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ilience Psychological

검색결과 248건 처리시간 0.024초

인과지도 분석을 통한 긍정심리자본과 21세기 정치리더십의 재고찰 (Reconsideration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he 21st century Political Leadership Using Causal Loop Analysis)

  • 박상만;김강훈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 /
    • 제14권4호
    • /
    • pp.113-141
    • /
    • 2013
  •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troduce PsyCap(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new leadership helping ordinary people to create positive thinking and leading to social integration in South Korea. Additionally, by looking at conventional leadership theories and by applying the PsyCap to leadership based on causal loop analysis, this study is to seek new approach which political leader is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people and can help the people to build positive mine. Throughout this study, there are several important implications how political leader can lead to social integration and stable political development in South Korea. In particular, when political leader encourage the people to have confidence to take on and put in the necessary effort to succeed at challenging tasks, when political leader make the people a positive attribution (optimism) about succeeding now and in the future, when political leader help the people to persevere toward goals and redirection paths to goals (hope) in order to succeed, and when political leader make the people beset by problems and adversity environment to overcome these concerns, it can be expected political leader to build social integration and the people to create positive thinking which has been emphasized by political leader in South Korea. Finally, 21st century has required new political leadership that the people are able to mak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composed by optimism, hope, confidence, and resilience.

  • PDF

Coronavirus Disease (COVID-19) Pandemic: The Psychological Well-Being in a Cohort of Workers of a Multinational Company

  • Lovreglio, Piero;Leso, Veruscka;Riccardi, Elisabetta;Stufano, Angela;Pacella, Daniela;Cagnazzo, Francesco;Ercolano, Maria Luigia;Iavicoli, Ivo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3권1호
    • /
    • pp.66-72
    • /
    • 2022
  • Background: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PWB) during the coronavirus disease (COVID-19) pandemic in workers of a multinational company. Methods: Employees (aged ≥18 years) were recruited from Latin American, North American, New Zealand, and European sites of a multinational company operative during all the pandemic period. The self-reported Psychological General Well-Being Index was used to assess the global PWB and the effects on six subdomains: anxiety, depressed mood, positive well-being, self-control, general health, and vitality. The influencing role of age, gender, geographical location, COVID-19 epidemiology, and restrictive measures adopted to control the pandemic was explored. Results: A total of 1335 workers completed the survey. The aggregate median PWB global score was in a positive range, with significantly better outcomes detected in the Mexican and Colombian Latin American sites compared with the other worldwide countries (p < 0.001). Among the European locations, a significantly higher PWB score was determined in Spain compared with the German and French sites (p < 0.05). Comparable geographical trends were demonstrated for all the PWB subdomains. Male workers had a significantly better PWB compared with females (p < 0.05), whereas a negative correlation emerged with aging (p = 0.01). COVID-19 epidemiology and pandemic control measures had no clear effects on PWB. Conclusion: Monitoring PWB and the impact of individual and pandemic-related variables may be helpful to clarify the mental health effects of pandemic, define targeted psychological-supporting measures, also in the workplace, to face such a complex situation in a more constructive way.

요양보호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urnover Intention of Care Worker)

  • 강경범;이용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126-136
    • /
    • 2015
  • 본 연구는 장기요양서비스 제공의 핵심인력인 요양보호사들의 긍정심리자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심리자본의 하위요인들인 자기효능감 희망 복원력의 특성을 파악한 결과 '자기효능감'은 배우자가 있고, 근무경력과 1회당 근로시간이 길며, 건강상태가 좋은 경우에 높았다. '희망'은 근무경력과 1회당 근로시간이 길며, 건강상태가 좋은 경우에 높았다. '복원력'은 종교를 가지고 있으며 건강상태가 좋고, 근무경력이 길어서 상대적으로 높은 급여를 받는 경우에 높았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전체 긍정심리자본의 특성 차이를 확인한 결과 긍정심리자본의 하위요인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좋은 건강상태가 좋고, 근무경력이 길며, 높은 급여를 받는 경우에 긍정심리자본이 높았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는 근무경력과 근로시간이 짧고 미혼인 경우에 많았다. 마지막으로 긍정심리자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긍정심리자본은 이직의도에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즉, 긍정심리자본이 많은 요양보호사는 이직의도가 적은 것이다. 요양보호사들의 이직을 감소시켜 확대되는 장기요양보험의 핵심인력으로서 요양보호사가 활발히 활동할 수 있도록 긍정심리자본을 향상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디지털 컨버전스 사회에서 AI교육 특성변수가 심리적 자본과 플로워에 미치는 영향 (An Influe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Education Characteristics on the Psychological Capital and Flow in Digital Convergence Society)

  • 이신남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4호
    • /
    • pp.139-147
    • /
    • 2016
  • 본 연구는 디지털 컨버전스 사회에서 AI교육 특성변수들과 심리적 자본, 심리적 자본과 플로워의 관련성, AI 교육 특성변수와 플로워사이에 심리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I교육의 특성변수에는 정확성, 유용성, 사용 용이성이 있다. 실증분석은 수도권 대학 중 회계정보를 강의하는 3개 대학에 설문지를 배포하여 최종 282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서 SPSS 22.0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과 매개변수에 대한 분석으로 계층적 회귀분석의 3단계 분석방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I교육 특성변수는 심리적 자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I교육 특성변수 중 정확성이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라는 것이 발견되었다. 둘째, 심리적 자본은 플로워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AI교육 특성변수와 플로워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심리적 자본 매개효과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심리적 자본은 AI 특성변수와 플로워사이에 주요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AI교육 특성변수와 플로워의 관계에서 심리적 자본이 매개역할을 하기 때문에 자기효능감, 복원력, 희망, 낙관주의와 같은 행동요인에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은퇴자와 예비은퇴자의 은퇴준비, 긍정심리자본 및 성공적 노화와의 관계 (Preparation for retirement of retirees and prospective retiree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Relationship to successful aging)

  • 이상주;김정훈;제갈선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267-274
    • /
    • 2020
  • 본 연구는 은퇴자와 예비은퇴자를 대상으로 은퇴준비, 긍정심리자본 및 성공적 노화와의 관계를 알아보고, 은퇴자와 예비은퇴자 예비은퇴자들의 성공적 노화를 증진시키고, 긍정심리자본을 증가시켜 바람직한 노후시간을 가질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구조적 관계분석으로 전국에서 은퇴를 준비하거나 은퇴한 은퇴자와 예비은퇴자 53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9년 4월 1일부터 4월 20일까지였다. 자료는 SPSS 20.0과 AMOS 9.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관계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은퇴자와 예비은퇴자의 은퇴준비는 성공적 노화에 부적인 관계가 있었으며, 은퇴준비도는 긍정심리자본의 탄력성, 자기효능감은 매개로 성공적 노화의 자아수용, 자율적 삶의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긍정심리자본의 긍정적인 심리요인은 은퇴준비 불안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은퇴자와 예비은퇴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서 성공적인 노후생활을 가능하게 해준다는 것이다. 따라서 은퇴준비프로그램을 운영할 때 긍정심리자본을 확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편성과 운영이 필요하다.

Effect of lifelong education center service quality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 Lee, Sin-Bok;Park, Chanu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5호
    • /
    • pp.139-148
    • /
    • 2022
  • 평생교육원은 성인을 대상으로 요람에서부터 무덤까지의 배움을 모토로 사람들에게 제공하는 교육 시스템이다. 본 연구는 평생교육원의 서비스 품질과 긍정심리자본, 심리적 안녕감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근거로 평생교육원의 서비스 품질이 긍정심리자본을 통해 심리적 안녕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평생교육원을 다니는 학생 212명을 대상으로 하여 2021년 11월 1일부터 11월 14일까지 설문지를 배부하고 회수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평생교육원의 서비스 품질은 긍정심리자본 중 자기효능감에 모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희망에는 모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생교육원 서비스 품질 중 확신성과 반응성은 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응성은 긍정심리자본 중 낙관주의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긍정심리자본 중 희망과 탄력성 그리고 낙관주의는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평생교육원 학습자들에게 더 좋은 품질의 평생교육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정책 방향에 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 본다.

Living for the Children: Immigrant Korean Mothers' Re-creation of Family after Marital Dissolution

  • Oh, Seieun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79-487
    • /
    • 2014
  • Purpose: This study was a grounded theory research aimed at generating a substantive theory that accounts for the explanatory social processes in which immigrant Korean single-mother families were engaged in the United States. Method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5 immigrant Korean single mothers who were living with children under 18 years of age at the time of the interviews. Data collection guided by theoretical sampling and concurrent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ranscribed data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ore social process. Results: The emerged core social process was "living for the children," which represented the driving process by which these women made transition to their new lives as single-mother families. The major task throughout the entire transition was re-creating their families. The women's transition involved practical and psychological transitions. The practical transition involved three stages: assuring family survival, struggling between the father role and the mother role, and stabilizing. The psychological transition involved becoming strong and settling in with a new supportive network. Conclusion: Study results added to the literature by elaborating the women's emphasis on maternal identity and the resilience-provoking nature of the women's transitions.

대학생들의 스마트폰중독이 자기생활관리에 미치는 영향: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의 매개효과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Smartphone Addiction on Their Life Management: Mediating Effects of Protective Factor and Risk Factor)

  • 김비;김나미;박경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594-60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자기생활관리의 관계에서 보호요인인 긍정심리자본과 위험요인인 정신건강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대학생 266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긍정심리자본, 정신건강, 자기생활관리 척도를 실시하고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련 요인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스마트폰 중독은 자기생활관리와 긍정심리자본에서 유의한 부적상관을 나타냈으며 정신건강간의 유의한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자기생활관리의 경로분석결과 긍정심리자본이 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매개변인인 긍정심리자본과 정신건강 하위요인들과 자기생활관리 간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긍정심리자본에서는 낙관성과 탄력성이 자기생활관리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정신건강에서는 우울과 충동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자기생활관리를 위한 교육적 시사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발명·특허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심리적 자본 척도 타당화 연구 (Validation of the Psychological Capital Scale for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specialized in Invention and Patent Education)

  • 안병국;안도희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4호
    • /
    • pp.629-648
    • /
    • 2015
  • 본 연구는 발명 특허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심리적 자본 척도를 개발하고,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발명 특허 특성화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고등학생 400명을 대상을 하였으며, 미응답 및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한 388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Luthans, Avolio 외(2007)가 제시한 심리적 자본 척도(PCQ, 24-items)를 발명 특허 분야를 공부하는 고등학생들에게 알맞게 번안 수정하여, 이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발명 특허 특성화 고등학생의 심리적 자본 척도는 19개 문항의 4개요인(자기효능감, 희망, 적응유연성, 낙관주의)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자본의 전체 신뢰도는 .87이며, 하위요인별 신뢰도는 .72~.86으로 나타났다. 수렴 타당도 분석을 위해 심리적 자본과 관련 변인들(창의적 지능, 창의성, 학문적 효능감)과의 상호상관을 살펴본 결과, 변인들 간의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준거 타당도를 위해 발명 및 학업 수상 경험 집단과 무경험 집단의 심리적 자본을 비교한 결과, 발명 및 학업 수상 경험 집단이 무경험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척도는 향후, 발명 특허 재능 학생들의 심리적 자본을 탐색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창업기회인식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Perception of Entrepreneurial Opportunity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Focusing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 장현철;김종성
    • 벤처창업연구
    • /
    • 제16권6호
    • /
    • pp.43-55
    • /
    • 2021
  • 최근 국내 일자리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정부 부처에서는 많은 예산을 투입하여, 예비창업자의 창업을 장려하고 있다. 창업의 성공에 중요한 것은 창업을 시작하기 전 다양한 창업기회인식, 시도를 통한 경험인데, 예비창업자들은 정부 부처에서 진행하고 있는 다양한 창업 교육을 통해 기회인식에 관한 경험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예비창업자들은 다양한 정부 지원 사업을 통해 창업 교육, 초기 사업화 자금 등의 지원을 통해 다양한 창업기회를 인식·모색 하지만 실제 창업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선행연구에서는 창업기회인식이 성별 등 다양한 변수에 의해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밝히고 있으나, 창업기회인식과 창업의도 사이에서 어떤 블랙박스가 존재하는지에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창업의도를 향상하기 위한 주요한 방법으로 긍정심리자본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긍정심리자본이 창업기회인식과 창업의도 사이에서 매개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지 탐색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 결과 창업기회인식이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창업기회인식과 창업의도 사이에서 긍정심리자본이 매개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창업기회를 인식 후에 이것이 실제 창업의도로 이어지려면 긍정심리자본이 중요하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현재 창업생태계에 있는 예비창업자들의 창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창업기회인식과 긍정심리자본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