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esidual cement

Search Result 104,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CAD/CAM 맞춤형 지대주를 이용한 milled-bar 피개의치 증례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maxilla with implant-supported milled bar overdenture using CAD/CAM customized abutment: A case report)

  • 지운;장재승;권주현;김선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46-151
    • /
    • 2016
  • 상악 완전 무치악에 6개 이상의 임플란트가 식립된 경우 임플란트-지지형 피개의치 제작이 가능하다. 임플란트-지지 피개의치에 사용되는 다양한 부착장치 중에 milled-bar의 경우 의치의 회전을 허용하지 않고, 안정성이 뛰어나며, 여러 개의 임플란트를 연결 고정하는 효과를 가진다는 장점이 있다. 본 증례에서는 전치부에 심한 골소실을 동반한 상악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세 가지 다른 시스템으로 구성된 7개의 임플란트 상부에 CAD/CAM 맞춤형 지대주와 시멘트 접착형의 milled bar를 이용한 피개의치를 제작하여 상실된 심미와 기능을 효과적으로 회복하였다.

Effects of dentin moisture on the push-out bond strength of a fiber post luted with different self-adhesive resin cements

  • Turker, Sevinc Aktemur;Uzunoglu, Emel;Yilmaz, Zeliha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8권4호
    • /
    • pp.234-240
    • /
    • 2013
  • Objectives: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intraradicular moisture on the pushout bond strength of a fibre post luted with several self-adhesive resin cements. Materials and Methods: Endodontically treated root canals were treated with one of three luting cements: (1) RelyX U100, (2) Clearfil SA, and (3) G-Cem. Roots were then divided into four subgroups according to the moisture condition tested: (I) dry: excess water removed with paper points followed by dehydration with 95% ethanol, (II) normal moisture: canals blot-dried with paper points until appearing dry, (III) moist: canals dried by low vacuum using a Luer adapter, and (IV) wet: canals remained totally flooded. Two 1-mm-thick slices were obtained from each root sample and bond strength was measured using a push-out test setup. The data were analysed using a two-way analysis of variance and the Bonferroni post hoc test with p = 0.05. Results: Statistical analysis demonstrated that moisture level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bond strength of luting cements (p < 0.05), with the exception of G-Cem. RelyX U100 displayed the highest bond strength under moist conditions (III). Clearfil SA had the highest bond strength under normal moisture conditions (II). Statistical ranking of bond strength values was as follows: RelyX U100 > Clearfil SA > G-Cem. Conclusions: The degree of residual moisture significantly affected the adhesion of luting cements to radicular dentine.

고온을 받은 콘크리트의 공학적 특성 (The Engineering Properties of Concrete Exposed at High Temperature)

  • 권영진;김용로;장재봉;김무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31-36
    • /
    • 2004
  • 본 연구는 잔골재 및 혼화재 종류, W/C에 따른 콘크리트의 폭열성상 및 압축강도 초음파속도 등의 공학적 특성을 검토함으로서 폭열 방지 및 화재 피해를 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재사용과 보수보강, 안전도평가 등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폭열성상을 살펴보면, 잔골재에 따라서는 바다모래를 사용한 경우 폭열이 발생하지 않았거나 약간의 폭열이 나타나는 정도이나 재생잔골재나 부순모래를 사용한 경우에는 폭열이 심하게 나타났다. 또한 혼화재 종류에 따라서는 대체로 유사한 폭열성상을 나타내었다. 한편, W/C 30.5%의 고강도 영역에서는 대부분 폭열하였으나 W/C 55%의 보통강도 영역에서는 대부분 폭열하지 않았다. 잔존 압축강도는 W/C 55%의 경우 평균 45%로 나타났으며, W/C 30.5%의 경우에는 평균 64%로 나타났다. 초음파속도는 잔골재 종류 및 W/C, 가열시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가열 후 3개월이 가열 후 1개월보다 약 1.3∼8.4%의 초음파속도 회복을 보였다.

PET 섬유 보강재를 사용한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formance evaluation of fiber reinforced concrete using PET fiber reinforcement)

  • 오리온;유용선;박찬기;박성기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261-283
    • /
    • 2023
  • 본 연구는 최근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성능 보강재료 적용이 검토되고 있는 합성섬유 종류 중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섬유 보강재에 대하여 단기 및 장기 성능변화 여부 검토를 통해 PET 섬유의 성능 안정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PET 섬유를 산/알칼리 환경에 노출시킨 후 잔류 성능을 분석하였으며, PET 섬유 보강 콘크리트 배합의 재령별 휨강도, 등가 휨강도, 그리고 콘크리트 시편에서 채취한 PET 섬유를 주사현미경(SEM)을 이용하여 표면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PET 섬유의 산/알칼리 환경 노출 실험결과, 산성 환경에서는 83.4~96.4%, 알칼리 환경에서는 42.4~97.9%의 강도 보유율을 나타내었다. 섬유 자체의 강도 보유율은 고온의 강알칼리 조건에 노출될 경우 강도 감소가 크게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강도 보유율은 에폭시로 코팅된 가공사에서 강도보유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ET 섬유 보강 콘크리트 배합의 휨강도 및 등가 휨강도 실험결과에서는 휨강도 저하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등가 휨강도 결과도 섬유 보강재로써의 성능 저하는 나타나지 않았다. SEM 분석 결과에서도 PET 보강 섬유의 표면 손상이나 단면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섬유 보강 콘크리트가 초기 고온 노출되는 경우나 재령 경과에 따라서도 시멘트 콘크리트 환경에서는 PET 보강 섬유가 어떠한 손상이나 단면 감소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시멘트 콘크리트 환경에서는 PET 섬유에 대한 강도 감소 영향은 우려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으로 판단된다. 재령에 따른 휨강도, 등가 휨강도도 안정적으로 발현됨에 따라 PET 섬유 보강재의 사용으로 우려되는 가수분해로 인한 성능저하 등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안정적인 잔류강도 보유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콘크리트구조물의 반복적 동결융해에 대한 수치 해석적 열화 예측 및 신뢰성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Deterioration Prediction Model and Reliability Model for the Cyclic Freeze-Thaw of Concrete Structures)

  • 조태준;김이현;조효남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13-22
    • /
    • 2008
  • 다공성 시스템 내부 동결체의 생성과 성장은 온도경사와 화학적 에너지뿐만 아니라 열 물리학적 영향과 이동 물질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더욱이 융해 화학물질의 확산율은 반복적인 동경융해 환경 하에서 매우 높은 값을 나타낸다. 결과적으로 콘크리트구조물의 열화는 해양환경과, 높은 고도 및 북쪽 지방에서 특히 크게 발생된다. 그러나 균열 성장과 누적된 손상에 의한 열화를 동반한 동결융해의 특성은 실험을 통해서 추정하기가 곤란하다. 이러한 손상을 예측하기 위해서 응답면기법 (RSM)을 이용한 회귀분석법을 사용하였다. 콘크리트구조물에서 반복되는 동결융해로 인한 열화의 주요 변수인 물-시멘트비, 연행공기, 동결융해의 반복 횟수 등은 응답면기법의 한계상태방정식을 구성하는데 중요한 입력 변수로 사용되었다. 누적변형률, 상대동탄성계수, 또는 등가 소성변형과 같은 주요한 열화 변수에 대한 회귀방정식은 열화된 구조물의 성능을 평가할 수 있다. 300번의 동결융해 반복 후의 상대동탄성계수와 잔류변형의 결과는 실험 결과와 매우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응답면기법의 결과는 설계 시 한계값에 대한 초과 확률을 예측하는데 사용되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개발된 예측 기법을 활용하여 반복적인 동결융해에 의해서 누적 손상을 받는 콘크리트구조물의 생애주기 관리에 사용될 수 있다.

굴착 후 타입된 PHC 말뚝의 재하시험 결과 비교분석 사례 연구 (Case Study of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Static and Dynamic Loading Test of PHC Pile)

  • 김재홍;여규권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11호
    • /
    • pp.13-23
    • /
    • 2013
  • 서해안 연약지반에서 굴착 후 시멘트밀크의 주입없이 경타로 시공된 PHC 말뚝에 대하여 동재하시험과 정재하시험을 병행하여 그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초기 동재하시험은 Hydraulic Hammer(Ram Weight 7.0tf)를 사용하여 낙하고 0.8m에서 최종 평균 관입량은 3.0~8.0mm로 측정되었다. 이때 CAPWAP 분석결과에 의한 최종 허용지지력은 776.4~1,053.6kN/본으로 확인되었다. 정재하시험은 동재하시험을 한 동일 말뚝에 실시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나, 현장 여건상 인접의 말뚝에 설계지지력(120.0tf)의 200%인 총 시험하중(2,400.0kN)을 8단계로 나누어 재하시험한 결과, 총침하량은 15.97~16.38mm, 잔류침하량은 4.48~5.38mm로 측정되었으며, 모든 분석법을 적용하여도 항복하중과 극한하중은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최대시험하중(240.0tf)을 항복하중으로 간주하여 안전율 2.0으로 나누어 허용지지력을 산정한 결과 허용지지력은 1,200kN/본 이상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정재하시험보다 동재하시험이 1.54~1.1.4배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간접유치장치 설계변화에 따른 하악유리단 국소의치의 광탄성 응력분석 (A PHOTOELASTIC STRESS ANALYSIS IN MANDIBULAR DISTAL - 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S WITH VARIOUSLY DESIGNEO INDIRECT RETAINERS)

  • 강승종;계기성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83-197
    • /
    • 199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magnitude and distribution of stresses using a Photoelastic model from and distal - 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s With four designed indirect retainers. The designs of the indirect retainers were as follows : Design No. 1 : Aker's clasp on 1st bicuspid with no indirect retainer. Design No. 2 : Aker's clasp on 1st bicuspid with indirect retainer on canine. Design No. 3 : Extension of the reciprocal arm of Aker's clasp toward incisal rest on canine. Design No. 4 : Connection with the indirect retainer as in No. 2 and extension of reciprocal arm of Aker' s clasp. A photoelastic model was made of the epoxy resin(PL - 1) and hardner(PLH - 1) and coated with plastic cement -1(PC -1) at the lingual surface of the epoxy model and set with chrome - cobalt partial dentures. A unilateral vertical load of 10kg to the right 1st molar and a vertical load of 10kg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metal bar crossing both the 1st molars of the right and left, were applied. With the use of specially designed jig, fixture; loading device and the reflective circular polariscope, we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 1. When the unilateral vertical load and the vertical load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metal bar were applied, design No. 2, 3 and 4 exhibited the higher stress concentration at the root apices and their surrounding tissues of the primary and secondary abutment teeth. 2. When the unilateral vertical load applied to design No. 2,3 and 4 the root apices of the primary and secondary abutment teeth and their surrounding tissues and the nonloaded side of edentulous area exhibited and even stress distribution. 3. When the vertical load was applied, the stress concentration fringe in the primary and secondary abutment teeth was in the order of No. 1,4,2 and 3. 4. No.1 and 4 exhibited the higher distrorted stress concentration at the primary teeth and the edentulous area in the nonloaded side. 5. No.2 design reduced the stresses at the apices of the alveoli of the primary abutment teeth bilaterally as well as on the crest of the residual ridge on the nonloaded side. 6. No. 2 design exhibited the most favorable stress distribution.

  • PDF

접착치의학 개념에 따른 최소 침습적 치아 삭제법을 적용한 심미적인 치은 연상 변연 도재 부분피개관 수복 증례 (Clinical performance of esthetic ceramic partial-coverage restorations with supra-gingival margin using minimally invasive tooth prepa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concept of adhesive dentistry)

  • 홍명식;최유성;이종혁;하승룡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3호
    • /
    • pp.319-332
    • /
    • 2021
  • 심미적인 도재 재료와 레진 시멘트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임상에서 금속도재관에서 전부도재관으로의 전환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도재 수복물 제작 시 그에 적합한 형태와 기술을 이용하여야 그 장점을 최대화할 수 있다. 최근 법랑질을 최대한 보존하고 접착 효율을 높이는 최소 침습적 치아 삭제법을 적용하여 치은 연상 변연을 가진 심미적인 도재 부분피 개관 수복방법이 소개되었는데, 이를 통해 치질 삭제의 최소화, 시멘트 제거의 용이성 등 여러 장점들을 얻을 수 있다고 보고된다. 또한 이 제작법은 치은 압배사의 삽입이 불필요하여 치은 압배사 삽입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환자의 불편감도 감소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치은 열구액이나 혈액의 개입 없이 명확하게 변연을 채득할 수 있어 더 정확한 수복물 제작이 가능하다고 보고된다. 본 증례에서는 각각 해당 치아 부위에 부분적인 결함이 있는 환자에서 통상적인 전부피개관이 아닌 접착치의학 개념에 따른 최소 침습적 치아 삭제법을 적용한 치은 연상 변연 도재 부분피개관으로 다양한 제작 방법을 활용하여 수복함으로써 불필요한 치아 삭제를 방지하고 잔존 치질을 최대한 보존할 수 있었다. 치료 후 환자와 술자 모두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부가적인 유지구조를 가진 미니 임플란트의 디지털 수복 증례 (Mini-implant with additional retentive structure by using digital method)

  • 황수현;배은빈;조원탁;허중보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1호
    • /
    • pp.119-126
    • /
    • 2022
  • 하악 전치부와 같이 골 폭이 좁은 환자에서 미니 임플란트 사용은 기존의 직경 임플란트의 대안으로 보고된다. 그러나, 기존 일체형 미니 임플란트의 사용시 보철물 탈락과 시멘트 사용으로 인한 임플란트 주위염과 같은 합병증의 발생이 보고되고 있다. 최근 미니 임플란트의 유지력 및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상부에 부가적인 유지구조를 가진 일체형 미니 임플란트가 소개되었다. 상부 탄성부를 스프레더로 벌려 줌으로써 지르코니아 보철물 내면의 결합구조와 결합하는 방식을 기반으로 한다. 이에 본 증례는 좁은 폭경의 하악 전치부에서 상부에 결합구조를 가진 일체형 미니 임플란트를 통하여 이러한 합병증을 줄이고자 하였으며 디지털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반적인 치료기간을 단축하였다. 두명의 환자에서 유지기능과 심미적인 면에서 만족스러운 임상결과를 얻었기에 본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Fe3O4 magnetic nanoparticles provide a novel alternative strategy for Staphylococcus aureus bone infection

  • Youliang, Ren;Jin, Yang;Jinghui, Zhang;Xiao, Yang;Lei, Shi;Dajing, Guo;Yuanyi, Zheng;Haitao, Ran;Zhongliang, Deng;Lei, Chu
    • Advances in nano research
    • /
    • 제13권6호
    • /
    • pp.575-585
    • /
    • 2022
  • Due to its biofilm formation and colonization of the osteocyte-lacuno canalicular network (OLCN), Staphylococcus aureus (S.aureus) implant-associated bone infection (SIABI) is difficult to cure thoroughly, and may occur recurrently subsequently after a long period dormant. It is essential to explore an alternative therapeutic strategy that can eradicate the pathogens in the infected foci. To address this, the polymethylmethacrylate (PMMA) bone cement and Fe3O4 nanoparticles compound cylinder were developed as implants based on their size and mechanical properties for the alternative magnetic field (AMF) induced thermal ablation, The PMMA mixed with optimized 2% Fe3O4 nanoparticles showed an excellent antibacterial efficacy in vitro. It was evaluated by the CFU, CT scan and histopathological staining on a rabbit 1-stage transtibial screw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on week 7, the CFU of infected soft tissue and implants, and the white blood cells (WBCs) of the PMMA+2% Fe3O4+AMF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their controls (p<0.05). PMMA+2% Fe3O4+AMF group did not observe bone resorption, periosteal reaction, and infectious reactive bone formation by CT images. Further histopathological H&E and Gram Staining confirmed there was no obvious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neither pathogens residue nor noticeably burn damage around the infected screw channel in the PMMA+2% Fe3O4+AMF group. Further investigation of nanoparticle distributions in bone marrow medullary and vital organs of heart, liver, spleen, lung, and kidney. There were no significantly extra Fe3O4 nanoparticles were observed in the medullary cavity and all vital organs either. In the current study, PMMA+2% Fe3O4+AMF shows promising therapeutic potential for SIABI by providing excellent mechanical support, and promising efficacy of eradicating the residual pathogenic bacteria in bone infected lesions.