측정을 시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세 군의 전단강도의 평균은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2. 세 군간의 통계학적 유의 차가 없었다(p>0.05).

  • PDF

A CAD/CAM-based strategy for concurrent endodontic and restorative treatment

  • Escobar, Patricia Maria;Kishen, Anil;Lopes, Fabiane Carneiro;Borges, Caroline Cristina;Kegler, Eugenio Gabriel;Sousa-Neto, Manoel Damiao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4권3호
    • /
    • pp.27.1-27.12
    • /
    • 2019
  • This case report describes a technique in which endodontic treatment and permanent indirect restoration were completed in the same clinical appointment with the aid of a computer-aided design/computer-aided manufacturing (CAD/CAM) system. Two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irreversible pulpitis of the mandibular first molar. After access preparation, root canals were located, irrigation was performed until bleeding ceased, and the coronal tooth structure was prepared for indirect restoration. Then, utilizing an interim 3-mm build-up of the endodontic access cavity, a hemi-arch digital scan was performed with an intraoral scanner. Subsequent to digital scanning, restoration design was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endodontic procedure. The root canals were shaped using the Race system under irrigation with 2.5% sodium hypochlorite followed by root canal filling. The pulp chamber was subsequently filled with a 3-mm-thick composite resin restoration mimicking the interim build-up previously utilized to facilitate block milling in the CAD/CAM system. Clinical try-in of the permanent onlay restoration was followed by acid etching, application of a 5th generation adhesive, and cementation of the indirect restoration. Once the restoration was cemented, rubber dam isolation was removed, followed by occlusal adjustment and polishing. After 2 years of follow-up, the restorations were esthetically and functionally satisfactory, without complications.

Micro Shell을 이용한 철기 문화재 복원용 충전제의 사용성 연구 (A Study of Usability of Micro Shell as a Filler for Restoration of Iron Objects)

  • 이현지;위광철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7권
    • /
    • pp.91-102
    • /
    • 2022
  • 철기 문화재 복원에 사용되고 있는 실리카 계열의 무기질 충전제는 열팽창률감소, 흐름성 개선 등의 기능성 부여를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충전제의 양이 많을 수록 복원재의 물성저하 및 황변 현상 촉진의 원인이되며, 결과적으로 재처리로 이어져 유물의 피로도를 상승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복원제와 충전제의 혼합 정량화 및 황변성 연구 필요성이 강조될 수 밖에 없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실리카계 경량 충전제인 Micro Shell을 비교군으로 물성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기존에 사용하던 충전제에 비해 Micro Shell이 황변도 발생 수치가 최대 34% 낮았으며, 충전제의 배합양에 따라서 공통적으로 접착력과 비중의 물성 수치값이 좋은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 Micro Shell의 사용 가능성에 대해 확인하였다.

Characteristics of Bio Pellets from Spent Coffee Grounds and Pinewood Charcoal Based on Composition and Grinding Method

  • Nopia CAHYANI;Andi Detti YUNIANTI;SUHASMAN;Kidung Tirtayasa Putra PANGESTU;Gustan PARI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1호
    • /
    • pp.23-37
    • /
    • 2023
  • One type of biomass that has promising potential for bio pellet production is spent coffee grounds (SCGs).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SCGs in bio pellets cause a lot of smoke. Therefore, they need to be mixed with a material that has a higher calorific value to produce better quality pellets. One material that can be used is pine wood because it has a natural resin content that can increase the calorific valu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quality of bio pellets produced with SCGs and pine wood charcoal at different particle sizes. The charcoal was ground using either a hammer mill (HM) or a ball mill (BM). Pine wood charcoal was mixed with SCGs at ratios of SCGs to pine wood charcoal of 4:6 and 6:4 by weight, respectively, and the adhesive used a tapioca with a composition ratio 5% of the raw material. The bio pellets were produced using a manual pellet press. The quality of the bio pellets was assessed based on Indonesian National Standard (SNI) 8021-2014, and the physical observations include flame length, burning rate, and compressive strength. The average water content, ash content, and calorific value of the bio pellets were in accordance with SNI 8021-2014, but the density and ash content values were below the standard values. The BM variation of bio pellets had a higher compressive strength than the HM variation, and the 4:6 BM variation had the longest burning time compared with 4:6 HM.

교정용 브라켓 접착부의 피로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ATIGUE CHARACTERISTICS OF ORTHODONTIC BRACKETS BONDED TO ENAMEL)

  • 최해운;김정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5-72
    • /
    • 1995
  • 본 연구의 목적은 화학중합형의 접착제(Mono-$Lok^2$)로 소구치에 부착된 교정용 브라켓의 전단결합강도에 기계적 및 열적 피로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2종의 금속 브라켓(Ormesh, Microloc)과 3종의 세라믹 브라켓(Fascination, Starnre, Transcend 2000)을 사용하였다. 100만회의 반복 비틀림과 1,000회의 thermocycling을 시행한 다음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으며 파절부위를 stereoscope와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치아면에 대한 브라켓 접착계면의 전단결합강도는 Fascination 군이 $20.78\pm5.23$ MPa로서 가장 크고, Microloc 군에서 $14.88\pm3.10$MPa로 가장 작게 나타났으며,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Fascination, Starfire 군과 Microloc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2. $10^5$회의 반복비틀림을 가한 후의 전단결합강도는 Fascination 군이 $20.19\pm3.45$ MPa로 가장 크고 Starfire 판이 $9.10\pm8.33$ MPa로 가장 작게 나타났으며, 피로시험 후 Transcend 2000 군(P<0.01)과 Starfire 군(P<0.05)에서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였다. 3. 1,000회의 thermocycling 후의 전단결합강도는 Ormesh 군이 $19.36\pm2.76$ MPa로 가장 크고, Starfire 군이 $11.94\pm6.86$ MPa로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thermocycling 후 Transcend 2000(P0.01), Microloc과 Starfire 군(P0.05)에서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였다. 4. 접착계면의 파절양상은 thermocycling시는 정적 시험군과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반복비틀림시는 Ormesh와 Transcend 2000 군에서는 모두 브라켓과 레진 계면에서, Microloc 군은 모두 레진내에서 파절되는 경향을 보였다. Fascination 군은 피로시험조건에 관계없이 법랑질과 레진의 계면에서 파절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